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영역
복지로 모의계산 있는 거 압니다 무식해 잘못해서 계산좀 부탁 드리는 겁니다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안녕하세요.
제가 계산해봤을 때는 기준선정액에서 거의 10~20만원? 아무리 많아봐야 30만원 정도 밑의 소득인정액인 것 같습니다.
지금 부부가구라서 기준선정액이 323만원인데 거의 300만원 가까이 되는 것 같은데요.
그럼 아마 기초연금도 부부감액 20%에서 조금 더 깎여서 받으시지 않나 모르겠습니다.
만약 농어촌으로 이사가시면서 집을 그대로 가지고 계시게 되면
기본재산액(재산에서 공제되는 금액)이 적어지기 때문에
수급기준에서 떨어질 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여기서 지금 가족이신 질문자님께 임대를 주고 있기 때문에 더 소득으로 잡힐 겁니다.
보통 임대차는 임대보증금을 부채로 쳐서 재산에서 빼주는데
가족의 경우는 그렇게 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공시지가 3억 9천의 50%인 1억 9천 5백까지 임대보증금은 부채로 인정되므로
전세나 월세나 보증금은 많이 하시면 소득인정에서 유리합니다.
그리고 월세는 임대소득으로 들어가게 됩니다. 이것만 보면 전세가 유리하긴 합니다.
정리하자면 전세는 보증금이 부채로 들어가 재산에서 빠지고
월세는 임대소득으로 들어가게 됩니다.(경비를 빼면 약 수입의 60%정도 소득으로 들어감)
이를 참고하시어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추가 질문은 확인하지 못하는 점 양해바랍니다.
2023.08.15.
안녕하세요 채택률이 낮으면 답변이 안달리는 점 유의 바랍니다 ^^
기초연금 모의계산을 위한 정보 확인
- 부모님께서는 현재 경기권에 거주하고 계시며, 각각의 명의로 아파트 두 채를 보유하고 계십니다.
- 한 채는 제가 1억2천7백을 주고 전세를 살고 있으며, 공시가는 3억9천입니다.
- 다른 한 채는 부모님이 거주 중이며, 공시가는 3억9천 정도입니다.
- 부모님께서는 시골 고향으로 이사를 가시려는데, 보증금 5백에 월세 5십에 방을 구하셨습니다.
- 제가 드린 1억2천7백과 금융재산 7천이 부모님이 가진 전부입니다. 다른 재산과 소득은 일체 없습니다.
- 연금 등도 전혀 없습니다.
기초연금 모의계산 결과
- 기초연금은 지급 기준일 현재 65세 이상이면서, 가구원 수가 2명 이하인 경우 최저생활비 이하 소득이 있는 경우 지급됩니다.
- 경우에 따라서는 자산이나 부동산도 고려될 수 있습니다.
- 부모님께서는 아파트를 비울 예정이므로, 기존에 받던 기초연금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주거지에서도 최저생활비 이하의 월 소득을 유지해야 합니다.
- 보증금 5백에 월세 5십에 방을 구하셨으므로, 기초연금 유지를 위한 최저생활비 기준 1인당 33만원 이하의 월 소득은 충분합니다.
- 따라서, 새로운 주거지에서 전세는 1억2천7백을 받아도 되며, 월세는 보증금 5백에 월세 5십을 받아도 괜찮습니다.
- 다만, 상황이나 가계형태 등에 따라 개별적으로 변동될 수 있으므로, 복지로 모의계산을 통해 자세한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채택률이 낮으면 답변이 안달립니다! 채택 부탁드립니다^^
2023.05.03.
-
채택
질문자가 채택한 답변입니다.

부모님이 기초연금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소득인정액이 부부가구 기준 284만 원(2024년 기준)을 넘지 않아야 합니다. 이를 바탕으로 전세나 월세로 임대할 아파트의 임대료 조건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현재 상황:
거주 아파트: 공시가 3억9천만 원 (자택으로 거주 시 재산에서 제외 가능).
임대 아파트: 공시가 3억9천만 원, 자녀가 전세금 1억2천7백만 원을 지급.
금융재산: 7천만 원.
새로 구한 시골 주택: 보증금 5백만 원, 월세 50만 원.
기타 소득: 없음.
소득인정액 계산 개요
금융재산: 7천만 원 → 월 소득환산율(4.17%)로 약 2.9만 원 소득인정액.
임대 아파트: 현재 전세금 1억2천7백만 원을 받았으나, 남은 가치 2억6천3백만 원이 재산으로 평가될 수 있습니다. 이 재산은 소득환산율 4.17%로 계산되며, 월 약 10.9만 원으로 환산됩니다.
시골 주택 월세 50만 원: 주거비로 월세 50만 원이 나가지만, 이는 소득인정액에 직접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보증금 500만 원은 거의 무시해도 될 수준입니다.
전세 또는 월세에 따른 소득인정액 변화
전세로 임대할 경우: 전세금이 약 2억 원 이하라면 소득환산율로 월 6-7만 원 정도 추가 소득으로 계산됩니다. 이 경우 소득인정액이 284만 원을 넘지 않으므로 기초연금을 유지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월세로 임대할 경우: 월세 50만 원 이하로 설정하면 월 소득이 추가되지만, 이 역시 284만 원 기준을 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보증금을 설정해 재산을 줄이고, 월세를 낮추는 것이 유리합니다. 보증금은 최대 2억 원까지 설정하면 소득환산액이 낮아집니다.
결론:
전세로 임대할 경우: 전세금 2억 원 이하로 설정.
월세로 임대할 경우: 보증금 2억 원, 월세는 50만 원 이하로 설정.
이렇게 하면 소득인정액이 기초연금 수급 조건에 맞을 확률이 높습니다.
해당링크에서 자세하게 내용을 확인하세요.
2024.09.25.
-
채택
질문자가 채택한 답변입니다.

질문 : 복지로 모의계산 있는 거 압니다 무식해 잘못해서 계산좀 부탁 드리는 겁니다
>> 답변 : 내가 받을 수 있는 기초연금 수령액 조회해보세요.
2023.08.13.
기초연금 계산 시 수식이 복잡하여 계산이 어려우시죠.
계산 하실 수 있도록 관련 글을 남겨드리니, 직접 계산해보시거나 연결되어있는 사이트에서 모의계산기통해 확인바랍니다.
2023.08.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