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영역
군산으로 이사을 가야할 것 같습니다.
군산에서 아파트를 구해야 할 것 같은데, 최근 군산시 부동산 시황을 아시는 분 계시면
답변 부탁 드립니다.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다음 사이트에서 퍼온 글입니다
|
군산시 부동산 시장 동향 - 아파트를 중심으로(08년 9월) - |
|
2008. 9
|
|
| 목 차 |
|
|
|
Ⅰ. 아파트 거래 동향 |
Ⅱ. 아파트 수급 현황 |
Ⅲ. 발전 전망 |
Ⅳ. 아파트 분양시장 동향 |
Ⅴ. 아파트 분양시장 환경 분석 |
Ⅰ. 아파트 거래 동향 |
○ 준공분 아파트 가격
- 나운동 지역 최고가 : 현대4차 45평 2억원 (평당 444만원) 으로 최고가 형성(현대4차는 준공 11년차 아파트임).
- 군산시 최고가 아파트 : 2006년 12월 입주한 지곡동 코아루 47평형이 2억 4,500만원 (평당 521만원) 으로 최고가 형성함.
○ 가격 동향 분석
- 2005년부터 기존 아파트 매매가 상승세가 2008년 9월까지 진행됨.
- 2005년초부터 2006년말까지 2년간 약 18%정도 상승함.
- 2007년 1월부터 2007년 7월까지 매매가격 보합세 지속됨. 동기간 전북권 여타 지역 아파트 매매가 약세 또는 하락세였으나 군산지역은 보합세 유지함.
- 2008년 1월부터 2008년 8월까지 약 20% 상승함.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착공, 새만금특별제 제정, 군산 경제자유구역 지정 영향.
○ 최근 아파트 가격 동향의 특색
- 기존에 군산시 아파트 가격 상승을 나운동 현대4차 아파트가 주도하였으나, 2006년말부터 입주하기 시작한 신규 아파트 가격이 강세를 뛰면서 가격 상승 주도권이 나운동에서 지곡동, 미장동으로 넘어감.
- 2008년도에는 수송지구에 분양한 아파트 단지가 입주하면서 아파트 가격 주도권이 수송동 및 수송지구에 입주하는 아파트 단지로 넘어감.
참고) 준공분 아파트 시세표 (금액단위 : 만원)
지역 | 아파트명 (준공월) | 평형 | 세대수 | 08년 9월 | 전세가 비율 | |||
매매가 | 전세가 | |||||||
총액 | 평당가 | 총액 | 평당가 | |||||
수 송 동 | 현대(97.6) | 23 | 272 | 9,500 | 413 | 7,000 | 304 | 73.68% |
29 | 136 | 11,000 | 379 | 8,000 | 276 | 72.73% | ||
31 | 249 | 13,500 | 435 | 9,500 | 306 | 70.37% | ||
계 | 657 |
|
|
|
|
| ||
나 운 동 | 현대4차 (98.7) | 23 | 64 | 9,200 | 400 | 7,500 | 326 | 81.52% |
28 | 68 | 12,000 | 429 | 9,000 | 321 | 75.00% | ||
32 | 386 | 14,000 | 438 | 10,000 | 313 | 71.43% | ||
38 | 78 | 16,500 | 434 | 12,000 | 316 | 72.73% | ||
45 | 40 | 20,000 | 444 | 14,000 | 311 | 70.00% | ||
계 | 636 |
|
|
|
|
| ||
지 곡 동 | 은파 코아루 (06.12) | 36 | 196 | 17,500 | 486 | 12,500 | 347 | 71.43% |
47 | 198 | 24,500 | 521 | 15,000 | 319 | 61.22% | ||
55 | 108 | 27,000 | 491 | 16,500 | 300 | 61.11% | ||
64 | 30 | 33,000 | 516 | 20,000 | 313 | 60.61% | ||
계 | 532 |
|
|
|
|
| ||
미 장 동 | 코아루 (07.6) | 48 | 174 | 23,200 | 483 | 16,000 | 333 | 68.97% |
56 | 120 | 27,000 | 482 | 20,000 | 357 | 74.07% | ||
65 | 60 | 31,400 | 483 | 22,000 | 338 | 70.06% | ||
계 | 354 |
|
|
|
| 70.33% |
* 출처 : 부동산114, 지역 부동산업소.
