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영역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ChatGPT를 이용하지 않고 성실히 답변을 드리겠습니다.
"미래 가계부"로 은퇴설계를 도와 드리는 연금컨설턴트 김용준 입니다.
■ 내외경제TV 출연 https://www.youtube.com/watch?v=f9CxnIpfdPI
1. 월 250에 여유돈이 계속 발생하고 잇습니다
2. 지금 연금저축하고 irp에 75만원 연 900 연말정산용으로 / 타이거 미국배당다우존스-66만원
타이거 미국나스닥100tr채권혼합FN(30%) 이렇게 넣고 잇습니다
3. 지금 연금저축 한도액이 1320만으로 남아있습니다 / 480은 납입이 끝난 동부화재 연금에 묵엿있습니다
4. 직장을 다닐동안 월 175만원이 남는데요
=> 답변 드립니다.
1) 동부화재(DB손해보험)에 있는 연금저축은 증권사 "연금저축펀드"로
이전하여 펀드 운용하시는 것이 수익률에 도움이 됩니다.
2) 나열하신 2,3번의 내용을 보니 오해를 하시는 것이 있습니다.
900만원 한도는 연금저축 600+IRP 300만 한도이고
IRP만 하면 900만 한도입니다.
3) 연금저축한도를 1320만으로 하셨는데 납입한도 1800만원으로
보시고 말씀을 하시는 거 같습니다.
연금저축의 세액공제 한도는 600만이라 1200만원은 세액공제를
못받습니다.(나중에 중도인출 과정이 복잡해질 수 있습니다)
5. 연금저축 한도액까지 다 채워서 연금저축에 더 넣아야 할가요?
=> 가
6. 아니면 ISA계좌에 투자 햇다가 3년뒤에 연금으로 옴기는게 나을가요?
=> 가능합니다. 다만 한도가 있기에 장단점은 미리
체크를 해보시기 바랍니다.
(해외주식 직접 투자 불가)
7.연금이 더 유리하면 동부화제에 잇는 연금저축을 해지해서 연금저축 한도액을 늘리는게 나은가요?
10. 동부화제 납입이 다끝난 연금한도 480만을 해지 하지 않고 없앨수는 없는 건가요?
=> 위에 답변과 같이 증권사 "연금저축펀드"로
이전하여 펀드 운용하시는 것이 수익률에 도움이 됩니다.
8. 어느 쪽이든 나머지 여유돈으로 주식을 더 매입한다면
9. 같은 타이거 미국배당다우존스를 더 매입하는게 낳은가요?스파이 S&P500 나 큐큐큐 등을 석어서 매수
하는게 낳을가요?
=> 펀드는 상향과 선호도에 따라 달라서 계속 공부하시면서 종목을
고르시기 바랍니다.
연금저축/IRP의 장단점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연금소득세를 내는 것은 아실테니
중도인출 시 유불리를 잘 보시기 바랍니다.
*소득이 높으면 세액공제 13.2%를 받는데
중도인출 시에는 인출금액에 16.5%를 내게되어
-3.3% 손해가 됩니다.
*연금저축은 중도인출이 가능하나 IRP는 중도인출이 안되어
전액 해지가 되면서 해지금액의 16.5% 기타소득세를 내게 되어
연금저축부터 먼저 하시는 것을 권장 해드립니다.
--------------------------------
연금저축/IRP의 장점
1. 세액공제 혜택
1) 납입 금액(최대 900만원 한도) 에 대해서 세액공제
*세액공제율은 소득 기준에 따라 13.2% 또는 16.5%
(소득 기준은 총급여액 5500만원/총소득액 4000만)
연금저축/IRP의 단점
1. 본인이 운용을 해서 수익을 올려야 하니 불편함
2. 급전 필요로 인출 시
1)연금저축은 중도인출은 가능하나 제약이 있음
*세액공제 받은 인출금액은 기타소득세 16.5% 부과됨
(특별한 사유로 인출 시 3.3~5.5% 부과됨)
*세액공제 안받은 것은 국세청 자료를 근거로
공제 안받은 것을 소명 후 인출 가능하고
기타소득세 부과 안됨
2)IRP는 중도인출은 안되어 해지됨에 따라
기타소득세 16.5% 부과됨
3. 연금 수령 시 세금 납부
1) 1500만원 이하 수령 시는 3.3~5.5% 납부
초과 시에는 분리과세 16.5% or 종합소득세 중 선택
위에 내용을 요약하면
연금저축, IRP, ISA 순으로 하시고
남는 금액이 있으면 세금을 1도 안내는
비과세연금보험에도 관심을 가져보시기 바랍니다.
* 연금저축,IRP는 연금재원이 소진되면 끝나는데
비과세연금 중에는 연금재원이 소진되어도
생존기간 동안 계속해서 연금을 드리는 상품도
있으니 이것은 각종 연금간에 금액비교를
해보시면서 방향을 설정하시는 것은 어떨까 합니다.
#노후 #연금 #IRP #퇴직연금 #비과세 #ISA #공적연금
#개인연금 #연금저축 #연금보험 #세액공제 #연금소득세
#국민연금 #군인연금 #공무원연금 #교원연금 #사학연금
#펀드 #채권 #최저5%보증 #20대 #30대 #40대 #우체국연금
#50대 #60대 #70대 #80대 #고갈 #교직원공제회 #저축보험
#장기저축 #송은이적금 #노후적자흑자분석 #상속 #증여
#노란우산공제 #장애인연금 #자동차보험 #자동차사고
#자동차상해 #대인 #대물 #구상권 #화재 #배상 #사고
#전세 #월세 #자가 #구상권 #화재벌금 #금리 #행복드림
#그랑에이지 #탄탄한변액연금 #5% 보증 #주택연금
#하나로연결되는변액연금 #연금고갈 #은퇴 #은퇴설계
#귀농 #귀촌 #장수리스크 #장수Risk #장수리스크
2024.03.21.
-
채택
질문자가 채택한 답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