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영역
본인 명의의 농가 주택에서 거주하고 있습니다.
2019년 7월에 수선유지급여(대보수)를 신청하였습니다.
몆번의 보수 문의에 주민복지센타에서는 사업비가 책정되는 순서에 따라 보수가 진행될 것이라고 했습니다.
그러던중 2023년 6월경 보수를 할 것이라고 이야기를 했으나
7월에 장마로 인해 안방 천정에 비가 새는 사태가 발생했습니다.
그러자 담당 기관에서 보수시 붕괴 위험이 있어서 보수를 할 수 없다고 이야기를 했습니다.
대책을 문의하니 유주택자라 임대주택도 해당 안되니 집을 매각하고 임대주택을 신청하라는 답변을 들었습니다.
그런데 농가주택이라 매매도 안되는 상황입니다.
2023년 말 붕괴위험이 있으니 지붕을 비닐 천막으로 덥고 처마에 기둥을 세워 임시로 보강만 해주었습니다.
금년 3월에 해당 기관의 담당자에게 90대의 독거노인이 몇십년을 살던 곳에서 타지역으로 이주하여 생활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말하고 다시 보수를 요청했습니다.
그러나 7월에 다시금 어떠한 대안도 없이 보수 불가라는 통보를 받았습니다.
5년전에 대보수를 신청하였음에도 보수가 지연되어 발생되었고
그로인해 급여대상자가 피해를 입었는데
보수시 붕괴 위험이 있다는 집에서 독거노인이 거주하는 위험한 상황에 아무런 대책도 없는 것을
어디에 어떻게 하소연하면 되는지 모르겠습니다.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질문]
기초생활 수급자 주거급여
전남 보성에 거주하고 있는 90대의 독거노인 기초생활 수급자입니다.
본인 명의의 농가 주택에서 거주하고 있습니다.
2019년 7월에 수선유지급여(대보수)를 신청하였습니다.
몆번의 보수 문의에 주민복지센타에서는 사업비가 책정되는 순서에 따라 보수가 진행될 것이라고 했습니다.
그러던중 2023년 6월경 보수를 할 것이라고 이야기를 했으나
7월에 장마로 인해 안방 천정에 비가 새는 사태가 발생했습니다.
그러자 담당 기관에서 보수시 붕괴 위험이 있어서 보수를 할 수 없다고 이야기를 했습니다.
대책을 문의하니 유주택자라 임대주택도 해당 안되니 집을 매각하고 임대주택을 신청하라는 답변을 들었습니다.
그런데 농가주택이라 매매도 안되는 상황입니다.
2023년 말 붕괴위험이 있으니 지붕을 비닐 천막으로 덥고 처마에 기둥을 세워 임시로 보강만 해주었습니다.
금년 3월에 해당 기관의 담당자에게 90대의 독거노인이 몇십년을 살던 곳에서 타지역으로 이주하여 생활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말하고 다시 보수를 요청했습니다.
그러나 7월에 다시금 어떠한 대안도 없이 보수 불가라는 통보를 받았습니다.
5년전에 대보수를 신청하였음에도 보수가 지연되어 발생되었고
그로인해 급여대상자가 피해를 입었는데
보수시 붕괴 위험이 있다는 집에서 독거노인이 거주하는 위험한 상황에 아무런 대책도 없는 것을
어디에 어떻게 하소연하면 되는지 모르겠습니다.
[답변]
안녕하세요. 주거급여 에 대해 문의해주셨네요..
저도 주거급여에 대해 관심이 많아서 정보를 찾아보고 있습니다.
제가 알고 있는 정보를 바탕으로 답변을 드리겠습니다.
이 상황에 대해 다음과 같은 조치를 취해보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국민권익위원회 민원 신청:
온라인(www.epeople.go.kr) 또는 전화(110)로 민원을 제기하세요.
상황을 상세히 설명하고 적절한 주거 지원을 요청하세요.
지역 국회의원 사무실 접촉:
지역구 국회의원 사무실에 연락하여 도움을 요청하세요.
노인 복지와 주거 문제에 관심이 있을 수 있습니다.
노인보호전문기관 상담:
1577-1389로 연락하여 상황을 설명하고 조언을 구하세요.
노인 권익 보호를 위한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법률구조공단 상담:
132로 연락하여 무료 법률 상담을 받으세요.
행정적 대응 방법에 대해 조언을 받을 수 있습니다.
언론사 제보:
지역 언론사에 상황을 제보하여 사회적 관심을 유도할 수 있습니다.
주거복지센터 문의:
가까운 주거복지센터에 연락하여 대안적 주거 지원 방안을 문의하세요.
보성군청 직접 방문:
군수실이나 관련 부서를 직접 방문하여 상황의 심각성을 설명하세요.
이러한 다각도의 접근을 통해 문제 해결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노인의 안전과 주거권 보장이 중요한 만큼,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합니다.
이상으로 주거급여에 대한 답변을 마치겠습니다.
이외에도 주거급여의 신청자격,신청방법,가구원수별 지원금액, 소득기준 등에 대한 정보를 더 자세히 정리하여 블로그에 올려두었습니다.
블로그에서 더 많은 정보를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2024.0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