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VER

사용자 링크

Q&A 영역

질문 노인복지시설의 변천사...
수줍은매력녀 조회수 240 작성일2024.05.27
노인복지시설의 변천사 좀 알려주세요~

년도별로 알려주시면 더 좋구 아니면 간단하게 라도 부탁드려요~
프로필 사진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1개 답변
1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나눔케어 복지용구
중수

안녕하세요.

노인복지시설은 시간에 따라 크게 발전해왔으며, 각 시대의 사회적, 경제적 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1. 전통사회

-한국 전통사회에서는 대가족 제도가 일반적이었기 때문에, 노인은 가족 내에서 주로 자녀나 손자들의 부양을 받았습니다.

-마을 공동체나 종교 단체가 노인을 돕는 역할을 했습니다.

2. 근대화 초기 (1950-1970년대)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해 핵가족화가 진행되면서 노인 부양의 책임이 가족으로부터 사회로 이전되기 시작했습니다.

-1950년대 후반부터 정부와 민간에서 운영하는 노인복지시설이 등장하기 시작했습니다. 초기에는 주로 고아원이나 양로원이 그 역할을 했습니다.

3. 성장기 (1980-1990년대)

-1981년 노인복지법이 제정되면서 노인복지에 대한 법적 기반이 마련되었습니다.

- 노인 요양시설, 주간 보호시설, 재가복지서비스 등 다양한 유형의 복지시설이 생겨났습니다.

-정부의 지원이 확대되면서 노인복지시설의 양적, 질적 성장이 이루어졌습니다.

4. 성숙기 (2000년대 이후)

-한국은 급속한 고령화로 인해 노인 인구가 급격히 증가했습니다. 이에 따라 노인복지에 대한 수요도 증가했습니다.

-기존의 단순한 수용 형태에서 벗어나 건강관리, 여가 활동, 사회 참여 프로그램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복지시설이 확산되었습니다.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한 스마트 돌봄 시스템이 도입되어, 원격으로 건강을 모니터링하거나 응급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서비스가 제공되었습니다.

-가정에서 돌봄을 받을 수 있는 재가복지서비스가 확대되었으며, 방문간호, 방문요양, 주간보호 서비스 등이 활성화되었습니다.

5. 현재와 미래의 방향

-노인의 다양한 욕구를 반영한 맞춤형 복지 서비스가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이는 개인의 건강 상태, 경제적 상황, 사회적 관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것입니다.

-노인이 지역사회 내에서 독립적으로 생활할 수 있도록 돕는 통합돌봄 모델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고령화의 속도에 맞춰 지속 가능한 복지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이는 재정적 부담을 줄이고, 효과적인 복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함입니다.

2024.05.28.

  • 채택

    질문자가 채택한 답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