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뉴스데스크
기자이미지 정동욱 현원섭

[집중취재] 北 '고각발사' 미사일 요격, 中 반발 막을 묘수는?

[집중취재] 北 '고각발사' 미사일 요격, 中 반발 막을 묘수는?
입력 2016-07-12 20:07 | 수정 2016-07-12 20:28
재생목록
    ◀ 앵커 ▶

    들으신 것처럼 사드 배치지역 결정은 이제 행정적 절차만 남은 셈입니다.

    한미 양국은 북한으로부터 한반도를 방어하려면 사드가 필요하다는 입장이지만 중국의 반발이 여전히 거센 상황인데요.

    오늘 이 부분 집중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정동욱 기자, 먼저 사드가 기존의 미사일 방어체계와 다른 점은 뭡니까?

    ◀ 기자 ▶

    북한은 올 들어 핵탄두나 화학탄을 탑재해 남한을 공격할 수 있는 탄도 미사일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미사일 사거리를 줄이는 대신 발사 각도를 수직에 가깝게 하는 '고각 발사'를 시도했습니다.

    '고각 발사'를 하는 이유는 탄두를 실은 미사일을 최대한 높이 쏘아 올려 요격을 어렵게 만든다는 것입니다.

    6번 만에 발사 성공한 무수단 미사일은 1천4백km 이상 높이까지 올라갔다가 직선거리 400km 정도의 동해상에 떨어졌습니다.

    방향만 남쪽으로 돌리면 우리나라에 대한 탄도 미사일 공격이 가능하다는 점을 과시한 것으로 보입니다.

    지난 3월에도 북한은 노동미사일을 이용한 '고각 발사'를 시도하면서 핵 EMP 실험 가능성을 시사하기도 했습니다.

    ◀ 리포트 ▶

    [조선중앙TV (지난 3월)]
    "목표 지역의 설정된 고도에서 핵전투부(핵탄두)를 폭발시키는 사격방법으로 진행됐습니다."

    한국원자력연구원에 따르면 100킬로톤의 핵탄두가 서울 상공 100km에서 터지면 강력한 전자기 펄스, EMP가 발생해 서울부터 계룡대까지 모든 전력과 통신망이 파괴됩니다.

    북한의 탄도 미사일이 대기권에 재진입한 뒤 가속도가 붙기 전에 최대한 높은 고도에서 요격해야만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한미 군 당국이 배치를 결정한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사드는 음속의 8배인 마하 8의 속도로 최대 150km 높이까지 올라가 적의 탄도 미사일을 요격할 수 있습니다.

    [김대영/한국국방안보포럼 연구위원]
    "높은 고도에서 미사일을 요격할 경우 그만큼 요격 기회도 늘어나고 EMP탄이라든지 아니면 화학탄을 조기에 처리할 수 있어서 지상에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사드가 요격에 실패하면 그 아래 고도에선 우리 군이 개발 중인 L-SAM 미사일이 요격에 나서고 M-SAM과 패트리엇 미사일이 최종 요격에 나서는 중첩 방어가 가능해집니다.

    ◀ 기자 ▶

    한미 양국은 한반도에 배치될 사드 포대의 레이더가 북한의 미사일 발사를 탐지하기 위해 북쪽을 향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탐지거리도 북한의 미사일에만 국한시켜 운영할 계획입니다.

    하지만 중국은 연일 반대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는데 중국의 진짜 속내는 무엇인지, 또 반발을 누그러뜨릴 해법은 없는 것인지 계속해서 현원섭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 리포트 ▶

    중국은 한반도의 사드 배치가 한반도 평화에 도움이 안될뿐더러 중국 안전에도 심각한 영향을 준다고 반대하고 있습니다.

    특히 "어떤 변명도 무기력하다", "사드에 상응한 조치를 하겠다"며 연일 거세게 목소리를 높이고 있습니다.

    그러나 사드는 순전히 방어를 위한 것이지 중국을 공격하는 체제가 아닙니다.

    그런데도 중국이 반발하는 것은 동북아 지역에서 한·미·일의 안보협력 체제가 강화되면서 통합적인 미사일 방어시스템, 즉 MD가 출범되고 나아가 대만까지 확장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입니다.

    중국 중심의 동아시아 질서재편에 걸림돌이 된다는 것입니다.

    [루캉 중국 외교부 대변인(어제)]
    "한국이 미국의 사드 배치에 동의함으로써 지역의 전략적 균형이 파괴되는 비상국면에 휘말려들 것입니다."

    사드 레이더가 중국 내 전력을 탐지할 수 있다는 중국 주장도 설득력이 떨어집니다.

    사드 탐지거리는 한반도에 국한될 뿐이고 중국의 군사 동향은 이미 미국, 일본의 정찰자산으로 손바닥 보듯 파악되고 있습니다.

    다수 전문가들은 북한의 핵위협에 직면한 한국의 생존권 문제에 대해 중국이든 어느 나라든 간섭할 사항이 아니라는 입장입니다.

    다만 경제 문제를 간과할 수 없는 만큼 중앙아시아 인프라건설 등 중국과의 공동 투자를 확대해 양국이 경제적 협력 동반자임을 지속적으로 보여주는 것은 필요하다고 조언합니다.

    [김한권/국립외교원 교수]
    "협력할 공간을 높이면서 양국이 실질적인 경제 이익을 추구함으로써 양국관계를 한층 강화하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이달 열리는 두 차례 외교무대, 아셈 정상회의와 아세안지역안보포럼에서 한국 중국 양국이 어떤 접점을 찾을지 주목됩니다.

    MBC뉴스 현원섭입니다.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인기 키워드

        취재플러스

              14F

                엠빅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