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VER

사용자 링크

Q&A 영역

질문 장애인고용촉진공단이라는곳이 정부산하 기관인가요? 직원들은공무원이 아닌가요?
hyou**** 조회수 11,226 작성일2012.07.20

 장애인공단이 공기업이 아닌가요? 운영은 누가 하나요?

그렇다면 단순히 장애인들 취업시켜준다고 수입이 발생하는것도 아니고,

수익은 어떻게 발생해서 직원들 월급주나요? 아시는분 답변 부탁드려요.

프로필 사진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2개 답변
1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주인공
별신
카지노게임 47위, 꿈, 해몽, 정치인, 공무원 분야에서 활동

많이 알려고 하지 마세여

 

 

 

2012.07.20.

  • 채택

    지식인 채택 답변입니다.

  • 출처
2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호프맨
은하신
감염내과 52위, 재난재해 25위, 장애인복지 34위 분야에서 활동

공공기관(공기업) 입니다.

 

정의

서울특별시 용산구 동자동에 있는 정부출연기관.

개설

장애인의 고용촉진과 직업안정을 지원한다. 장애인의 직업상담, 취업알선, 교육홍보, 직업훈련, 기금지원 및 융자, 조사연구 등 직업재활사업을 전문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1990년 9월 1일 설립되었다. 1990년 1월 13일 ‘장애인고용촉진 등에 관한 법률’이 공포된 뒤, 1990년 9월 1일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이 설립되었다.

연원 및 변천

1992년 1월 1일 산업인력관리공단에서 일산직업전문학교를 인수하였으며, 1993년 7월 1일 인천과 광주·대전 사무소를 열었고, 1994년 5월 1일 수원사무소, 1994년 7월 1일 대구와 전주사무소를 열었으며, 이어 1995년 4월 1일 서울사무소, 또 같은 해 11월 1일 창원과 원주사무소를 열었다. 그리고 1996년 3월 25일에는 청주사무소를 열었다.

또한 1997년 2월 서울남부사무소를 열었으며, 같은 해 8월 1일 서울남부사무소에 직업능력평가센터를 부설하였고, 또 같은 해 9월 2일 부산사무소 직업능력평가센터를 부설하였으며, 11월 14일 부산직업전문학교를 설치하였다. 1998년 1월 1일 직업재활종합센터를 설치하였으며, 12월 1일 광주와 대전사무소 부설 직업능력평가센터를 설치하였다. 1999년 9월 22일 대전직업전문학교를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다.

공단 본부의 조직과 기구는 이사장 아래 기획관리이사와 고용촉진이사가 있고, 별도로 감사가 있다. 그리고 기획관리이사는 기획관리국(기획예산부·총무부)과 대외협력실을, 고용촉진이사는 직업재활국(직업재활부·훈련관리부)과 고용지원국(고용지원부·정보관리부)을 담당한다.

기능과 역할

공단의 주요 기능은 ① 장애인의 고용에 관한 정보의 수집·분석·제공 및 직업 소개, ② 장애인의 고용촉진 및 직업재활에 관한 조사·연구, ③ 장애인 적응훈련 및 장애인 직업생활상담원 양성·연수, ④ 사업주와 관계기관에 대한 직업재활 및 고용관리에 관한 기술적 사항 지도·지원, ⑤ 장애인에 대한 적성검사·직업지도·평가, 기타 직업에 필요한 지식과 기능교육, ⑥ 장애인 직업훈련원 및 장애인 표준사업장 운영, ⑦ 장애인 고용촉진을 위한 홍보·교육 및 장애인 기능경기대회 등 관련사업, ⑧ 기타 장애인의 고용촉진을 위해서 필요한 사업 및 노동부장관 또는 중앙행정기관의 장이 위탁하는 사업 등이다.

산하기관은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의 직업재활종합센터, 경기도 고양시 탄현동의 일산직업전문학교, 부산시 정관면 달산리의 부산직업전문학교(2000년 7월 개교 예정), 대전시 대덕구 신일동의 대전직업전문학교(2000년 3월 개교 예정) 등 4개소가 있다.

또 분사무소는 서울특별시 종로구 안국동의 서울중부사무소와 동작구 신대방동의 서울남부사무소,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의 부산사무소, 인천광역시 남구 도화동의 인천사무소, 광주광역시 북구 우산동의 광주사무소, 대전광역시 동구 용전동의 대전사무소,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6동의 대구사무소,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인계동의 수원사무소,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인후동의 전주사무소, 경상남도 창원시 중앙동의 창원사무소, 강원도 원주시 개운동의 원주사무소,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사창동의 청주사무소 등 전국에 12개가 있다.

지방사무소는 직업재활부와 고용촉진부가 있다. 직업재활부에서는 ① 구직상담, 취업알선 및 사후 적응지도 등 취업관리, ② 정신지체인의 직업영역 개발을 위한 정신지체인 직업영역 확대, ③ 장애인의 직업적응을 도와 주는 적응훈련, ④ 구인상담, 취업알선 및 사후 적응지도 등 고용관리를 담당한다.

한편, 고용촉진부에서는 ① 기금지원 및 융자사업, ② 장애인 복지공장 설립자금 지원, ③ 장애인 고용시설자금 무상 지원 및 융자, ④ 장애인 고용보조금 지급, ⑤ 장애인 통근차량 구입자금 융자, ⑥ 장애인 고용관련 특별 비용 지원, ⑦ 장애인 직업재활시설 지원, ⑧ 직업능력개발사업, ⑨ 기능경기대회 개최 등을 주요 업무로 하고 있다.

공단은 향후 장애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직업안정을 도모하기 위하여 ① 직업재활 서비스 지원체제 구축, ② 직업훈련 확대, ③ 고용촉진 기반 조성, ④ 전국직업재활정보망 구축, ⑤ 장애인 직업재활정보망 구축, ⑥ 장애인 고용시범사업장 설치·운영, ⑥ 지방기능경기대회의 전국 확대실시 등의 사업을 계획, 추진하고 있다.

2012.07.20.

  • 채택

    질문자가 채택한 답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