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VER

사용자 링크

Q&A 영역

질문 기초연금 예상액 계산 얼마 수령가능할까요?
modi**** 조회수 390 작성일2024.08.18
부부 둘다 65세이상
현재 수령중인데
금액이 의아해서요
작년까지 혼자받으시다가 올 4월부터 부부 같아 받게됐어요
2023년기준(여기는 읍면지역입니다)
남편명의 금융재산(예금) 2억~3억
토지 5천만원가량
차량 트럭1대
3천만원미만 승용차1대
국민연금 48.8만 수령
기초연금 32.3만수령
2024년 부부동시수령전
재산사항 변동없고
국민연금50.5만원
기초연금 33.4만원수령
문제는 4월 부부동시수령이 되면서 의아합니다
모의계산시 국민연금 50.2만원을 초과해서 감액되는건알았지만 인당 19만원이 지급되는게 이해가안되고..
상세히풀자면
남편재산 변동없고
아내 금융재산(예금)1억~1.5억 정도입니다
둘의 금융재산을 다 한다해도 모의계산시 수령이 가능한걸로 나왔는데
감액구간의 차이가 너무 큰거 아닌가 싶네요
부부동시수령시 최고 53.5로 아는데
국민연금 기준금액이 3천원가량 초과한걸로 1인19만원씩 기초연금을 받는거는 거의 30%로 가까이 감액되는거 같은데 이게 맞는건가요?
프로필 사진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3개 답변
2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지식인 전문 답변인
고수 eXpert

안녕하세요. 네이버 지식인 전문가 Expert 입니다.

기초연금 수령액이 예상보다 적게 나오신 것 같아 당황스러우셨을 것 같습니다. 먼저, 부부가 동시에 기초연금을 수령하게 되면, 일반적으로 단독 수령 시보다 감액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는 기초연금 제도의 특성상 부부의 재산과 소득을 합산하여 기준 금액을 초과할 경우, 감액이 이루어지기 때문입니다.

질문자님의 상황을 보아하니, 남편분과 아내분의 금융재산과 부동산 등이 합산되어 기초연금 감액 대상이 되신 것으로 보입니다. 부부가 동시에 수령할 경우, 기초연금 최대 수령액은 인당 약 30만원대 중반 정도가 되지만, 이 금액은 기본적인 재산 기준과 소득 기준을 충족할 때 가능한 금액입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국민연금 수령액이 기초연금에 미치는 영향입니다. 국민연금을 일정 금액 이상 수령할 경우, 기초연금에서 감액이 발생하는데, 질문자님의 경우 국민연금 수령액이 기준 금액을 초과하여 기초연금이 감액된 것으로 판단됩니다. 또한, 부부의 합산 재산이 기초연금 감액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큽니다.

기초연금이 감액된 이유는 두 분의 금융재산, 부동산, 그리고 국민연금 수령액을 합산한 결과, 소득인정액이 기초연금 감액 기준을 초과했기 때문입니다. 일반적으로 재산과 소득의 변동이 없었다면, 기초연금은 비슷한 수준으로 유지되거나, 물가상승률에 따라 조금씩 인상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그러나 부부가 함께 기초연금을 수령하게 되면 감액 폭이 커지게 됩니다.

결론적으로, 두 분이 국민연금과 기초연금을 모두 받으시면서 기초연금이 감액된 것은 제도상 자연스러운 결과입니다. 다만, 감액 폭이 크다고 느끼셨다면, 국민연금공단이나 주민센터에 문의하여 정확한 산정 방식을 확인해보시는 것도 좋은 방법일 것입니다. 그런 경우 소득인정액 산정에 오류가 있었는지, 혹은 다른 이유로 감액이 더 크게 이루어진 것인지 확인해 보실 수 있습니다.

기초연금

1. 신청방법

2. 모의계산

3. 수급자격 에 대한 자세한 내용입니다.

https://m.site.naver.com/1rYCP

2024.08.18.

  • 채택

    질문자가 채택한 답변입니다.

1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djdlkkk1001
우주신

네 부부합산 54만 원 정도 받아요

2024.08.18.

