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VER

사용자 링크

Q&A 영역

질문 다문화 가족 자립을 위한 계획 <영작>
chlq**** 조회수 9 작성일2009.06.01

 

보고서인데, 혹시 영어로 영작 가능하신 분 계신가요?

급한데........더 찾아야할 자료는 많고ㅜㅜ 도와주세요!

 

일단은 길더라도 적어보겠습니다. ;p

 

 

<다문화 가족 자립을 위한 단체신청 계획>

 

1. 목적

1) 결혼 이민자들의 주도적 참여를 유도하여 다문화 가정 지도자를 양성

2) 다문화 가정 지도자들의 멘토 활동을 통하여 지역 결혼 이미잔의 사회 정착을 돕는 지원활동

3) 결혼 이민자들의 자조집단을 구축하여 자립 능력 향상과 사회 통합

 

2. 추진 배경

 

* 실태

 

1) 1995년 이후 외국인 여성이 한국 남성과 결혼하여 국내에 정착하는 사례가 점점 늘어나면서

    현재 결혼 이민자가 급속히 증가

 

2) 다문화 가정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사회적인 관심이 높아지고,

    여러 정부 부처에서 지원 시책이 이루어지고 있음.

 

3) 결혼 여성 이민자의 임파워먼트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정책 부재, 다문화 가정 2세에 대한 지원,

    다문화 가족 및 일반시민에 대한 다문화 이해 교육활동 등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

 

 

*필요성

 

1) 다문화 가정의 결혼 이민자 여성들은 한국 생활에 있어 의사소통의 어려움, 문화차이, 가정폭력,

    자녀양육 문제, 사회적 편견 등으로 적응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

 

2) 결혼 이민자들 중 가구 소득이 최저 생계비에도 미치지 못하는 가구가 국제결혼 가정의 절반이 넘는 52.9%    (2005), 이들 가운데 경제적 이유로 끼니를 거른 경험을 한 경우가 15.5%, 기초 생활 보장 수급가구는 13.7%에 불과

 

3) 지난 3월 (2008년) 본 센터는 다문화 가족모임을 개최하여 한국 생활에 있어서의 고충과 욕구를 파악한 겨과, 가족 내의 문화 차이 극복, 국적취득에 걸리는 대기 시간이 길어 여러 가지의 문제 발생, 내국인과 같은 국가지원 서비스를 받고자하는 욕구, 취업 욕구, 자녀 양육의 어려움과 교육지원 욕구, 지역 주민의 편견 해소 등이 나타남

 

4) 다문화 가정의 욕구에 기초한 사회적 지지기반으 ㄹ확충 및 자립 능력 함양을 위한 국제 결혼 여성의 다문화 전문가 양성과 자립단체 설립이 절실히 필요함.

 

 

 

3. 사업 실적

 

* 결혼 이민자의 요구에 맞춘 한국어 교육 실시

1) 수준별 4단계 한국어반 구성하여 주 2회 한국어교육을 실시

2) 한국 교육 과정 평가원에서 실시하는 한국어 능력 시험 대비반 운영 (포천시 지원사업)

 

*문화 교류 사업

1) 아주 초등학교와 연계, 아주 초등학교 교사방문 한국문화예절 수업 실시

2) 아주초등학교와 연계 1일 어머님 선생님 다문화 수업 진행

3) 한국 가정 대상 다문화 여름 캠프 실시

 

* 방과후 학교 운영

1) 저스득 가정 및 자녀 교육에 어려움을 호소하는 가정, 맞벌이 가정 자녀드을 대상으로 매주 토욜일 전문 ㅏㅇ사, 경민대 사회복지학과 학생들의 지우너 하에 아동 보육 및 정서함양 프로그램, 학습지원, 체험 학습 등의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진행

 

* 다문화가정 가족모임 운영

1) 지역 사회 내 다문화 가정을 대상으로 격월(년 6회)  단위 가족 모임을 운영

2) 모임 시 부모 역할 훈련, 부부교육, 경제 교육, 성교육 등의 교육프로그램을 운영

3) 가족 관계 적응 훈련 : 가족 관계에 어려움을 호소하는 다무놔 가정의 찾아가는 상담 및 가족상담 실시

 

