NAVER

사용자 링크

Q&A 영역

질문 대전시
정보가 없는 사용자 조회수 4,426 작성일2004.07.13

안녕하셋요..+ㅁ+

급한 문제여서 부탁 드립니다..[급함 강조함.ㅋ]

 

1. 대전 광역시의 자연 환경은 어떠한가?

2. 대전 광역시에서 특히 발달한 산업은 어떤 것인가?

3. 대전 광역시가 더욱 발전할 수 있는 방안은 무엇인가?

 

딴 질문들을 보면 답볍 하실때

네이버 사전같은데서 찾아서 그냥 복사 해서 쓰시더라구욧..

-ㅅ-

서는 그런걸 바라지 않고 되도록 빨리

아시는 거라도 간단히 적어주세여...

 

낼이 숙제 내는 날~ >>ㅑ오- - >ㅁ<

프로필 사진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1개 답변
1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으뜸이
식물신
개신교 21위, 생리, 피임, 사람과 그룹 분야에서 활동
대전광역시 (大田廣域市)

요약



충청남도 남동부에 위치한 한국의 광역시. 면적 539.84㎢. 인구 140만 8800(2002). 서울에서 남으로 167.3㎞, 부산에서 북으로 238.2㎞ 지점에 위치하며, 동쪽으로 충북 보은군·옥천군, 서쪽으로 충남 논산시·공주시, 남쪽으로 충남 금산군, 북쪽으로 충북 청원군·충남 연기군에 접한다. 서울·부산·대구·인천·광주에 이어 6위를 차지하는 대도시이다. 시청소재지는 중구 대흥 2동.


설명



충청남도 남동부에 위치한 한국의 광역시. 면적 539.84㎢. 인구 140만 8800(2002). 서울에서 남으로 167.3㎞, 부산에서 북으로 238.2㎞ 지점에 위치하며, 동쪽으로 충북 보은군·옥천군, 서쪽으로 충남 논산시·공주시, 남쪽으로 충남 금산군, 북쪽으로 충북 청원군·충남 연기군에 접한다. 서울·부산·대구·인천·광주에 이어 6위를 차지하는 대도시이다. 시청소재지는 중구 대흥 2동.

역사
본디는 한밭이라 하였는데, 백제시대에 노사지현(奴斯之縣)의 지역으로서 신라 경덕왕(景德王) 때 유성현(儒城縣)으로 고쳐 비풍현(比豊縣;懷豊縣)의 속현(屬縣)이 되었다. 고려시대에 비풍현을 회덕현(懷德縣)으로 개칭, 현종 때 공주에 편입되었으며 조선시대에는 공주군(公州郡) 산내면(山內面)에 편입되었다가 1895년(고종 32)에 회덕군(懷德郡)에 편입되었다. 1905년 경부선이 개통됨에 따라 급속도로 발전되였으며, 1914년 군면(郡面) 폐합에 의하여 회덕군과 진잠군(鎭岑郡)·공주군 일부를 폐합하여 대전군(大田郡)으로 새로이 신설하였다. 32년 충청남도 도청을 공주에서 옮겨왔고 35년 부제(府制)의 실시에 따라 대전부(大田府)로 승격되었다. 40년 11월 1일 대전부 구역 확장에 의하여 대덕군(大德郡) 외동면(外東面)의 6개리와 유천면(柳泉面)의 4개리, 산내면의 석교리(石橋里)를 편입하여 32개 동을 관할하게 되었다. 48년 대한민국정부 수립 뒤 부제(府制)에서 시제(市制)로 개편됨에 따라 대전시로 되었다. 63년 1월 1일 법령 제1167호로써 대전시 구역확장에 의하여 대덕군 유천면(柳泉面)의 15개리와 회덕면(懷德面)의 3개리, 산내면의 4개 리를 편입하여 도합 57개동이 되었다. 77년 9월 1일 대통령령에 의해 구제(區制)가 실시됨에 따라 동구(東區)와 중구(中區)로 나뉘었으며, 이어 83년 12월 행정구역조정에 따라 대덕군 유성읍, 구직면 2개리, 용산리 일부, 탄동면 8개리, 기성면 3개리, 진잠면 5개리가 중구에, 대덕군 회덕면이 동구에 각각 편입되었다. 그 후 88년 1월에 서구(西區)가 새로이 신설, 중구로부터 분리되어 3구 63동이다가, 89년 1월 직할시로 승격되어 기존의 대전시 외에 대덕군을 편입, 유성구(儒城區)·대덕구(大德區)를 신설하였다. 95년 1월 <광역시>로 이름이 바뀌게 되었으며, 2003년 현재 5개 구, 79개 동을 관할한다.

