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영역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아이돌보미 서비스
담당부서
여성가족정책실 아이돌봄담당관
문의
02-2133-4813
수정일
2023.03.10
정부 지원 아이돌봄 서비스는?
부모의 맞벌이 등으로 양육공백이 발생한 가정의 만12세 이하 아동을 대상으로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여 부모의 양육부담을 경감하고 시설보육의 사각지대를 보완하고자 임시보육, 어린이집 등하원, 놀이활동 등을 제공하는 찾아가는 아이돌봄 서비스 입니다.
아이돌봄 서비스의 목적은?
맞벌이 가정에 아이돌봄을 지원하여 아이의 복지증진 및 보호자의 일·가정 양립을 통한 가족구성원의 삶의 질 향상과 양육친화적인 사회환경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아이돌봄서비스, 이렇게 특별합니다.
가정으로 직접 찾아가는 1:1 돌봄
아이돌보미가 가정으로 직접 찾아가 아동을 안전하게 돌보는 서비스로 시설보육의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가정의 양육부담을 경감합니다.
상황에 따른 다양한 종류의 서비스 제공
시간제, 영아 종일제, 종합형 등 다양한 유형의 돌봄서비스를 이용자가 원하는 대로 선택할 수 있습니다.
연중 24시간 원하는 때 언제든 이용 가능
야간 및 공휴일을 포함하여 원하는 시간에 필요한 만큼 이용이 가능하여 야근이나 주말 근무 등 긴급한 상황에 안심하고 아이를 맡길 수 있습니다.
* 돌보미 수급이 원활하지 않거나 이용자가 많을 경우 서비스 연계가 지연될 수 있습니다
돌봄 공백 발생 가정에 정부지원
양육 공백이 발생하는 저소득 가정에 이용금액 일부를 정부가 지원함으로써 저소득층의 돌봄 역량을 강화합니다.
전문 교육을 이수한 돌봄 전문가 파견
아이돌보미는 철저한 신원조회와 건강검진, 면접 등을 거친 후 양성교육을 이수한 돌봄 활동 전문가입니다.
매년 정해진 보수교육 필수이수, 건강상태와 결격사유 조회 등을 통해 자격 및 전문성을 유지합니다.
지속적인 서비스 관리
서울시는 정기적・지속적인 서비스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해 노력합니다.
정부지원 아이돌봄 서비스 유형별 이용요금은?
□ 시간제(일반형, 종합형) 아이돌봄 서비스
· 이용대상 : 만 3개월 이상 ~ 만 12세 이하 아동
· 이용시간 : 1회 2시간 이상 사용 원칙으로 연간 960시간 이내 정부지원
· 이용요금 : 일반형 1시간에 11,080원, 종합형 1시간에 14,400원 / 기준중위소득 기준의 75%~150%에 따라 정부지원 차등적용(9,418원~1,662원)
□ 영아종일제 아이돌봄 서비스
· 이용대상 : 만 3개월 이상 ~ 만 36개월 이하 영아
· 이용시간 : 1일 3시간 이상 사용, 정부지원 시간은 월 80~200시간 이내
· 이용요금 : 1시간에 11,080원, 기준중위소득 기준의 75%~150%에 따라 차등지원(9,418원~1,662원)
□ 질병감염 아동돌봄 서비스
· 이용대상 : 만 3개월 이상 ~ 만 12세 이하의 수족구 등 법정 전염병 질환 등 감염된 아동
· 이용시간 : 1회 2시간 이상
· 이용요금 : 1 시간에 13,290원, 기준중위소득 기준의 75%~150%에 따라 차등지원(11,297원~6,645원)
* 취학전과 취학후의 아동에 따라 정부지원이 상이함
* 정부지원대상은?
양육공백이 발생하는 가정(취업한부모, 장애부모, 맞벌이 가정, 다자녀 가정, 기타 양육 부담 가정) 중에 중위소득 150% 이하 가정
* 영아종일제 아이돌봄의 경우 부모급여, 양육수당, 보육료 중복지원 불가능
* 소득유형 판정기준 : 건강보험료 본인부담액 부과액 기준으로 월평균 가구소득 금액 산정
이용 절차는 ?