○ 전세가격 비율
- 매매시세 대비 전세가격 비율이 평균 70%정도이며, 최대 매매가의 85%까지 전세가 형성되는 아파트도 다수임.
- 이는 현재 군산지역에 전세수요가 풍부함을 의미함. 실제로 아파트 분양시장이 침체상태가 수년간 지속되어 수요자들이 신규 분양 아파트 계약을 꺼리고 전세를 선호 경향이 있었음.
- 전국적으로 매매시세 대비 전세가격 비율은 평균 55%선임.
○ 전세가격 동향 분석
- 전년 동월 대비 10~15% 상승.
- 최근 신규 입주한 지곡동, 미룡동, 미장동 중심으로 전세가격이 높게 형성되어 전세 수요자가 신규 아파트를 중심으로 이동하는 것을 볼 수 있음.
- 신규 입주 아파트의 전세가가 높게 형성되어 차차 주변의 기존 아파트도 전세가격이 상승할 소지가 있음.
○ 분양권 거래량
- 군산시 분양권 거래량 많지 않으며 분양권 거래 활발하지 않음.
○ 분양권 시세
- 수송지구에 롯데마트가 2007년 2월에 개점하자 수송지구내 롯데마트 접근성이 우수한 아파트 단지 중심으로 500(한라 비발디)~2,000(현대 아이파크)만원의 프리미엄 형성함.
- 2008년 4~8월까지 분양권 프리미엄 상승세였으나, 9월부터 세계적인 금융위기 영향으로 프리미엄 소폭 하락함.
○ 거래 특징
- 통상 3,4월과 11,12월에 거래건수가 많으며,
- 5,6월과 9,10월은 거래건수가 적은 편임.
○ 2008년 아파트 거래 추이
- 1월에 435건이 거래신고 되었으며, 이후 거래량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4월에 1,343건이 거래되었음.
- 2007년과 대비하여 거래량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이는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착공, 새만금 개발 및 군산 경제자유구역 지정 등의 대형 호재에 의한 영향으로 분석됨.
참고) 군산시 아파트 거래건수
월별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거래량 | 435 | 405 | 532 | 1,343 | 850 | 1,107 | 981 | 797 |
출처 : 온나라 부동산 정보
Ⅱ. 아파트 수급 현황 |
○ 2000년대 들어 2007년까지 군산시 인구 감소세 지속됨.
- 군산시 인구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2006년말 263,194명임.
- 인구 감소비율이 지속적으로 낮아졌으며, 2007년 7월말 인구 소폭 증가함.
○ 2008년부터 인구 증가세 전환됨
- 군장산업단지에 투자기업이 속속 입주하면서 2008년부터 인구 증가하여 9월말 현재 약 1,600명이 증가함.
-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준공 및 두산인프라코어(주) 군산공장 준공시점인 2009년 4월이후 인구 유입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 동별 거주인구
- 동별로는 나운동>소룡동>수송동>조촌동>미성동>신풍동 순으로 거주인구가 많음.
- 특히 상기 6개동에 군산시 인구의 59%가 거주함.
○ 주거 선호도
- 기존에는 지역별 주거 선호도는 나운동>수송동>조촌동 순으로 높았음.
- 현재 수송지구 아파트 단지가 입주개시하면서 수송동>나운동>지곡동 순으로 주거선호도 변화됨.
○ 세대수 변동
- 세대수는 인구증가율 대비 높은 증가율을 보임.
- 핵가족화 및 도시화 진행에 따라 연평균 1.36%씩 증가하였음
○ 향후 인구 전망 - 지속적으로 인구 증가 예상됨.
- 군장 산업단지내 두산인프라코어 및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등이 입주 예정으로 있어 향후 산업기반이 갖추어 짐과 동시에 인구 꾸준히 증가 예상됨.
- 새만금 개발 및 군산경제자유구역 지정 효과로 4~5년내 전주시 인구보다 군산시 인구가 더 많아질 것으로 전망됨.
○ 군산시 주택수
- 2001년 79,642호에서 2006년 84,538호로 4,896호 증가하였으며 연평균 1.23%씩 증가함. 이는 연평균 가구수 증가율 1.36%보다 조금 낮은 수치임.
