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VER

사용자 링크

Q&A 영역

질문 민간임대주택사업자 소유권이전 문의
비공개 조회수 2,650 작성일2024.08.22
매수인입니다. 법무사에 일을 맡기려고하는데요.

그전에 궁금해서 여쭈어봅니다.

현재 매도인은 임대사업자이며,

거래 부동산은 민간임대주택으로 등록되어있습니다.

등기부상 매도인의 취득년도는 2017년 3월,   2019년 10월에 민간임대주택등록

2022년 12월에 민간임대주택으로 등기.

이렇게 되있는데요.

Q1) 소유권이전 하기전에 약정/금지사항/환매특약을 말소하고 진행하는것이 맞지요?

Q2) 지금 이 상태에서의 매수매도가 가능한가요?  임대사업자 의무기간이 10년 어쩌고 하던데..
가능한지 여쭙습니다..

고견부탁드립니다.




프로필 사진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1개 답변
1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박영재
변호사 열심답변자
법무법인 창세

안녕하세요. 서울지방변호사회 소속으로 지식iN 법률상담을 진행하고 있는 박영재 변호사입니다.

임대사업자 부동산 매수 관련 질문에 대해 답변드리겠습니다.

Q1. 소유권이전 하기 전에 약정/금지사항/환매특약을 말소하고 진행하는 것이 맞지요?

  • 일반적인 경우: 네, 맞습니다. 소유권 이전 전에 등기부상에 기재된 모든 권리 관계를 정리하고, 매수인에게 불리한 조건은 해소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특히, 약정, 금지사항, 환매특약 등은 소유권 행사에 제한을 가할 수 있으므로 미리 해소하는 것이 좋습니다.

  • 개별 계약 조건: 하지만 민간임대주택의 경우, 임대차 계약 기간, 임대료 조정 등 다양한 조건이 계약서에 명시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계약서 내용을 꼼꼼히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법률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해당 조건들이 소유권 이전에 문제가 되지 않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Q2. 지금 이 상태에서의 매수매도가 가능한가요? 임대사업자 의무기간이 10년 어쩌고 하던데..

  • 민간임대주택 의무 임대 기간: 민간임대주택은 일반적으로 일정 기간 동안 임대를 유지해야 하는 의무가 있습니다. 귀하가 언급한 10년이라는 기간은 일반적인 임대 의무 기간 중 하나일 수 있지만, 실제 의무 기간은 계약 조건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 매도 가능 여부: 만약 매도인이 임대 의무 기간을 채우지 않았다면, 임대 의무 위반으로 인한 법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매수인은 매도인이 임대 의무를 이행했는지, 향후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은 없는지 꼼꼼히 확인해야 합니다.

  • 매수 시 주의사항: 임대사입 후에도 임대 계약이 유지되는 경우, 임대료 미납 등 임차인과의 분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임대 계약 내용을 충분히 검토하고, 필요한 경우 임차인과의 관계를 정리하는 절차를 진행해야 합니다.

결론적으로, 민간임대주택 매수는 일반적인 부동산 거래보다 더욱 신중하게 접근해야 합니다.

  • 법률 전문가와 상담: 반드시 변호사와 상담하여 계약 조건, 임대 의무, 세금 문제 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듣고, 계약서 검토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 등기부등본 확인: 등기부등본을 꼼꼼히 확인하여 소유권 이전에 문제가 될 수 있는 권리 관계가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 임대차 계약 확인: 임대차 계약서를 확인하여 임대 기간, 임대료, 임차인의 권리 의무 등을 파악해야 합니다.

  • 세금 관련 상담: 부동산 매매 시 발생하는 세금 문제에 대해 세무사와 상담하여 절세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좋습니다.

"We Believe in JUSTICE"

창세는 법이 공평하다고 믿습니다.

전관예우, 돈 많은 사람이 이긴다는 편견에 맞서 싸우겠습니다.

"창세 법률사무소 상담 대표전화 1566 - 6107"

https://changselaw.com/

2024.08.22.

본 답변은 참고용이며, 답변을 제공한 개인 및 사업자의 법적 책임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