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영역
노인돌봄서비스 관리자의 업무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생소한 사업인지라.. 궁금하네요.
간략히라도 좋고, 자세한 답변이면 더욱 좋고 감사합니다!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네 안녕하세요 ^^
처음으로 시작되는 사업이라 모두 생소합니다. 보건복지부 지침을 보면 할 업무를 대략적으로
알 수 있습니다.
2) 노인돌봄서비스관리자(이하 '서비스관리자')
가) 인원 : 시·군·구별 1인∼2인 (노인돌보미 수 및 예산사정에 따름)
※ 배정된 노인돌보미가 25명 이상 ~ 40명 미만인 기관은 노인돌보미 1인을, 노인돌보미가 40명
이상인 기관은 노인돌보미 2인을 서비스관리자 보조인력으로 활용 가능(단, 서비스관리자가
2인 이상인 기관은 제외)
나) 자격 및 근무조건
◦ 자격:사회복지사 자격증 소지자, PC 및 엑셀프로그램 능통자
◦ 근무장소 : 사업수행기관
◦ 근무기간 : ʼ11.1~12월
※ 노인돌봄기본서비스사업의 경우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제4조
제1항 단서, 동법 시행령 제3조제2항에 해당되어 2년 이상자에 대해서 재계약 가능
◦ 근무시간 : 월~금요일(09:00~18:00)
◦ 보 수 : 월124만원(4대 보험 적용)
※ 휴가 등 기타 복무사항은 근로기준법에 따름
다) 업무 내용
◦ 노인돌봄기본서비스시스템 관리
※ 11년부터 독거노인 대상의 자원배분, 서비스 제공인력 대상의 자료배포 및 퇴직금 산정
등은 동 시스템에 입력된 현황을 기준으로 이루어지므로, 독거노인 지원카드 , 제공인력
현황 등에 대한 철저한 입력 및 관리 필요
◦ 독거노인의 욕구에 따른 서비스 계획 수립
◦ 독거노인의 복지욕구에 따른 필요서비스 연계 및 조정
노인돌보미 업무지원 및 복무 관리 ◦
◦ 서비스 대상자에 대한 정확한 현황 파악 및 노인돌보미 복무 관리를 위해 독거
노인 가정 현장 방문
◦ 독거노인 생활교육 계획 수립
◦ 종교기관, 기업, 학교의 자원봉사 활동 등 지역내 복지자원 조사, 발굴, 연계
※ 사회복지학과 대학생 현장실습 교육을 적극 활용하여 행정 및 현장 업무의 지원인력으로 활용
권고
◦ 사업실적 보고
※ 노인돌봄종합서비스를 통합운영하는 기관의 서비스관리자는 바우처사업 관리업무 겸직
불가
2) 서비스관리자
◦ 집합교육
- 교육대상자 : 서비스관리자
- 교육주관:보건복지부
- 교육방법 : 집합교육(세부사항 별도 통보)
도움이 되셨는지요 ^^;;
2011.03.28.
-
채택
질문자가 채택한 답변입니다.
-
출처
보건복지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