○ 군산시 아파트
- 2001년 39,094세대에서 2006년 47,687세대로 8,593세대가 증가함
- 연평균 아파트 증가율은 4.39%임.
○ 주택증가율과 아파트증가율 분석
- 주택증가율보다 아파트증가율이 3.59배 높음
- 군산시의 경우 아파트 선호도가 매우 높아지고 있으며, 현대식 주거형태로의 전환 속도가 빨라지고 있는 추세임
○ 주택보급률
- 2006년말 현재 주택보급률은 89.15%임.
- 주택보급율이 낮은 반면 아파트 선호도가 높아 지속적으로 아파트 공급이 이루어 질 것으로 전망됨.
참고) 년도별 주택 및 아파트 현황표
년도 | 2001 | 2002 | 2003 | 2004 | 2005 | 2006 | 비 고 |
가구수 | 88,784 | 89,491 | 90,642 | 91,909 | 93,226 | 94,828 | 12.31 기준 |
가구증가율 |
| 0.80% | 1.29% | 1.40% | 1.43% | 1.72% | |
주택수 | 79,642 | 81,821 | 82,883 | 84,027 | 84,538 | 84,538 | |
보급율 | 89.70% | 91.43% | 91.44% | 91.42% | 90.68% | 89.15% | |
아파트수 | 39,094 | 43,142 | 44,865 | 46,397 | 48,140 | 47,687 | |
아파트비율 | 49.09% | 52.73% | 54.13% | 55.22% | 56.94% | 56.41% |
자료 : 군산시청.
○ 아파트 현황
- 일반 아파트 31,403세대임
- 임대 아파트 16,284세대임
- 임대아파트가 차지하는 비율이 34.15%로 매우 높음.
- 일반 가구수 94,828호중 33.12%만이 일반 아파트에 거주하고 있으며, 이중 자가소유 아파트는 20,679세대임.
- 즉 주거형태로 아파트를 선호하면서 경제력이 부족하여 임대로 거주하는 비율이 높은 지역으로 지역경제가 조금만 활성화되면 아파트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전망됨.
○ 군산시 연간 주택 수요량
- 가구수 증가분과 멸실 주택수 및 내집마련 수요를 합하여 산출
- 매년 약 2,856세대 신규 주택이 필요함.
○ 군산시 연간 아파트 수요량
- 연간 주택 수요량에 아파트 구성비율을 곱하여 산출
- 매년 약 1,611세대의 신규 아파트 공급이 필요함.
참고) 아파트 수요량 예측
구분 | 세대수 | 산출근거 |
가구수 증가분 | 1,166 | 2006년말 가구수에 연평균 가구수 증가율(2.4%)을 곱하여 산정 |
멸실 주택수 | 845 | 총 주택수의 약1%가 철거 또는 멸실되는 것으로 추정 |
내집마련 수요 | 845 | 임대세대(주택수의 50% 추정)의 2%로 가정 |
주택 수요량 | 2,856 | 가구수 증가분 + 멸실 주택수 + 내집마련 수요 |
아파트 수요량 | 1,611 | 주택수요량의 56.41% |
○ 최근 군산시 아파트 공급량
- 2001년부터 2006년까지 6년간 7,972세대임
- 연평균 1,327세대의 아파트가 공급됨.
참고) 년도별 아파트 신규 공급(예정) 현황
년 도 | 2001 | 2002 | 2003 | 2004 | 2005 | 2006 | 2007 |
신규공급 | 472 | 210 | 499 | 532 | 979 | 5,280 | 654 |
○ 군산시 아파트 수급
- 매년 1,611세대의 신규 아파트가 필요함
- 매년 1,327세대가 신규 아파트가 공급됨
- 매년 연간 284세대의 아파트가 공급 부족상태임.
- 6년간 아파트 수요와 공급을 분석할 경우 6년간 1,704세대가 공급부족 상태임.
○ 향후 아파트 공급 전망
- 2007년도 1개 사업지 654세대
- 2008년도 2개 사업지 1,611세대
- 군산시 당분간 신규 아파트 공급 주족으로 아파트 가격 급상승 가능성 매우 높음.
