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영역
기능10급 운전직 공무원이..
일반 공채 말고
전환직 시험으로 일반행정이라던지..
다른 직렬로 응시가 가능한가요?
제가..9급을응시하는 수험생인데..마냥 놀면서 할수가없는데..
군시절 대형버스운전병이고..대형면허를 일찍따서..
혹 비슷한 기회가 생기면 응시를해볼 생각인데..
기능직10급 운전직에서 자동으로 일반전환 말고 전환직시험을 통해
일반직으로 전환이 가능한가요?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일반직에 대한 경쟁률로 인해 기능직 채용된 후 일반직으로의 전직을 예상하시는질문 같습니다.
다른분들이 답글 다신것으로 봐서 일반직 전환가능하다고 생각하는 오류를 범할까봐 정확하게 말씀드릴게요.
공무원은 소속에 따라 국가직과 일반직으로 나뉘는거는 아시죠. 행정안전부애 근무하면 국가직, 도시군에 근무하면 지방직입니다.
그리고 일반직과 기능직공무원으로 나뉩니다.
행정안전부에서 근무하는 9급 운전원이면 국가기능직 9급 운전원입니다.
경기도청에 근무하는 8급운전원이면 지방기능직8급운전원입니다.
여기서 눈여겨봐야할 것은 기능직의 인사권자는 시장,군수,구청장으로 이들의 고유권한이라는 얘기죠.
제가 지방운전원이기에 이번기회에 일반직으로 갈아탈려고 많은 노력을 하였으나 헛고생이 되었습니다.
행안부에서 내려온 일반직 전환 지침에 보면 사무직렬에6개월이상 근무해야 한다는 규정때문입니다.
운전원은 비사무직렬로 구분이 되어 있기에 일반직전환시험에 응시할 수 없음을 분명히 말해드립니다.
착오없기를. 예외적으로 몇몇 기관에서는 운전직도 가능하게 해준 기관이 실제로 있습니다.
이는 아주 희박한 기회로 서울시 금천구의 경우입니다.
전국의 모든 관공서 운전직이라 하더라도 사무를 보는 경우가 몇몇 존재합니다.
이런 경우 기초단체장의 고유권한으로 비사무직직렬(운전원)에서 사무직(사무,조무원)으로 변경을 한 후에 직렬변경을 통하여(이것도 전직이라합니다) 응시를 하게 해준 케이스이지만 이것 또한 기능직의 직렬변경권한을 가진 사람이 시장,군수,구청장입니다. 이 부분에서 행안부에서 내려온 운전직은 전환시험을 볼 수 없다라는 명확한 지침이 없기에, 또한 제가 행안부에 알아본 바로는 가부의 답을 주지 않고 지방자치단체 인사부서에 문의하라고만 합니다. 안된다는 내용은 없다라고 분명한 답변은 들었습니다.
다만 현실적, 일반적으로 불가하다는 얘기는 드립니다. 예외는 배제하고.
혹시나 자세한 정보를 더 구하고자 한다면 기능직 공무원 노조사이트를 찾아서 문의해보세요.
2011.12.25.
-
채택
질문자가 채택한 답변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