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영역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안녕하세요. 서울지방변호사회 소속으로 지식iN 법률상담을 진행하고 있는 김국일 변호사입니다.
☘️ 지역 상관없이, 휴일에도 전문가 지원 | ||
☘️ 1:1 맞춤형 법률 자문 제공 | ||
국가보훈부의 심사 과정에서 담당자의 자의적인 판단으로 인해 심사 기록물 검토에 심각한 오류가 발생했다면 해당 사실로 인한 국가배상청구소송을 제기할 수 있습니다.
다만, 행정처분 후에 항고소송이 취소되었다는 사실만으로는 공무원의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불법 행위라고 단정하기엔 어려운 부분이 있겠지요.
정보공개제도에 대한 부분은 또 다른 근거가 될 수 있겠으나, 위법한 직무수행에 대한 구체적인 근거들을 잘 준비하셔야 국가배상제도 절차를 이행할 수 있음을 말씀 드립니다.
소를 제기하는 것이 충분히 가능한 사안으로 보이나, 구체적인 자료와 경위를 검토해 보아야 실질적인 가능성을 명확히 말씀드릴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도움이 필요하시다면 언제든 말씀해 주셔도 괜찮으니, 하단의 프로필에 들어가면 나오는 법률 상담 번호를 확인해 주셔도 좋습니다.
✅ 관련 판례와 사례를 바탕으로 솔루션 제공 ✅ 자료 분석 및 수집, 작성 단계별 체계적 지원 ✅ 구체적인 가능성의 검토부터 법적 조력까지 |
2025.02.12.
-
채택
질문자가 채택한 답변입니다.
안녕하세요. 서울지방변호사회 소속으로 지식iN 법률상담을 진행하고 있는 김솔애 변호사입니다.
국가배상 청구는 각 사건의 구체적인 사실과 관련 법률에 따라 복잡한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따라서 법률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상세한 법적 조언을 받고, 실제 청구 절차를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국가배상 책임 조건
불법행위: 국가기관 또는 공무원이 직무상의 의무를 위반하여 타인에게 손해를 끼친 경우
가해성: 국가기관 또는 공무원의 행위와 피해 발생 사이에 인과관계가 있어야 함
유책성: 국가기관 또는 공무원의 고의 또는 과실이 있어야 함
손해: 신체적, 정신적, 재산적 손해 등 구체적인 손해 입증 필요
2. 본 사례에 대한 분석
담당자의 자의적 판단: 심사 기록물 검토 과정에서 상이 내용의 기록물 존재에도 정상 심사 진행 및 판결 내린 경우 고의 또는 과실로 볼 수 있음
지청 및 담당 공무원의 부적절한 행위:
정보공개 제도에 대한 안내 누락으로 피해 사실 인지 지연
공개대상 기록물 비공개 통보, 공개 지연 등 민원 처리 방해 및 지연
피해: 잘못된 판결로 인한 신체적, 정신적, 재산적 손해 입증 가능성
3. 국가배상 청구 가능성
위 조건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했을 때, 국가배상 청구 가능성이 충분히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정확한 판단을 위해서는 사건의 구체적인 사실관계와 증거 자료를 검토해야 합니다.
청구 대상 및 방식
1. 청구 대상
담당자: 심사 과정에서 자의적 판단으로 오류 발생
국가보훈부 지청: 정보공개 제도 안내 누락, 공개대상 기록물 비공개 통보, 공개 지연 등
국가보훈부: 국가기관으로서 지청의 책임을 지는 관계
2. 청구 방식
행정상 청구: 국가보훈부에 직접 청구
민사소송: 행정상 청구가 기각되거나 불만족스러운 경우 법원에 소송 제기
4. 전문가 도움
국가배상 청구는 법률적 전문성이 요구되는 복잡한 절차입니다.
따라서, 변호사 등 법률 전문가와 상담하여 전략을 세우고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5. 맺음말
국가배상 청구는 피해 사실을 명확하게 입증하고, 적절한 법률적 전략을 수립해야 성공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위에 제시된 정보를 참고하여 증거 자료를 확보하고, 변호사 등 법률 전문가와 상담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하시기 바랍니다. 힘내세요!
2024.07.04.
-
채택
질문자가 채택한 답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