Ⅲ. 발전 전망 |
○ 사업현황
- 전라북도 군산, 김제, 부안에 총길이 33km의 방조제를 축조해 총면적 40,100ha의 토지를 조성하는 사업
- 사업기간 : 1991년부터 2011년 총21년
- 사업비 : 3조7천5백8십7억원
○ 추진경위
- 1975~1987 : 서남해안 간척자원 조사
- 1991.11.16 : 사업시행 인가 고시
- 1991.11.28 : 새만금 간척공사 기공
- 2001.5 : 정부의 친환경적 순차개발계획 확정
- 2001.8 : 정부 방침에 대한 세부실천계획 확정
- 2002.3 : 신시배수갑문 기전공사 착공
- 2003.12 : 가력배수갑문 기전공사 준공
- 2006.4.21 : 방조제 33km 최종연결공사 성공
- 2006.5 : 끝막이 이후 방조제 단면 보강 공사
○ 사업필요성 및 효과
- 국토확장 : 협소한 국토에서 새만금사업이 완공되면 여의도 면적의 140배에 달하는 새로운 땅을 얻게 됨.
- 대규모 우량농지조성 : 규모화/집단화된 대규모 우량농지로 농업경쟁력 확보 가능
- 수자원 확보 : 연간 10억톤(중규모 저수지 200개에 해당)
- 수해 상습지 해소 : 만경강, 동진강 유역은 매년 상습적인 침수피해를 격었으나 새만금방조제는 이러한 상습침수피해를 예방함
- 종합관광권 형성 : 새만금사업으로 생겨나는 드넓은 토지와 호수는 변산국립공원 등 천혜의 관광자원과 어우러져 세계적인 관광권을 형성,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
○ 새만금특별법
- 새만금특별법은 새만금 개발을 특별법에 의거하여 규제를 완화하고 개발의 신속성을 증가시킴
- 2007년 6월 국회에 상정되어 2007년 12월 제정됨.
- 현재 개발을 가속화 시키기 위하여 새만금특별법 개정 준비중임.
○ 새만금 기업도시 추진
- 새만금 기업도시를 군산쪽에 500만㎡ 규모로 추진하는 방안
- 새만금 조기개발을 위한 전략적 접근
- 새만금 기업도시 추진시 2012년부터 기업 입주 가능함
2. 군산, 군장 국가산업단지
○ 군산국가산업단지
- 위치 및 면적 : 군산시 소룡동 일원 207만평
- 사업기간 : 1988.11 ~ 1994.12
- 분양율 : 100%
입주업체 : 125개 업체(가동 88, 건설중 11, 미착공 26)
- 특징 : 중국교역의 최적 단지, GM대우자동차 입주
○ 군장국가산업단지
- 위치 및 면적 : 군산시 오식도/비응도를 포함한 해면 일원 482만평
- 사업기간 : 1990.1 ~ 2006.12
- 분양상황 : 95% 분양
- 사업효과 : 10만명 고용창출 효과, 12만명 인구 유입 효과
○ 군산시 기업 유치 현황
- 현대중공업 : 선박블럭공장 기준공, 군산조선소 2008년 5월 착공
- 두산인프라코어(주) : 2008년 7월 착공
- 기타 : 2006년부터 2008년 9월말 현재까지 370개 기업유치.
- 투자규모 : 7조 3천억원
- 고용창출효과 : 3만 3천명
- 인구 유입 효과 : 8만 3천명
* * 출처 : 군산시
3-1. 군장대교 건설
○ 사업개요
- 위치 : 전북 군산 - 충남 서천 장항
- 사업비 : 1,900억원
- 사업기간 : 2004년 ~ 2007년
○ 필요성 및 기대효과
- 군산 ↔ 장항간 통행거리 단축
- 군장국가산업단지 및 항만의 신속한
물동량 처리로 물류비용 연간 30억
절감
3-2. 군산-장항간 철도 건설
○ 사업개요
- 사업구간 : 군산 대야 ↔ 충남 장항
- 사업비 : 2,842억원
- 사업기간 : 1997년 ~ 2007년
- 2007년 12월 개통, 2008년 1월1일부터 운행.
○ 필요성 및 기대효과
- 군산자유무역지역 조성, 군장국가산업단지 건설에 따른 배후 수송시설 확보
- 전북 군산과 충남 장항지역 단일 생활권 균형개발 촉진
- 산업단지내 기업유치 촉진
- 고군산 군도 등과 연계한 관광객 및 물류 수송 원활 → 지역경제 활성화.
