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영역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평가손익에 2가지가 있습니다. 체결잔고와 결제잔고인데요, 체결 잔고는 전일까지 거래를 반영하구요, 결제잔고는 거래 이후 3거래일이 지나야 반영이 됩니다. 아마도 결제잔고를 본 것 같습니다. 체결 잔고에는 UAL이 매도한만큼 안 보일 겁니다.
2021.04.21.
-
채택
질문자가 채택한 답변입니다.
안녕하세요~주린이를 위한 '미국주식으로 노예탈출' 블로그 운영 중입니다.
질문자님의 상황을 자세히 알수 없어 명확하게 알기 어려우나 매수시점과 매도시점의 환율차이로 인한 환손실로 주가는 올랐어도 현재 손실을 기록 중인게 아닐까 싶네요~
해외주식 수익률을 계산하려면 본인이 사용하는 증권사의 환전 및 거래수수료율과 매수시점과 현재의 환율차이를 고려해야 합니다.
먼저 거래수수료는 증권사 마다 그리고 같은 증권사라도 가입시점에 따라 수수료가 다릅니다.
증권사마다 보통 0.25%~0.07%를 적용하니 가급적이면 수수료가 적은 곳으로 거래하시면 좋습니다.
저는 키움증권에서 협의수수료 0.07% 적용받고 있습니다.
그리고 달러로 환전해서 매수할 경우 환전수수료도 발생합니다.
키움에서 환율우대 받을 경우 환전수수료는 약 0.05% 발생합니다.
제 경우 수수료만 계산해 본다면 원화를 달러 환전→주식 매수→주식매도→달러를 원화 환전해서 최종 현금화 한다면 수수료만 약 0.24% 발생합니다.
1회 거래수수료만 0.25% 발생하는 증권사도 있으니 수수료가 증권사 선택의 가장 중요한 기준이라 생각됩니다.
마지막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은 환율입니다.
달러가 비쌀 때 달러로 환전해서 투자했다가 매도 시점에 달러가 약세일 경우 주식으로 돈을 벌었어도 환차손으로 상쇄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극단적인 경우를 예로들면 코로나로 전세계 증시가 폭락했을때 원달러 환율이 1,200원 정도 까지 갔는데 현재 약 1,100원입니다.
만약 코로나 폭라 때 달러로 환전해서 투자했으면 현재 환차손이 약 -8% 발생하기 때문에 주식으로 9%정도 내야 다른 수수료까지 고려했을 때 본전치기 겨우 하겠네요~~
거래수수료와 환전수수료에 대해서는 아래 블로그 글을 참고하세요~
이외에도 주린이분들에게 도움이 될만한 미국주식 투자팁이 많으니 블로그 한번 둘러보세요^^
2021.04.21.



엑스퍼트 전문가를 모십니다! 지식 공유하고 수익도 창출할 수 있는 기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