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VER

사용자 링크

Q&A 영역

질문 구제역의 발생 원인은?
비공개 조회수 624 작성일2024.10.04
일반적으로 축산업을 중심으로 구제역이 발생하면 큰 문제가 생긴다고 들었습니다.

그러면 구제역의 발생 원인은 주로 전염병이 제일 클 수도 있나요?

그리고 구제역에 대한 대책은 방역, 백신 접종 등이 대안으로 볼 수 있는지요?
프로필 사진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1개 답변
1번째 답변

안녕하세요? 축산의 미래를 선도하는 축산유통 전문기관 '축산물품질평가원' 입니다.

구제역을 일으키는 원인 바이러스에 감염되거나 보균, 또는 해당 질병으로 폐사한 폐사체와 접촉 등으로 인해 감염이 발생하게 됩니다. (아래 Ⅳ. 전파방법을 참고하세요)

예방을 위해서는 철저한 차단방역과 정기적인 백신접종을 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입니다.

구제역은 일단 발병을 하게 되면 특별한 치료법이 없기 때문에 바이러스 차단을 위해 살처분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구제역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다음 소개하는 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구제역(FMD)이란?(출처 : 구제역 긴급행동지침 농림축산식품부)

Ⅰ. 정 의

구제역(口蹄疫, FMD ; foot-and-mouth disease) 이란 소, 돼지, 양, 염소, 사슴 및 야생 반추류 등과 같이 발굽이 둘로 갈라진 우제류(偶蹄類) 동물에서 체온이 급격히 상승하고 거품섞인 침흘림, 입, 혀, 발굽 또는 젖꼭지 등에 물집, 가피, 궤양 등이 나타나며, 식욕이 저하되어 심하게 앓거나 죽게 되는 전파력이 매우 강한 전염병이다.

이 질병은 가축전염병 예방법상 제1종 가축전염병이며, 세계동물보건기구(OIE)에서 관리대상 질병 으로 분류․지정하고 있으며 발생시 OIE에 보고해야하는 질병이다.

Ⅱ. 병인체

구제역의 병인체는 피코나바이러스과 아프토바이러스속에 속하는 바이러스이며 7개의 혈청형(A, O, C, Asia 1, SAT 1, SAT 2 및 SAT 3)이 있다. 현재는 바이러스의 VP1단백질에 해당되는 유전자(약639bps) 부위의 염기서열 유사도가 상호간에 대략 85%이상인 경우 하나의 분류를 형성하는데 이러한 분류는 지역성을 나타내는 경우가 대부분 이어서 지역형(topotype)으로 불리고 있다. 혈청형이 다른 바이러스 간에는 혈청학적으로 중화가 되지 않고 백신에 의한 방어가 되지 않을 만큼 유전적 또는 항원적으로 큰 차이를 보인다. 2000년 및 2002년 국내에서 발생한 구제역바이러스는 혈청형 O형의 ME-SA 지역형이었고, 2010년 1월에는 A형의 Asia지역형, 4월 및 11월에는 O형의 SEA지역형, 2014년 7월 및 12월에는 O형의 SEA지역형이 국내에 유입되었다. 혈청형 O형의 경우 약 8개 내외 지역형이 보고되고 있으며, 기타 혈청형 내에서도 유전적으로 다양한 지역형이 있다.

Ⅲ. 감염경로

구제역은 코, 입 등 호흡기와 상처 입은 피부 등을 통해 감염되며, 일반적으로 소는 비말 중의 바이러스가 상부기도에 침입하여 여기에서 증식한 후 혈류를 통하여 전신에 확산하는 감염양식이 일반적이다. 또한 피부나 점막의 상처를 통하여 감염될 수 있으나 그 확률은 매우 낮다. 돼지는 바이러스에 오염된 음식물을 먹거나 감염된 동물과 접촉할 경우 감염될 수 있으며, 비말로는 감염되기 어렵다.

Ⅳ. 전파방법

구제역 바이러스는 매우 급속도로 전파되며, 크게 4가지 경로를 통해서 확산된다.

첫째, 감염동물의 수포액이나 침, 유즙, 정액, 비말 공기 및 분뇨 등에 접촉하여 이루어 지는 직접접촉 전파이다. 특히, 감염초기에 아직 임상증상이 나타나지 않은 상태에서 바이러스 배출도 상당하므로 감염된 개체와 감염이 의심되는 개체의 이동을 확실히 통제해야 한다.

둘째, 감염지역 내 사람(농장종사자, 수의사․인공수정사 등 축산관련 종사자), 차량(사료차, 출하차, 집유차 등) 및 차량기사, 의복, 물, 사료, 장비, 기구 등에 의한 간접접촉전파이다.