3-3. 군장 국가산업단지 인입철도 건설
○ 사업개요
- 사업구간 : 군산시 대야역 ~ 군장국가산업단지 내
- 사업비 : 4,109억원
- 사업기간 : 2004년 ~ 2011년
○ 필요성 및 기대효과
- 군장국가산업단지의 복합 수송체계 구축으로 경쟁력 강화
- 서해안 중부권과 대중국 및 동북아권 교역항의 연계 구축
- 중국과의 교역확대에 따른 물동량 증가와 물류비 절감을 위한 철도 연결망 구축
○ 미래경쟁력이란?
- 산업정책연구원에서 2006년부터 도시간 경쟁력중 미래의 경쟁력을 평가하여 수치화 함.
- 미래경쟁력 평가는 총 4개 분야에서 85개 지표를 평가하는 방식임.
○ 미래경쟁력 평가 분야
- 주체 부문 : 정치/행정관료의 리더십, 추진력, 지역주민과 기업의 발전 의지
- 환경 부문 : 기업경영기반, 도시민 기초생활여건, 교육/문화시설 등
- 자원 부문 : 부존자원, 재정/인적 자원 등
- 메커니즘 부문 : 도시의 발전전략과 도시를 둘러싼 환경 등
○ 미래경쟁력 2위
- 2006년 기초자치단체인 市 69개 도시의 미래 경쟁력을 평가
- 안양시 1위, 군산시 2위, 구미시가 3위를 차지함.
- 미래의 성장 잠재력은 군산이 최고 수준이며, 새만금의 가능성을 높이 평가한 것임.
○ 전라북도 매머드급 “새만금 경제자유구역” 지정
- 군산 일대, 김제공항 예정부지 등 1억3천만평 규모의 새만금 경제자유구역 지정
- 군산 지역의 경우 군장국산산업단지, 군산자유무역지역, 군산 신항만, 고군산 국제해양관광단지 등이 포함됨.
○ 진행 현황
- 2007. 2 : 경제부총리 경제자유구역 확대지정의 타당성 검토 방침 발표
- 전라북도 경제자유구역 추가 지정 신청을 위한 용역 실시
- 2007. 12 : 군산 경제자유 구역 지정.
○ 기대 효과
- 각종 의제 처리와 특례조항 적용되어 투자환경 개선됨.
- 매머드급 규모로 대규모 자본 유치 가능함.
Ⅳ. 아파트 분양시장 동향 |
○ 6개 사업지 공급
- 2006년 총 7개 사업지 5,280세대 분양
- 2007년 총 1개 사업지 654세대 공급.
- 대부분 수송택지개발지구내 사업지임(4개 사업지 3,833세대)
- 1군 브랜드 아파트는 현대 아이파크 1개 사업지이며 대부분 지방 업체임.
○ 공급 규모 분석
- 국민주택(전용면적 25.7평이하)규모 이하가 3,454세대로 58.2% 차지
- 국민주택 초과 규모는 2,480세대로 41.8%임.
○ 분양가격 분석
- 수송지구 한라 비발디 57평형이 평당 625만원으로 최고가 분양함.
- 수송지구 제일 오투그란데 29평형이 평당 480만원으로 최저가 분양함.
- 평균적으로 평당 580만원대 분양가격 책정으로 저렴한 편임.
○ 계약률 분석
- 수송지구 현대 아이파크가 566세대중 약95% 계약 완료되어 분양이 가장 잘 되었음.
- 수송지구에 분양한 아파트의 경우 평균 분양률 90%를 넘어 비교적 양호한 편임.
- 입지가 열악한 미룡동 지역에 공급한 아파트의 경우 저조한 분양률로 고전하고 있음.
- 대체로 40평형 이상 큰 평형대의 계약률이 높았으며, 34평형 이하 중소형 평형은 공급이 과다하여 계약률이 낮았음.
- 대체로 브랜드 선호도가 높은 현대 아이파크에 계약이 집중되었으며, 지방 군소업체는 다소 계약률이 저조하였음.
