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영역
여기서 월평균 보수 , 정액급여는 어떻게 입력하면 될까요 ?
1. 실수령액 or 세전금액 ?
2. ex) 실수령액이 182만원이라고 가정 시,
월평균 보수 =
정액 급여 =
부탁드립니다~~!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안녕하세요, 근로복지공단 홍보단 꿈드림입니다. 문의주신 내용에 관하여 답변 드립니다.
1. 월평균 보수, 정액급여란 정확하게 일치하는 개념은 아니지만 근로소득세 등 세금, 사회보험료 공제전 금액이라는 점에서 실수령액보다는 세전 금액에 가까운 개념이라 하겠습니다.
- 월평균보수: 연간 보수총액을 해당 월수로 나눈 금액, 다만, 입퇴사월 근무일수가 20일 미만인 경우에는 그 달을 제외함('2021년 일자리 안정자금 사업 업무가이드' 참조)
- 정액급여: 소정근로시간에 대해 정기적,고정적으로 지급받기로 한 보수의 합계(기본급, 직급수당, 근속수당 등)
2. 따라서 매월 월급으로 200만원(기본급으로만 구성) 계약 후 1월 1일~12월 31일 근무하였다면
- 월평균보수=2400만원/12월=200만원
- 정액급여: 월급 200만원이 되겠습니다.
※위 답변은 답변 당시의 상황에 따른 것으로 법령 개정, 개인의 구체적인 사실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자세한 상담은 근로복지공단 콜센터(☎1588-0075) 또는 가까운 근로복지공단 소속기관에 문의 바랍니다.
2021.01.13.
-
채택
질문자가 채택한 답변입니다.

당장의 보험료가 저렴한곳을 선택할지 또는 앞으로 계속 미래를 보며 보험료가 좀 더 나오더라도 안정적인곳은지 이런것도 확인을 해보세요
보험 가입을 알아보실때에 담보성도 충분히 고려해보셔야 합니다
특약 설정과 담보는 어떻게 되는지 보험 설계할때 꼼꼼히 파악해주셔야 할부분인거 같습니다
같은 보험이라도 보험회사별 월 납부 보험료는 어디가 저렴한지 이런것도 비교해보시고 보험사를 선택하세요
국내 보험사뿐만 아니라 외국 보험사도 그렇고 보통 보험은 많이들 취급을 하고 있는거 같더라구요
보험사별 보장내역을 잘 비교를 해보시고 좋은곳을 찾아서 가입하는것이 좋겠죠
질문하셨던 보험에 대해선 밑에 링크를 통하셔서 빠르게 무료상담을 받아보시고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2021.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