3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비공개 답변
중수

기초연금 수령액은 소득인정액에 따라 달라지며, 특히 부부가 함께 수령할 경우 감액 규정이 적용되므로, 지금의 상황에 대한 의문이 충분히 이해됩니다. 질문에서 주신 정보를 토대로 상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1. 기초연금 수령액 산정 방식

기초연금은 기본적으로 소득인정액 기준에 따라 감액 여부가 결정됩니다. 주요 산정 원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부부 감액 규정

  • 부부가 함께 기초연금을 수령하면 각자 수령액의 20%가 감액됩니다.

  • 예를 들어, 단독가구에서 1인이 월 30만 원을 받던 경우, 부부 수령 시 각각 24만 원(30만 원 × 0.8)으로 감액됩니다.

(2) 소득인정액의 영향

소득인정액이 기초연금 감액 구간에 포함되면 추가적으로 감액됩니다.

2024년 기준 소득역전방지 감액 구간은 다음과 같습니다:

  • 국민연금 수령액이 월 50만 2천 원을 초과할 경우, 초과 금액에 따라 기초연금이 감액됩니다.

  • 초과 금액에 따라 기초연금 감액률이 다르게 적용되므로, 국민연금 수령액과 기타 소득인정액을 정확히 계산해야 합니다.

2. 소득인정액 추정을 해보겠습니다.

(1) 국민연금 수령액

  • 남편: 월 50.5만 원 (2024년 기준).

  • 국민연금 감액 구간 기준인 50만 2천 원을 약 3천 원 초과하여, 감액 대상입니다.

  • 초과 금액이 작더라도, 기초연금 감액 기준이 매우 세분화되어 있어 실제 감액액이 커질 수 있습니다.

(2) 금융재산

  • 남편: 금융재산 2억~3억 원

  • 아내: 금융재산 1억~1.5억 원

  • 금융재산 공제: 부부 합산 4천만 원

  • 소득환산액 계산: (총금융재산−공제액)×4

  • 대략적인 소득환산액: 3.35억×0.04÷12 = 약 111.67만 원/월

(3) 토지와 차량

  • 토지: 약 5천만 원

  • 토지 소득환산액: 5천만원×4 = 약 1.67만 원/월

  • 차량: 3천만 원 미만 승용차는 소득인정액 계산에서 제외.

(4) 소득인정액 총합

  1. - 국민연금: 50.5만 원

  2. - 금융재산 소득환산액: 약 111.67만 원

  3. - 토지 소득환산액: 약 1.67만 원

  4. 총 소득인정액: 약 163.84만 원

3. 부부동시 수령 시 수령액 계산

(1) 부부 기준 소득인정액

  • 부부가구 기준선: 323.2만 원/월 (2024년 기준)

  • 소득인정액 163.84만 원은 기준 이하로, 기초연금 수급 대상입니다.

(2) 감액 적용

  1. 부부 감액:

  2. 기본 수령액이 33.4만 원/인 → 부부 수령 시 26.72만 원/인으로 감소 (20% 감액).

  3. 소득역전방지 감액:

  4. 국민연금이 기준을 3천 원 초과했으므로 추가 감액이 적용.

  5. 감액률은 초과 금액과 기초연금 지급 구간에 따라 달라지며, 초과 금액이 작아도 부부 감액까지 겹쳐 최종 지급액이 약 19만 원/인 수준으로 줄어든 것으로 보입니다.

왜 감액이 큰지에 대해서 추정을 해보면,

  • 부부가구로 수령하면서 기본적으로 20% 감액된 데다, 국민연금 초과 금액으로 인한 소득역전방지 감액이 추가로 적용되어 수령액이 낮아졌습니다.

  1. 부부동시 수령 시 최고 53.5만 원은 왜 못 받는 이유는 부부의 소득인정액(국민연금+재산 소득환산액)이 감액 구간에 포함되었기 때문입니다.

  • 소득인정액이 기준선을 초과하지 않더라도, 국민연금 감액 기준이 엄격히 적용됩니다.

더 궁금한 점 있으시면 언제든 말씀해 주세요! 아래 블로그에서 기초연금 수령액에 대한 더 자세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24.12.22.

이 답변의 추가 Q&A
질문자와 답변자가 추가로 묻고 답하며 지식을 공유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