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영역
일단 토목 건축 둘다 지식깡통 입니다. 자격증또한 없구요
저는 기계쪽으로 일을하다가 이직을 하게되었는데요
토목쪽 사전재해영향성검토, 하천기본 및 실시설계 등등 하는 사무실에 취직을 하게되었습니다.
아직 출근 한건 아니구요
그런데 우연찮게 건축설계사무소에서도 면접을 봤는데요. 건축설계 사무소는 대충 알겠는데
출근하는 토목 사무실을 잘 모릅니다..
질문!
1. 혹시 두군데중 가게된다면 어떤쪽으로 가야 더 비젼이 높을까요
2. 사전재해영양성컴토 토목사무실은 많이 있을까요?? 다니다가 이직을하게 됐을 경우
급여는 두군데 똑같고..어디서 뭘 해야할지 고민입니다..ㅜㅜ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토목이나 건축분야는 건설기술자 등록자격을 갖추어야 앞으로 일을 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토목보다는 건축분야가 기술을 배우게되면 창업을 하는데 좋을 수 있습니다.
토목분야는 대부분 정부기관에서 업무가 진행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직장생활을 하면서라도 건걸기술자 자격을 갖출 수 있도록 꾸준히 노력하세요.
초급기술자가 되고자하면 역량지수가 35점이상이 되어야 합니다.
건설기술자는 학력지수와 자격증지수, 경력지수로 산정됩니다.
학력지수 : 건축학과 학사졸업 20점, 3년제 19점, 2년제 18점
자격증지수 : 건축기사 30점, 산업기사 20점, 기능사 15점
경력지수 : 1년 1점, 2년 7.5점, 3년 11.9점~40년 40점
<건설기술자 등급산정>
초급 : 역량지수 35점이상
중급 : 역량지수 55점이상
고급 : 역량지수 65점이상
특급 : 역량지수 75점이상
교육부에서 시행하는 학점은행제로 건축학위 취득과 건축기사 자격증 취득으로 건축가가 되어 보세요.
건축학과로 공부하시면 1년 정도면 건축전문학사학위 취득과 건축산업기사 취득, 2년 정도면 건축학사학위 취득과 건축기사 취득을 할 수 있습니다.
학점은행제는 비교적 짧은 교육기간과 교육비로 건축학위 취득과 건축기사 자격증 취득으로 건축대학 3학년편입, 건축대학원 진학, 건축사예비시험응시, 건축회사 취업, 건축관련 자영업 등을 할 수 있습니다.
교육부에서 시행하는 학점은행제로 건축공학사학위를 취득하해도 대학졸업과 동등하게 학력지수가 20점으로 인정됩니다.
학점은행제로 106학점이상을 취득하면 건축기사응시자격을 가질 수 있어서 건축기사자격증을 취득하면 자격증지수 30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역량지수 50점으로 건설초급기술자로 등록할 수 있으며, 2년정도 실무경력(7.5점)을 갖게되면 중급기술자로 등급산정을 받을 수 있습니다.
건축공학사학위취득은 한양건축평생교육원 홈페이지를 참고하시면 도움이 될 듯 합니다.
참고하시고, 조금이나마 진로를 설정하는데 도움이 되시기바랍니다.
2017.02.23.
건축하고있지만.... -_-;;; 갠적으로 토목이요~~~~
건축사따실의향없으시면 토목이낫습니다.
건축사5년제나와야만 딸수있게끔 법이 바뀌고있어서.... 토목이요
2017.02.23.
엑스퍼트 전문가를 모십니다! 지식 공유하고 수익도 창출할 수 있는 기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