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VER

사용자 링크

Q&A 영역

질문 BIM 과 BIM 기반의 PMIS 차이점 꼭좀 부탁드립니다.
badn**** 조회수 11,422 작성일2009.09.22

이번에 BIM을 공부하면서 궁금한점이 생겼는데 우선 BIM이 3D 기반 툴을 이용하여 3차원 시뮬레이션을 을 작성 이를 통해 대지 간섭이나 설계의 오류 등을 잡아내는 역활을 한다고 배웠습니다. 동시에 BIM에서 이용되는 아키 캐드와 같은 프로그램을 이용 3차원 시뮬레이션에 각 요소나 부재에 대한 정보를 저장 구축 하여 정보관리의 효율성과 효율적인 협업을 이룬다고 보았는데.

그렇다면 BIM 기반의 PMIS(Project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역시 BIM기술을 이용하여 정보관리를 효율적이고 정보의 통합화, 기존의 재생산 재수정이 불가능했던 정보의 재생산 재수정을 가능케 하고 효과적인 관리를 통해 협업의 효과를 극대화 한다고 들었습니다.

 

대체 BIM과 BIM 기반의 PMIS가 다른 점은 무엇인가요? 읽으면 읽을수록 똑같다는 느낌이 드는데.. BIM을 통해서 정보관리를 하는것을 그냥 BIM기반의 PMIS 라고 하는건가요? 그렇다면 BIM에서 BIM기반의 PMIS라고 적용할수 있는 범위는 어디까지인가요? 단순히 정보 관리까지 인가요? 아니면 설계 오류를 잡아내거나 대지간섭은 주변 환경의 영향을 체크하는것 역시 BIM기반의 PMIS에 포함되는것인가요?

프로필 사진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1개 답변
1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kwan****
시민

우선 용어의 정의를 분류한것 같은데 BIM을 공부하신다니 용어의 정의는 알고계실 것 같습니다.

BIM은 말 그대로 건물의 정보를 담는것이고요 PMIS는 공사관리 시스템입니다.

BIM은 건물의 생애주기까지 포함해서 모든 정보를 한번에 파악하고 관리할수있는것이고

BIM기반의 PMIS는 그 건물 정보를 가지고 공사관리시 용이하게 사용하겠다는 것입니다

일반적인 PMIS시스템을 살펴볼때 단순한 2D의 도면을 가지고 실제 공사현장에서 비교 판단하여

공사 관리를 하는데요 BIM기반이라 하면 실질적인 공사 현장에서 BIM 정보 즉, 데이터값을 가지고

공사 관리를 하기 때문에 더욱 쉽게 접근하고 빠르게 일 처리를 진행 할 수있다는 겁니다.

아직까지 BIM에 대하여 딱히 정의를 내린 건 없지만 앞으로 건축이나 건설쪽의 방향은

단순 2D를 벗어난 데이터값을 가진 3D모델링을 가지고 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공사관리시 제일 어려운부분은 실제 현장에서의 작업인데요 분명 종이위에서 그림을 그리면 입체적 형상에서의

어려운 부분이 있는 반면 3D 모델링을 하고 현장 관리를 한다면 미세한 부분이나 상세한 부분에서 가상으로 먼저

시공을 해보고 현장적용이 들어가기 때문에 공사관리시의 효울성과 장점은 엄청난 차이가 있을겁니다.

PMIS가 나왔을 당시 획기적인 공사관리 시스템이었지만 앞으로 BIM의 도입으로 더욱더 엄청난 부가가치 및 기대효과가

있을것으로 생각이 드네요

저도 한참을 공부중이지만 아직 국내에서 그렇다한 자료를 못찾아 외국 서적아니 논문을 뒤지면서 공부중입니다.

질문자께서도 새로운 정의가 있다면 그것이 정답일수 있는게 아직까지의 우리나라 현실이니깐요

너무 괴로워 하진 마시고요 효율적인 BIM을 할 수있게 공부하세요

앞으로의 건설쪽 방향은 정해지지 않았습니다.

 

 

 

 

2009.09.22.

  • 채택

    질문자가 채택한 답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