셋째, 오염된 농장(지역)의 가축과 가축의 분비물 및 배설물 등에 쉽게 접촉할 수 있는 쥐, 조류, 곤충 및 개․고양이 등도 기계적으로 바이러스를 전파하는 주요한 매개체가 될 수 있으므로, 해당 농장(지역)의 구서 및 해충 제거가 필요하다.

넷째, 일정한 요건을 갖출 경우 공기(바람)를 통해서도 전파되는데 육지에서는 60km, 바다를 통해서는 250km이상 떨어진 곳까지 전파가 가능하다. 또한 구제역 바이러스에 오염된 식육과 식육부산물 등 축산물을 통해서도 전파된다.

Ⅴ. 잠복기간

구제역의 잠복기간은 보통 2일에서 8일 정도로 매우 짧으며 세계동물보건기구(OIE)는 최대 잠복기를 14일로 본다.

Ⅵ. 임상증상

□ 소의 특징적 증상

◦ 구제역 바이러스에 감염된 소는 체온상승, 식욕부진, 침울, 우유 생산량의 급격한 감소 등이 나타난다.

◦ 발병 후 24시간 이내에 거품 섞인 침을 심하게 흘리고, 혀와 잇몸 등에 수포가 생긴 것을 관찰할 수 있으며, 입맛 다시는 소리로 ‘딱···딱’ 하는 소리를 내기도 한다.

◦ 수포는 발굽의 지간부와 제관부, 유두 등에서도 관찰되며 수포는 곧 파열되어 피부가 드러나 출혈이 생기고 궤양으로 발전한다.

◦ 감염된 소들은 1주 이상 거의 먹지 못하며 잘 걷지 못하고, 유방염, 산유량 격감 등의 경제적 피해를 입힌다. 특히 젖소에서는 산유량이 50% 정도 감소한다.

◦ 일반적으로 이환율은 높고 폐사율은 낮은 편이나, 어린 송아지의 경우 성우에 비 하여 폐사율이 높다.

◦ 성우의 폐사율은 5% 미만으로 매우 낮으며 임신우에서는 유산이 발생할 수 있다.

◦ 6개월 미만의 송아지는 심근염에 의해 폐사하는 경우가 있으며, 이 경우 심근에 나타나는 특징적인 병변을 호반심(tiger heart)이라고 한다.

□ 돼지의 특징적 증상

◦ 돼지에서 특징적으로 관찰되는 증상은 걷기 힘들어하고(파행 증상), 발굽의 심한 병변과 고통으로 인해 제대로 서거나 걷지 못하고 절룩거리거나 무릎을 꿇고 기어다닌다.

◦ 발굽의 수포가 파열되어 피부가 벗겨진 자리에 세균에 의한 2차감염이 일어나고 이로 인해 발톱이 탈락되기도 한다.

◦ 입 주변의 수포 형성은 소의 경우처럼 전형적이지는 않으나, 콧잔등에는 큰 수포가 형성되며 쉽게 터지는 경우가 많다. 모돈의 경우 유두 및 유방의 수포를 관찰할 수 있다.

◦ 새끼 돼지의 폐사율은 50% 정도이며 때로는 성돈도 폐사한다.

Ⅶ. 진 단

구제역 진단방법으로는 동물체내에 구제역 바이러스의 존재 유무를 검색하는 항원진단법과 구제역 바이러스의 감염 결과 형성된 항체를 검출하기 위한 항체진단법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항원진단법으로는 수포액, 수포형성 상피세포, 타액 또는 인·후두 부위 채취액 등을 검사시료로 하여 세포배양을 이용한 구제역 바이러스의 분리, 역전사 중합효소연쇄반응(RT-PCR)법을 이용한 구제역 바이러스 특이 유전자 검출 및 항원검출용 ELISA 검사 또는 보체결합반응 등을 이용하여 구제역 바이러스를 검출하는 방법 등이 주로 이용된다.

항체진단법으로는 동물의 혈액을 채취하여 혈청내 구제역 바이러스의 항체 형성여부를 검출하는 혈청중화시험, 항체검사용 ELISA 검사법 및 보체결합반응 등이 주로 이용된다.

현재 국내에서는 RT-PCR 검사기법, ELISA검사법 및 혈청중화시험 등이 구제역의 확정 진단에 활용되고 있으며, 2002년 구제역 발생현장에서는 신속진단을 위한 간이진단킷트를 세계 최초로 적용한 바 있다.

구제역 바이러스의 혈청형(유전형) 및 야외바이러스에 대한 가용 백신의 유효성을 확인 또는 재확인하기 위하여 세계동물보건기구(OIE)에서 지정한 구제역 표준연구소(World Reference Laboratory)로 수포액, 수포상피세포 및 혈청 등의 가검물 또는 감염동물 로부터 분리한 바이러스를 송부한다.

