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영역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안녕하세요
이로운.새로운.까다로운
세무조사 전문 " 로운세무법인 " 박정우 세무사 입니다.
1. 두 조건을 다 충족해야지 되는거죠?
→ 생산직 및 그 관련직에 종사하는 근로자가 연장근로수당 등에 대해 비과세를 적용받기 위해서는
월정급여 210만원 이하 요건과 직전과세기간의 총급여 2500만원 이하 요건을 동시에 충족해야됩니다.
2. 중도입사자 경우 직전년도 소득을 개인적으로 확인 해야하나요?
→ 직전연도 소득에 대해서는 회사 자체에서 확인은 불가능 하고,
근로자에게 소득금액 증명원을 제출할 것을 요청드려야 할것 같습니다.
소득금액 증명원은 홈택스나 세무서에서 발급 가능합니다.
3. 2 질문중 해당이 될경우 월정액 계산시 총급여에서 근로월수로 평균을 계산 하는건가요?
→ 월정액급여란 근로 월수 평균이 아닙니다.
월정액급여 = 급여총액(부정기적 급여와 실비변상적 성격의 비과세급여 제외) - 연장./야간근로등 통상임금에 더
하여 받는금액
입니다. 따라서 해당월에 월정액 급여를 초과하면 비과세가 되지않고 해당월에 월정액급여 이하인경우 비과세소득
이렇게 됩니다.
4. 중도입사자면서 전년도 소득 없고, 2~10월은 월정액 210이하 11월~12월 210만 초과
이럴경우엔 어떻게 되는거죠...?
→ 위에서 말씀드린것과 같이 월정액급여는 월마다 판단해서 과세 비과세로 나누어 주시면 됩니다.
2~10월에는 연장근로수당에 대해 비과세, 11~12월에는 연장근로수당을 과세
이렇게 해주시면 됩니다.
이상 " 로운세무법인 " 박정우 세무사 였습니다.감사합니다.
2020.02.13.
-
채택
질문자가 채택한 답변입니다.
엑스퍼트 전문가를 모십니다! 지식 공유하고 수익도 창출할 수 있는 기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