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VER

사용자 링크

Q&A 영역

질문 여성가족부 폐지
비공개 조회수 25,940 작성일2022.03.10
한부모 가정이고 엄마랑 둘이 살고있습니다
현재 나라에서 지원받고 있는데 여성가족부 폐지되면 지원 끊기나요? 그리고 지원 끊겨도 다시 지원해줄 곳을 만든다고 들었는데 언제쯤 돼야 생길까요ㅜ
프로필 사진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5개 답변
1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비공개 답변
초인

여성가족부는 폐지되는게 맞습니다. 꼴페미 집합소

2022.03.10.

  • 채택

    지식인 채택 답변입니다.

4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비공개 답변
우주신

먼저 단순히 출산율 출산율 하는게 문제가 아니고 정부부처 주제에 예산 받아 처먹으면서 그 대책 자체를 제대로 한게 없다는 건 폐지 이유입니다.

여가부 폐지로 출산율은 안 오를 겁니다. 당연히 출산 장려 정책을 제대로 해야 오르죠.

근데 적어도 새 부처를 만들어서 리뉴얼로 하는게 지금의 여가부 상태보다는 훨씬 더 효율적일 거란 점은 답이 뻔한 겁니다. ㅋ

그리고 애초에 여가부 존속이란게 상징적 의미, 여기에 더 본질적으로는 MB정권 당시 장관수 부족 때문에 존속한 건데 이제는 그럴 필요가 없으니 짤라야죠. ㅋ 무엇보다 타이틀에 가족부를 달고 있으면서 지금 이렇게 떨어진 출산율 상태를 보면 안 폐지할수 없는 겁니다만....ㅋ

물론 윤석열이 무슨 개편안을 가져 오는지에 대해서는 지켜 봐야 할 일이나.....

폐지가 답입니다. 얄짤없이. ㅋ

즉, 가족부 타이틀 처 달고 출산율 소숫점대라는 위업을 달성했으면 이제 댓가를 받을 시점이라고 봅니다. ㅋ 무능은 도태의 이유이지 존속의 이유는 아니그등.ㅋ

아, 그리고......

여가부가 하던 일은 다른 부처로 이관하면 됩니다. 딴거 없습니다. ㅋ 그리고 여가부가 해 온 꼬라지를 볼때 차라리 전문성이 나은 다른 부처로 이관하면 더 제대로 하면 했지 못하진 않겠죠.ㅋ

2022.03.10.

3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comp****
초인

기존 지원금 제도는 다른데로 이관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2022.03.10.

5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지식인 복지전문
수호신

여성가족부 폐지 윤석열 여가부 폐지 공약 이유를 살펴보면 앞으로 어떻게 될지 알 수 있습니다. 우선 한부모 가정 지원은 폐지될 가능성이 매우 낮습니다. 하지만 여가부 폐지는 예고된 수순을 밟겠죠. 국민의힘 선대본부 양성평등특별위원회(위원장 이명준)는 지난 1월 12일 페이스북을 통해 여가부 폐지에 대한 여론 조사 결과와 5가지 이유를 설명했습니다. 아래는 그 내용입니다.

1. 여가부 폐지는 국민의 뜻

대한민국 국민 모든 연령층에서 여가부 폐지를 찬성. 남성 만의 찬성도 아니며 여성의 40%가 찬성. 여가부는 왜 이렇게 국민들의 동의를 받지 못하는 기구가 되었을까요?

2. 사상 교육 부처

초·중·고등학교에 왜곡된 성계급론의 사상 교육을 지원하는 여가부.

3. 부정수급 세금시장

국고보조사업 관련 부정수급 적발·환수 매년 수백건, 여가부 예산의 86.6%가 국고보조금

4. 정치적 여성상품화

동의한 적 없는 여성들 또한 자신들만의 독점 대변. 자기 편이 아닌 여성들은 철저히 소외

5. 존재 자체가 성위기

남성과 여성에 전세 낸 여가부로 인해 자기 성별에 대한 자존감의 몰락과 자긍심을 상실하는 성위기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다면 첨부드린 자료 참고해보시길 바랍니다.

2022.03.10.

2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skyb****
영웅

폐지 안 되게 막을 겁니다. 물론 여가부가 잘못된 정책도 있었고 비판 받을만한 일련의 사건들도 많았으나 그런류의 병크는 어느 부서에나 있습니다.

여가부가 비단 여성을 위한 정책만 펼치는 곳은 아닌 거 사람들 바보가 아닌 이상 다 압니다. 출산율 출산율하는데 여가부 없애면 과연 출산율 오를까요?^^ 절대 아니거든요. 윤석열씨가 내건 공약때문에 불안해하는 것 같은데 진짜 역풍맞고 싶지 않으면 무턱대고 폐지하지 않을 겁니다. 주변 정치인들도 생각이 있으면 말리겠지요.

2022.03.10.

  • 채택

    질문자가 채택한 답변입니다.

이 답변의 추가 Q&A
질문자와 답변자가 추가로 묻고 답하며 지식을 공유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