○ 08년 분양예정 아파트
- 수송지구 제일 오투그란데2차 : 총570세대 (21평형 104세대, 24평형 466세대)
- 수송지구 세영 리첼 : 총 1,041세대 (32평형 160세대, 34평형 586세대, 35평형 295세대)
○ 분양가 상한제 적용 여부
- 분양가 상한제 2007년 9월 1일부터 시행.
- 세영 리첼은 2005년도에 인허가 완료하여 분양가 상한제 적용 안되나, 제일 오투그란데는 분양가 상한제 적용됨.
○ 예상 분양가
- 예상 분양가 : 평당 580~620만원선.
(제일 오투그란데의 경우 토지매입비용 및 금융비용 발생하여 전체 토지 매입비가 급증하였으며, 세영 리첼의 경우 선시공후분양으로 건설이자가 급증하여 평당 580~620만원대의 분양가 예상됨)
Ⅴ. 아파트 분양시장 환경 분석 |
○ 공급 부족 현상
- 2007년 공급한 아파트가 미장동 삼성중공업 1개 사업지 654세대로 공급 부족 현상 발생함.
- 2008년도 공급 예정 아파트 2개 사업지 1,971세대임.
- 2009년이후 공급 가능한 아파트 물량이 매년 1개 사업지 정도여서 당분간 공급 부족 현상 지속될 것으로 전망됨.
○ 지역 개발 호재
- 새만금 특별법 제정(07년 12월 말)으로 새만금 개발 가속화.
- 비응관광어항 개발
- 장항선 철도 개통(07년 12월말 예정)
- 장항대교 완공(08년 12월말 예정)
- 경제자유구역 추가 지정 추진
○ 기업 투자 유치 활성화
- 현대중공업 선박블럭 공장 준공 및 군산조선소 착공.
- 두산인프라코어(주) 군산공장으로 이전(08년)
- 기타 자동차 부품업체 등 130개 업체 투자 유치로 군산 인구 유입 증가되고 지역경제 활성화 예상됨.
○ 기존 아파트 노후화
- 군산 나운동 지역 인기 아파트 준공 10년 이상 경과 : 노후화 및 주차난 등으로 새 아파트 이전을 원하는 대기 수요 풍부
- 1998년부터 2005년까지 지역민 선호도 높은 브랜드 아파트 공급 부재.
○ 롯데마트 개점 효과
- 2007년 2월 수송택지개발지구내에 롯데마트 개점함.
- 롯데마트 개점으로 롯데마트에서 거리가 가까운 아파트 단지 위주로 매매가 상승 및 신규 아파트 공급시 분양성 양호함.
○ 지역민 관망세
- 07년 9월부터 분양가상한제가 전국적으로 시행 예정이어서 분양가 인하에 대한 잘못된 기대심리로 일반 서민들 아파트 매수에 주저하며 9월이후 분양하는 아파트 기다림.
○ 투자자 선투자
- 새만금 개발, 군산 경제자유구역 지정등의 개발 호재 및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착공에 따른 개발 기대감으로 전주, 익산, 수도권 투자자는 2008년 1월부터 8월까지 토지와 아파트에 집중 투자함.
○ 브랜도 선호도 높음
- 지방업체가 시공한 아파트와 1군업체가 시공한 아파트의 가격차이가 심하며, 브랜드 선호도가 타 지역에 비하여 월등히 높음.
- 지역민의 브랜드 아파트 선호도가 높은 데다가 2007년 9월이후 분양가 상한제 시행으로 위치가 좋은 지역에 공급이 없어지고 향후 공급될 아파트의 품질 저하가 예상되면서 브랜드가 좋은 아파트에 수요 몰림.
○ 중대형 평형 강세
- 군산시 공급된 아파트 전용면적 25.7평 이하인 중소형 평형이 88%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나, 최근 중대형 평형이 가격 상승률이 높고 주택의 질에 대한 고객의 욕구가 반영되면서 중대형 평형이 강세를 나타냄.
○ 브랜드 아파트 선호도 심화
- 지방업체에서 공급하는 아파트는 견본주택 방문객 급감 추세.
- 선호도 높은 중앙업체 브랜드 아파트 견본주택은 고객 방문 꾸준히 유지됨.
○ 중대형 평형 선호
- 주택의 질에 대한 욕구가 발현되면서 중대형 평형에 대한 관심도 지속적으로 높아짐.
- 다만, 분양가격에 대한 부담으로 중형 아파트에 수요가 몰리는 현상 발생함.