자연
충청남도 동남부에 있으며, 남쪽에는 보문산(寶文山, 458m)이 있고, 동쪽에는 식장산(食藏山, 598m)이 남북으로 뻗어 있으며, 서쪽에는 멀리 계룡산(鷄龍山, 828m)이 보인다. 가까이에는 구봉산(九峰山, 163m)·도덕봉(道德峰)·금병산(金屛山)이 병풍처럼 둘러져 있으며, 유등천(柳等川)이 남쪽에서 흘러들어와 시중심부를 뚫고 서북쪽에 이르러, 남서쪽에서 오는 갑천(甲川)과 합하여 큰 내를 이루고, 다시 북서쪽으로 흘러 신탄진(新灘津)에서 금강(錦江)으로 흘러 들어 서북쪽 평야를 만든다. 이처럼 대전은 사방이 잔구성 구릉으로 둘러싸인 분지 위에 발달하여 있다. 대륙 내부에 위치하여 겨울에는 대륙의 한랭한 고기압의 영향을 받아 추운 날씨가 이어지고 여름에는 고온 다습한 기단의 영향을 받아 8월에 많은 비가 내린다. 연평균기온은 12.1℃, 1월 평균기온은 -2.3℃, 8월 평균기온은 25.5℃, 연평균 강수량은 약 1360㎜이다.

산업


농업
경지면적은 6094ha로 이 가운데 논이 52%, 밭이 48%(2002)이다. 농업인구는 6429가구, 2만 1414명(2002)이며, 경지면적·농가인구는 점점 감소하고 있다. 쌀·면화·채소·포도·배·사과 등이 생산되며, 특히 대전시 주변 농가들이 고등소채의 재배로 전향하여 채소 생산이 늘고 있다.

상업
대전시는 수도권지역·강원지역·영남지방·호남지방 등 사면팔방으로 통하는 광범위한 교통망을 가지고 있어 상업도시로 발전하였다. 더욱이 6·25로 인해 모여든 피난민들의 많은 수가 상업에 종사한 것이 토대가 되어 상업이 발전하게 되었다. 대전시의 중심 지역인 중동(中洞) 아래의 동구 인동(仁洞)에서 5일장으로 출발한 대전의 전통 상업은 대전도매시장의 설립을 비롯하여, 공설시장·홍명상가·중앙상가·원동시장·중부시장·서대전시장 등 크고 작은 시장을 낳았으며 이 상가와 시장이 대전상업의 주축을 이루고 있다.

공업
공업용수가 풍부하여 섬유·기계·인쇄공업 등이 발달하였다. 상업의 성장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서울과 가깝고 교통이 가장 편리하다는 이점 때문에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착실히 성장하여 현재 경인공업지구·삼척공업지구와 함께 중부지방의 3대 공업지구로 손꼽힌다. 특히 풍한방적과 대전방적 공장의 설립은 대전의 고용과 수출에 큰 몫을 하였고, 이 밖에도 대전피혁공장·연필공장·족보인쇄공장 등은 대전광역시의 경제에 큰 영향을 끼치고 있다. 대덕연구단지를 중심으로 정보통신, 생명공학, 정밀화학, 영상산업, 신소재 등 5대 신산업으로 특화된 800여 개의 벤처기업들이 자리하고 있다.

사회


교육·문화
조선시대 교육기관으로는 회덕향교·진잠향교와 숭현서원(崇賢書院)·도산서원·정절서원(靖節書院) 등이 있었다. 2003년 현재 유치원 211개, 초등학교 117개교, 중학교 73개교, 고등학교 53개교, 전문대학 및 대학교 17개교가 있다. 1954년에 설립한 대전문화원은 각종 문화예술행사를 주관하여 향토문화의 계승·발전에 이바지하고 있다. 종교현황을 보면 97년 현재 불교사찰 175개, 천주교성당 32개, 개신교교회 1098개가 있다. 향토문화행사인 한밭제는 1983년 10월에 처음 거행되어 매년 한 번씩 시민의 날과 연계하여 추진되며, 행사종목은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충청남도 지부가 주관하는 불꽃놀이·시민의 날 기념식·시민위안잔치·백일장 등이다.

교통
경부선에서 호남선이 갈라져 나가는 철도·고속도로의 분기점이며, 간선도로들이 집중되어 있는 교통의 요지이다. 시가는 정형도시(井形都市)로 발달되어 있어 교통이 편리하다.

문화재
대전시 자체는 두드러진 관광자원이나 유적을 가지고 있지 않으나, 가양동에 조선 효종 때 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이 공부하던 남간정사(南澗精舍)와 박팽년(朴彭年)의 유허비각(遺墟碑閣)이 있다. 보문산공원(寶文山公園)은 대사동 보문산에 있으며, 어린이유원지·야외음악당·충령탑·세계평화탑·석굴암·보문대 등이 있다. 보문대는 반원형의 2층으로 시야가 트여 시원함을 느낄 수 있다. 또한 보문사(普門寺) 터를 비롯하여 많은 불교유적과 전설이 남아 있고, 목조건축물로 회덕향교(懷德鄕校)·진잠향교(鎭岑鄕校)·회덕동춘당(懷德同春堂, 보물 제209호)이 있다. 사당으로 창계숭절사(滄溪崇節祠)·문충사(文忠祠) 등이 남아 있다.

남한 중간에 자리하고 영호남을 갈라 지나가는 중간 지역으로 유리한 지역입니다.
앞으로 행정 수도가 공주 부근으로 옮긴다면 대전도 더 발전하겠죠.

***빨리 올리고 정확성 때문에 백과 사전 에서 올렸습니다***

2004.07.13.

  • 채택

    질문자가 채택한 답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