* 한국 사회 적응을 위한 문화 이해 활동

-한국 음식 만들기, 예절 교실, 염색 체험, 유적지 탐방, 관공서 견학 등 다양한 문화 체험의 기회를 제공

 

* 자원봉사자 발굴 및 다문화 자원 봉사자 교육 실시: 본 센터는 전원 자원 봉사자로 운영

 

 

4. 지도자 양성 사업 추진 계획

 

 

*목적

: 결혼 이민자의 주도적 참여를 유도하여 다문화 가정의 문제를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자립 능력을 키우고, 이주 여성의 잠재능력을 개발하여 다문화 사회 정착에 기여

 

* 사업 추진 기간

:2008.8 ~ 2010.8

 

* 사업 내용 및 추진 방법

-사업 대상

 

-장소

 

-계획 인원

 

-사업 내용

1) 지도자 양성 교육

2) 방과 후 학교  운영

3) 다문화 가정 멘토링 사업 운영

4) 다문화 가정 자립 지원을 위한 정보 제공

5) 지역 사회 네트워크 구축

 

-사업단계

1) 다문화 전문가 양성 교육

2) 자립 단체 활동

3) 평가

4) 프로그램 수정 보완 재교육

5) 활동

 

-사업 추진 방법

 

 번호 사업명 사업내용추진방법 
 1 지도자 양성 교육

 -한국어 교육 및 한국어 능력시험 (TOPIK)대비반 운영

-외국인 대상 한국어 강사 양성

-방과 후 외국어 강사 양성

-공공기관의 외국인 대상 통역 상담원 양성

-이주 여성을 위한 멘토 양성

 -방법: 강의, 실습교육

-일시:주2회

 2 방과 후 학교 운영

 -방과 후 보육 및 교육

-국어 능력 향상을 위한 학습지도,발음 교정

-정서 함양 프로그램, 체험학습 등

 -방법:자원 봉사자를 활동

-일시:주1회

 3 다문화 가정 멘토링 사업 운영

 -정기적인 가족모임을 통하여 수요자  중심의 다문화 정책을 제안

-가족단위 갈등해소를 위한 다양한 다문화 가족 교육 및 집단 상담 실시

 -방법:다문화 가족모임

-일시:격월

 4 다문화 가정 자립 지원을 위한 정보 제공

 -사회 보장 제도 안내 교육 및 우리나라 정부서 실시하는 각종 제도에 대한 교육 실시

-한국 사회의 이해 교육 실시

 방법: 교육 및 실습

-일시: 수시

 5 지역 사회 네트워크 구축

 -결혼 이민자 여성 자립을 위한 지원 단체 협의체 구축

-정기적인 사업 평가 및 사례회의 개최

-법인 설립 추진 및 대상자 발굴

 방법: 활동가의 활동,사례발표

일시: 수시

 

 

 

 

5. 기대효과

 

1) 전문 인력 양성 교육을 실시함으로써 결혼 이미자 여성의 능력을 높이고, 강점 활용

2) 이주민 여성 간 멘토링을 통해 문제 해결 능력을 높이고, 한국 생활의 적응을 도움

3) 자조 집단 활동을 통하여 결혼 이민자들의 자립 능력을 제고

4) 다문화 이해 교육활동을 통해 사회적 편견을 없애고, 사회 공동체를 이룸

 

6. 단체 설립을 위한 자원

 

1) 1차 한국능력 검정 시험을 (2009.4) 통화 한 이주여성 2명이 한국어 강사로 활동

2) 이주여성이 다양한 지역교육에 참여하여 통역사 (5명)로 활동

3) 본 센터의 한국어 교육을 통하여 경제활동 (3명) 으로 연계 : 의정부 외인 근로자 지원센터 통역사, 이민자사회통합 정책 모니터요원 활동, 중학교 영어 강사로 활동

4) 방과 후 교실 운영하여 영어교사 활동 (1명)

5) 국가별 가족 자조 모임 구성과 활동 ; 중국, 러시아, 베트남, 필리핀

6) 다양한 자원봉사자 인력보유 및 활동 : 참조

 

 

 

 

----------------------------------------------------------------

 

여기까지인데, 엄청 길죠?

저도 한번 해보려구요~6월5일까지인데, 부탁드려요~!  복 받으세요~

 

 

 

프로필 사진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