○ 건강 트랜드 확산
- 친환경 아파트 선호
: 친환경 아파트 선호하여 단지내 조경에 관심이 높아지고, 친환경 자재 사용여부를 꼼꼼히 체크하는 추세임.
- 조망권 선호
: 자연환경을 조망할 수 있는 아파트를 중요시하여 앞동을 선호함.
- 인근 공원있는 아파트 선호
: 인근에 공원이 있는 아파트를 선호하여 공원과 근접한 아파트 시세가 공원이 없는 아파트 시세보다 매우 높게 형성됨.
- 편익시설 이용이 편리한 아파트 선호
: 롯데마트 개점으로 롯데마트 인근에 위치한 아파트 선호함.
○ 분양가 상한제가 실시되어도 군산시 아파트 신규공급 분양가 가격인하 효과 기대하기 어려움.
- 2009년 분양 예정인 지곡동 신도 브래뉴의 분양가격이 평당 650만원정도 예상되면서 2007년 분양가격이 가장 높았던 미장동 삼성중공업보다 분양가격이 높음.
○ 분양가 상한제 시행 후 문제점
- 건설업체 분양가 인하 대신 마이너스 옵션제 시행으로 실제 인하효과 없음.
- 고급 마감재 사용이 어려워 지므로 아파트 품질이 저하됨.
- 땅값이 비싼 좋은 위치의 아파트 공급이 어려움.
- 건설사들 공급부족으로 인해 2~3년후 아파트 가격 급등 초래 가능성 상존.
○ 청약가점제 시행으로 인기지역 아파트 프리미엄 상승 가능성
- 인기지역 청약이 어려워 짐
- 실 구매능력 보유자들의 청약 당첨기회 상실됨
- 신혼부부 등 젊은 층의 청약 당첨확률 희박함
- 실수요자들의 청약통장 유명무실화로 실수요자들 전매를 통한 아파트 구입으로 인기지역 아파트 프리미엄 상승 가능성 높아짐.
○ 분양가 상승 지속
- 분양가 상한제 시행하더라도 2009년까지는 분양가 상승 지속 전망됨.
○ 수송지구 아이파크 강력 추천함
- 현대산업개발이 분양한 아이파크는 수송택지개발지구내 최고의 아파트 입지를 갖추었음.
- 아이파크는 군산지역에서는 브랜드 선호도가 가장 높으며, 최근 입주를 개시하면서 전주 효자동 아이파크와 함께 전라북도 랜드마크 아파트 자리를 놓고 치열하게 경쟁중임.
- 아이파크는 아파트 단지 앞에 1만3천여평의 근린공원(공원내에 잔디축구장을 비롯한 각종 체육시설 완비됨)과 롯데마트가 위치하여 공원 프리미엄 및 대형마트 프리미엄 기대됨.(현재도 로얄동의 경우 1천5백만원~2천만원 정도의 프리미엄 형성함)
- 아이파크 단지 앞쪽은 단독주택지여서 조망권이 침해될 우려가 없어 조망권 프리미엄 기대됨.
- 전라북도와 군산시가 추진하여 경제자유구역이 추가로 지정되어 향후 1~2년내 군산지역 부동산 폭등 가능성 높음
- 중도금 60% 무이자 융자 실시로 계약자는 계약금 10%만 있으면 분양계약 체결이 가능하므로 입주때까지 추가 자금부담이 없음.
- 군산시내 최근 10년동안 브랜드 아파트 공급이 없어 브랜드 아파트 선호하는 대기 수요자 풍부함.
- 수송지구 아이파크 실용적인 설계로 상품성 우수함
* 전세대 남향위주 배치로 일조권, 조망권 확보
* 주민 공동시설 특화(휘트니스센터, 골프연습장 등)로 단지내 건강 라이프 실현
* 중대형 평형 위주의 고급 아파트
* 실용적인 평면 구조(슬라브 두께 210mm로 소음 저감, 발코니에 창고형 수납장 설치로 수납공간 풍부)
2008.10.23.
-
채택
질문자가 채택한 답변입니다.
-
출처
다음 사이트에서 퍼왔습니다
엑스퍼트 전문가를 모십니다! 지식 공유하고 수익도 창출할 수 있는 기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