Ⅷ. 방역대책

국내에서 구제역으로 의심되는 임상증상이 나타나는 의심축을 발견할 경우에는 읍·면·동, 시·군, 시·도, 시·도 방역기관 및 농림축산검역본부(이하 “검역본부”라 한다)에 신고하여 최단시간 내에 정밀진단이 이루어져야 하고 즉각적인 방역대책이 실시되어 이로 인한 양축농장 및 축산업의 피해를 최소화시켜야 한다.

기타 구제역에 대한 내용은 농림축산식품부 조류독감(AI) 구제역 홈페이지(http://www.mafra.go.kr/FMD-AI/main.jsp)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구제역은 국가적으로 많은 손실을 가져올 뿐 아니라, 소비심리를 위축시켜 소, 돼지 고기에 대한 소비도 급감하기 때문에 질병 발생 이상으로 농가에 많은 피해를 줄 수 밖에 없습니다.

구제역은 말 그대로 발굽과 입에 수포가 발생하는 질병입니다. 구제역이 발생하면 혀와 발굽 사이에 물집이 생기고 발굽의 상처로 인한 고통 때문에 서거나 걷지 못하게 되고 심한 경우에는 폐사(폐사율 5~55%)하게 됩니다.

살처분을 하는 이유는 가축 사이에 구제역 바이러스의 전파를 막기위해서입니다.

국제수역사무국(OIE, Office international des épizooties or 세계동물보건기구(World Organisation for Animal Health)에서는 가축 전염병 가운데 가장 위험한 A급 바이러스로 지정하였으며, 특별한 치료법이 없기때문에 살처분을 하여 바이러스의 전파를 차단하는 것입니다.

구제역 바이러스는 사람 세포에 침입할 수 없어 구제역에 감염된 가축을 식용으로 사용하여도 아직까지 감염된 사례는 보고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소, 돼지의 경우에는 구제역 바이러스에 쉽게 감염되기 때문에 도축장으로 운반․도축·가공·유통하는 과정에서도 바이러스가 전파될 우려가 있어 국제적으로 구제역 가축은 식용으로 사용하지 않고 살처분합니다.

​<출처: 농림축산식품부 네이버 지식iN 답변>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8&dirId=8020605&docId=214731609&qb=6rWs7KCc7JetIOqzoOq4sA==&enc=utf8&section=kin&rank=1&search_sort=0&spq=1&pid=SpwySlpySEdssultFiZssssssvs-176405&sid=3Gv5nuJf3Mf1pF4cMWPewQ%3D%3D

[참고] 가축법정전염병

가축법정전염병이란 가축의 전염병 중 국가가 직접 관리하여 피해를 사전에 막거나 최소화하기 위하여 법으로 지정한 전염병으로 자세한 내용은 아래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가축전염병은 악성이고 경제적 피해가 크거나 사람에게도 옮겨 공중보건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가축전염병예방법(법률 제12806호, 1961년 제정, 2014년 31차 개정)은 피해의 정도에 따라 제1종, 제2종, 제3종으로 구분한다.

제1종 가축전염병: 우역(牛疫), 우폐역(牛肺疫), 구제역(口蹄疫), 가성우역(假性牛疫), 블루텅병, 리프트계곡열, 럼피스킨병, 양두(羊痘), 수포성구내염(水疱性口內炎), 아프리카마역(馬疫), 아프리카돼지열병, 돼지열병, 돼지수포병(水疱病), 뉴캣슬병 및 고병원성 조류(鳥類)인플루엔자.

제2종 가축전염병: 탄저(炭疽), 기종저(氣腫疽), 브루셀라병, 결핵병(結核病), 요네병, 소해면상뇌증(海綿狀腦症), 큐열, 돼지오제스키병, 돼지일본뇌염, 돼지테센병, 스크래피(양해면상뇌증), 비저(鼻疽), 말전염성빈혈, 말바이러스성동맥염(動脈炎), 구역(구역), 말전염성자궁염(傳染性子宮炎), 동부말뇌염(腦炎), 서부말뇌염, 베네수엘라말뇌염, 추백리(雛白痢), 가금(家禽)티푸스, 가금콜레라, 광견병(狂犬病), 사슴만성소모성질병(慢性消耗性疾病) 및 그 밖에 이에 준하는 질병으로서 농림축산식품부령으로 정하는 가축의 전염성 질병.

제3종 가축전염병: 소유행열, 소아카바네병, 닭마이코플라스마병, 저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부저병(부저병) 및 그 밖에 이에 준하는 질병으로서 농림축산식품부령으로 정하는 가축의 전염성 질병.

축산물품질평가원(www.ekape.or.kr)이나 축산유통정보(www.ekapepia.com)를 방문하시면 축산관련 많은 지식과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 상기 답변은 축산물품질평가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으며, 단순 참고용으로만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출처 : 농림축산식품부

2024.10.04.

  • 채택

    질문자가 채택한 답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