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VER

사용자 링크

Q&A 영역

질문 계,두레,향약,품앗이의 특징, 예, 목적
fjqf**** 조회수 27,526 작성일2004.10.27
계,두레,향약,품앗이의 특징, 예, 목적을 가르쳐 주세요.
프로필 사진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1개 답변
1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k4****
지존
전통 예절, 의식 67위, 사회문화, 한국사 분야에서 활동
음.. 계, 두레. 향약, 품앗이 이 모두는 농촌의 생활과 상부상조라는 기본 목적을 가지고 있지요. 모두가 농촌의 생활과 연관된 것들입니다. 향약은 거의 사라졌고 계나 두레. 품앗이는 아직까지 농촌에 남아있거나, 일반 서민들 사이에 폭넓게 자리 잡은 것도 있어요.

간단히 설명하면,



계는 서민들의 목돈을 마련하기 위한 민간금융 역할을 한 것입니다. 일례로 결혼이나 장례의 비용은 순간적으로 많은 돈이 들어갑니다. 이런 일이 예지하고 같은 취지의 사람들끼리 일정액을 계주에게 내고 계주는 계원들에게 순서적으로 모인 돈을 주거나, 제비뽑기를 해서 주거나 합니다. 계원들이 한번씩 다 타면 계는 끝납니다. 이렇게하면 여럿이 모인 돈이 목돈이 되어 당사자에게는 유용하게 쓰입니다.

현재에도 계는 서민들에게 폭 넓은 지지를 받고 있죠, 특히 주부들이 계를 많이 듭니다. 계가 사랑받는 이유는 은행같은 금융기관과 같은 적금과는 달리 오래 기다리지 않아도 된다는 점이죠. 그리고 그 액수도 조정이 가능하구요. 그리고 계원들 간의 친목을 다지는 자리가 있어 인간적인 맛을 느낀다는 겁니다.
내용은 여행계, 학비계, 친목계 등 다양합니다.


품앗이

품앗이는 농촌의 일손을 덜기 위해서 서로 노동을 교환하는 것입니다. 만일 내가 옆집에서 하루 일해주면, 옆집 사람도 하루 우리집에서 농사일을 해주는 것이지요. 노동력의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요즘 시골에서도 많이 행해집니다.

이것은 정과 의리에 강한 전통마을에서는 남성과 여성, 장년과 소년 등 불합리한 맞교환도 가능합니다.

하지만 요즘 다소 변화가 있다면 농촌에서 농전기에 따로 소도시의 주부들이 조직을 통해 농촌에 노동력을 제공한다는 거죠. 농촌에서는 이들의 노동력이 절대 필요하고 해서 새로운 노동조직이 생긴 겁니다 이 현상을 품앗이라고 할 수는 없구요. 변화된 사회에서의 새로운 모습입니다. 농촌에서는 이 노동비용을 절감을 위해 마을사람들끼리 품앗이는 아직 필요합니다.

두레

두레는 마을단위로 구성된 조직으로 농촌 농사나 마을제사에 관련된 것을 서로 협력하기 위한 마을조직입니다. 두레의 회원은 장정입니다. 품앗이처럼 여인이나 소년은 농사일에 대한 능력이 떨어지므로 두레회원이 될수 없죠. 이 조직은 주로 농사일 중에 커다란 일거리들, 즉, 이앙이나 제초, 수확처럼 노동력이 많이 필요할때 조직이 됩니다.

하지만 요즘은 두레를 거의 찾아볼수는 없구요. 그 이유는 화폐경제의 활성화와 농촌의 자체 노동력이 많이 없어졌고. 농업의 기계화로 인해 조직의 필요성 또한 줄어들었죠.

위 품앗이에서 잠시 언급한 소도시 주부들의 노동조직이 요즘 농촌에서는 절실한 노동력이죠. 굳이 두레의 모습을 이 소도시주부들의 노동조직과 연관시키려해도 두레가 돈을 목적이 아닌 노동력 절감 차원이지만. 소도시주부조직은 노동의 댓가를 위한 조직이기에 상부상조라는 두레와의 취지에는 어긋나죠.

향약

향약은 농촌의 자차규약이라 보면 됩니다. 그 목적은 임진왜란 후 황페해진 농지와 논밭에서 멀어진 농민을 토지에 결속시켜 그 이탈을 막고, 공동체로 결집시켜 유교의 보급을 위한 겁니다.

16c까지는 양반이 그 주도를 했고, 17세기 이후는 지방관아에서 주도를 했죠. 그러나 하층민들의 배분요구가 커지는 등 주도자와 하층민의 이해관계가 얽히는 현상이 일어났죠. 또한 지방관아의 부정부패, 서학(천주교)과 동학의 서구의식의 확산으로 일제시기 이후는 없어졌다고 할 수 있읍니다.

규율을 보면 알수 있듯이 유교적인 냄새가 짙고, 그 주도층에 양반이 개입된 것을 알수 잇죠. 위의 세가지와는 성격이 다릅니다.

2004.10.27.

  • 채택

    질문자⋅지식인이 채택한 답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