거주지 동 주민센터에 신청 접수(신청인) → 소득판별 후 적격 여부통보(구청) → 아이돌봄홈페이지 서비스 신청 등록(신청인) → 서비스 연계 (서비스 제공기관)
엄마아빠 행복프로젝트! 2023년 서울형 틈새 아이돌봄 3종 서비스 새롭게 시작합니다!
※ 서비스 이용방법 및 요금은 기존 정부지원 아이돌봄 서비스와 동일하며, 서비스제공기관에서 이용가정 상황에 맞는 전담 돌보미를 연계해 줍니다.
영아 전담 아이돌봄 서비스 (서울 전 지역)
출산휴가 또는 육아휴직 후 직장으로 복귀하는 양육가정의 돌봄 공백을 해소하기 위해 영아 돌봄 경험이 많은 영아 전담 돌보미가 서비스 제공
|
|
|
|
|
|
※ '22년 6개구(강남, 강동, 구로, 마포, 서대문, 중랑) 시범운영하던 것을 '23년 서울시 전 자치구로 확대 시행
등하원 전담 아이돌봄 서비스 (5개 자치구 시범운영, '24년 전 지역 확대예정)
어린이집, 유치원, 학교, 학원, 등.하원이 필요한 아동 대상으로 등원 사전 준비, 등하원 동행, 하원 후 놀이활동 등 등하원 전담 아이돌보미가 서비스 제공
|
|
|
|
|
|
|
|
|
|
|
|
|
| ||||
|
| ||||
|
| ||||
|
|
아픈아이 전담 아이돌봄 서비스 (5개 자치구 시범운영, '24년 전 지역 확대예정)
병원 내원이 필요한 아동 대상으로 아픈아이 전담 돌보미가 병원 동행 및 가정 내 돌봄 서비스 제공
|
|
|
|
|
|
|
|
|
|
|
|
|
| ||||
|
| ||||
|
|
아이돌봄 이용을 위한 연락처는 ?
대표번호 : 1577-2514(위치를 기반으로 가까운 지역 자동 연결)
아이돌봄 홈페이지 : https://idolbom.go.kr
서울시 서비스제공기관 연락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참고로, 아이돌보미 프로그램은 일반적으로 경제적인 어려움 등 가정 상황을 고려하여 결정되므로 자세한 내용은 해당 담당 기관과 상담하여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2023.08.23.
안녕하세요.
인구보건복지협회 임신출산육아 [ 아이사랑 ] 상담실입니다.
아이돌봄 서비스 대상은 기준중위소득 180%이하 입니다. 이용대상은 만 3개월~12세 이하 아동입니다. 더 자세한 사항은 ☏1577-2514 로 문의해보시기 바랍니다.
더욱 자세한 상담은 보건복지부에서 지원으로
인구보건복지협회에서 운영되고 있는 상담채널을 이용하시면
분야별 전문가(전문의, 간호사, 사회복지사, 심리상담사)의 상담을 통해
정확한 정보와 상담을 무료로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 온라인 상담: 아이사랑(www.childcare.or.kr), 365일, 24시간
▷ 전화상담: ☎1644-7373
▷ 대면(화상)상담: 사전예약제 운영(☎1644-7373, 아이사랑 홈페이지)
2023.08.29.
아이돌보미 이용 가능해보입니다
아이돌봄서비스 종류와 신청방법 정리 (유형별 자부담 비용) - https://candlelight17.tistory.com/m/entry/%EC%95%84%EC%9D%B4%EB%8F%8C%EB%B4%84%EC%84%9C%EB%B9%84%EC%8A%A4-%EC%A2%85%EB%A5%98%EC%99%80-%EC%8B%A0%EC%B2%AD%EB%B0%A9%EB%B2%95-%EC%A0%95%EB%A6%AC-%EC%9C%A0%ED%98%95%EB%B3%84-%EC%9E%90%EB%B6%80%EB%8B%B4-%EB%B9%84%EC%9A%A9
2023.10.29.

엑스퍼트 전문가를 모십니다! 지식 공유하고 수익도 창출할 수 있는 기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