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영역
21년도 7월에 사업자등록을 했습니다
22년도에는 소상공확인서를 발급받았습니다 23.331 유효기간 분
올해 소상공확인서 발급을 할려고 하니 온라인 제출서류에
원천세 등 부가세 신고자료가 없어서 자료가 생성이 안되는데
이렇다면
소상공확인서를 발급 받지 못하나요???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소상공인 마이데이터 서비스가 운영 개시되었습니다.
소상공인들의 여러 서류 처리 등을 간편하게 할 수 있으니 확인하시고 가입하시면 도움받으실 수 있습니다.
2023.08.19.
안녕하세요! 질문에 상세히 답변드리겠습니다.
✅질문
소상공인확인서발급건
안녕하세요 질문합니다.
21년도 7월에 사업자등록을 했습니다
22년도에는 소상공확인서를 발급받았습니다 23.331 유효기간 분
올해 소상공확인서 발급을 할려고 하니 온라인 제출서류에
원천세 등 부가세 신고자료가 없어서 자료가 생성이 안되는데
이렇다면
소상공확인서를 발급 받지 못하나요???
✅답변
네, 소상공인확인서를 발급받지 못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소상공인확인서는 소상공인의 요건을 충족하는 사업체에 대해 발급되는 것으로, 소상공인의 요건에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습니다.
● 상시적으로 종업원을 고용하지 아니하는 사업체
● 연간 매출액이 10억원 이하인 사업체
● 상시 종업원 수가 50인 이하인 사업체
이러한 요건을 충족하기 위해서는, 사업체의 매출액과 종업원 수를 파악해야 합니다. 따라서, 사업체의 매출액과 종업원 수를 입증할 수 있는 서류를 제출해야 합니다.
귀하의 경우, 2022년 소상공인확인서를 발급받을 때는 2021년의 매출액과 종업원 수를 입증할 수 있는 서류를 제출하였기 때문에 소상공인확인서를 발급받을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2023년 소상공인확인서를 발급받으려고 할 때는 2022년의 매출액과 종업원 수를 입증할 수 있는 서류를 제출해야 합니다.
귀하께서 말씀하신 것처럼, 원천세 등 부가세 신고자료가 없다면, 2022년의 매출액과 종업원 수를 입증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2023년 소상공인확인서를 발급받기 위해서는, 2022년의 매출액과 종업원 수를 입증할 수 있는 다른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예를 들어, 2022년의 사업자등록증, 2022년의 세금계산서, 2022년의 종업원 급여대장 등을 제출할 수 있습니다.
만약, 2022년의 매출액과 종업원 수를 입증할 수 있는 서류를 제출하지 못하면, 소상공인확인서를 발급받지 못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아래 링크에는 '소상공인 정책자금' 관련하여 최근 많은 분들이 궁금해 하시는 내용들에 대해 하나 하나 자세히 기재해 두었습니다.
알고계시면 확실히 도움이 되는 정보들이니 살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2023.08.26.
안녕하세요. 소상공인확인서 발급과 관련하여 답변드리겠습니다.
소상공인확인서는 사업자 등록 이후에 발급되는데, 해당 서류의 발급 요건은 지방자치단체별로 상이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원천세와 부가가치세 신고 자료 등의 세무 신고 내역이 요구됩니다.
만약 온라인 제출서류에서 원천세와 부가가치세 신고 자료가 생성되지 않아 발급을 받지 못하는 상황이라면, 다음과 같은 절차를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세무 담당 부서와 상담: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세무 담당 부서에 문의하여 현재 상황을 설명하고 도움을 요청해 보세요. 그들은 보다 구체적인 가이드라인과 해결 방법을 제시해 줄 수 있습니다.
추가 자료 제출: 만약 원천세와 부가가치세 신고 자료를 생성하지 못하는 이유가 잘못된 정보 입력 또는 누락된 정보일 경우, 정정된 자료를 추가로 제출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재신청 시기 확인: 일부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소상공인확인서 발급 시기에 대한 규정이 존재할 수 있으므로, 해당 기간 및 조건을 확인하고 정해진 절차에 따라 재신청할 필요도 있습니다.
+++++밑에 링크에 소상공인 정책자금 등 관련하여 대출종류 별로 정리해 놓았습니다 많은 분들이 궁금해 하시는 내용들을 자세하게 정리하였습니다.
알고계시면 확실히 도움이 되는 정보들이니 살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2023.09.02.
엑스퍼트 전문가를 모십니다! 지식 공유하고 수익도 창출할 수 있는 기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