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VER

사용자 링크

Q&A 영역

질문 월세 세액공제, 소득공제
비공개 조회수 7,467 작성일2024.04.10
연말정산하면서 회사에 월세 공제 서류(임대차 계약서 등)를 제출했었는데
월세 세액공제를 받은건지 소득공제를 받은건지 궁금합니다.
어디서 확인할 수 있을까요?
또 둘중 어던 공제를 받을지는 개인이 말하지 않으면 회사에서 임의로 정하는 건가요?
프로필 사진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1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한재원
세무사 eXpert

연말정산이 완료되고 [ 원천징수 영수증 ] 을 받으셨다면, 그 항목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원천징수 영수증을 못받으셨다면 회사에 요청을 하셔야하구요!

다만 월세의 경우, 일반적으로 소득공제와 세액공제 중 세액공제를 적용받습니다.

세액공제 조건이 안되는 경우에만 소득공제를 받는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또한, 결정세액이 0원이라서 더 공제를 추가하지 않아서 전체환급이 되는 경우

그냥 공제를 받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래서 결정세액이 0원이면 공제여부를 떠나 무시하셔도됩니다 ^^;

2024.04.10.

  • 채택

    질문자가 채택한 답변입니다.

본 답변은 참고용이며, 답변을 제공한 개인 및 사업자의 법적 책임이 없습니다.
한재원님의 엑스퍼트 상품
답변자에게 더 자세한 맞춤 상담하고 싶다면 엑스퍼트를 이용해보세요!
바로가기
2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요원009
초인

추가 정보를 드리면

월세 세액공제

장점 : 실제 공제액이 큼

단점 : 조건이 간단

월세 소득공제

장점 : 조건이 매우 복잡

단점 : 실제 공제액이 적음

그래서 세액공제로 진행하는 게 낫고요.

세액공제 조건은

"총 급여 7천만 원 이하 또는 총소득 6천만 원 이하인 무주택 세대주 및 근로소득자라면 가능합니다.이때 거주하는 월세주택(고시원, 오피스텔 포함)은 전용면적 85㎡ 이하, 시가 4억 원 이하로 하여야 합니다. 또한 임대차계약서 주소와 주민등록상 주소가 동일해야 하며, 전입신고를 마쳐야 합니다."

결정세액이 0원이면 신경 안 써도 되지만 그래도 세액공제를 기반으로 계산되었는가를 먼저 따져보는 게 필요하죠.

아래 글도 천천히 읽어보세요.

월세 소득공제 vs 세액공제

2024.05.03.

3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blue****
지존

Q

연말정산하면서 회사에 월세 공제 서류(임대차 계약서 등)를 제출했었는데

월세 세액공제를 받은건지 소득공제를 받은건지 궁금합니다.

어디서 확인할 수 있을까요?

또 둘중 어던 공제를 받을지는 개인이 말하지 않으면 회사에서 임의로 정하는 건가요?

A

안녕하세요

일반적인 직장인이라면

세액공제 혜택이 더 크기 때문에

주로 세액공제를 받는 편입니다

단 월세 세액공제는 조건이 있기 때문에

이 조건에 해당되지 않으면 소득공제를 받기도 합니다

https://a.nomad500.com/%ec%9b%94%ec%84%b8-%ec%97%b0%eb%a7%90%ec%a0%95%ec%82%b0/

2024.06.07.

5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비공개 답변
영웅

네, 월세 세액공제와 소득공제에 대해 질문 주셨네요.

연말정산 시 월세 공제는 세액공제 방식으로 적용됩니다. 따라서 회사에 월세 관련 서류를 제출하셨다면, 월세 세액공제를 받으신 것으로 보입니다.

월세 세액공제 적용 여부는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국세청 홈택스 또는 손택스 앱에서 '연말정산 간소화' 메뉴를 통해 공제 내역을 확인해 보세요.

월세 세액공제는 소득 수준에 따라 공제 대상이 달라지기 때문에, 회사에서 임의로 결정하지 않습니다. 일반적으로 근로자가 제출한 서류를 바탕으로 공제 요건을 판단하고, 세액공제 요건에 해당된다면 세액공제를 적용합니다.

참고로 월세 세액공제는 총 급여 7천만 원 이하인 무주택 세대주에게 적용됩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면 더 자세한 정보를 찾으실 수 있습니다.

https://kin.newverdownload.com/498/

2025.0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