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영역
제가 실업급여 수급 대상자인데 고용보험 모바일 앱 모의계산을 해보니 1일 실업급여 수급액이 39,440원 예상 지급일이 120일로 나오더라구요
이직확인서 처리여부 조회를 보니 제 평균임금이 36,351원이었는데 모의계산에서도 평균임금 값은 똑같았습니다
그럼 모의계산대로 저의 1일 실업급여 수급액이 똑같은 거 맞는 거겠죠?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질문]
안녕하세요
제가 실업급여 수급 대상자인데 고용보험 모바일 앱 모의계산을 해보니 1일 실업급여 수급액이 39,440원 예상 지급일이 120일로 나오더라구요
이직확인서 처리여부 조회를 보니 제 평균임금이 36,351원이었는데 모의계산에서도 평균임금 값은 똑같았습니다
그럼 모의계산대로 저의 1일 실업급여 수급액이 똑같은 거 맞는 거겠죠?
[답변]
안녕하세요~ 실업급여 수급액 관련 질문 주셨군요^^
고용보험 홈페이지에 따르면
1일 구직급여 지급액은 이직 전 3개월 간의 평균임금의 60%,
예상 지급일 수는 퇴직 당시 연령과 고용보험 가입기간에 따라 최소 120일 최대 270일까지 계산됩니다.
실업급여 수급 관련하여 자세한 내용은 아래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2024.07.19.

실업급여 수급액이 정확하게 산정되는지 궁금하실 것 같네요. 고용보험 모바일 앱의 실업급여 모의계산 결과는 실제 지급액과 거의 유사하게 나올 가능성이 높습니다. 하지만 정확한 금액은 이직확인서 처리 후 고용센터에서 최종 심사 후 확정됩니다.
실업급여 1일 수급액은 평균임금의 60%로 계산되며, 모의계산 결과와 이직확인서 평균임금(36,351원)이 동일하다면, 다음 공식이 적용됩니다.
하지만 2024년 기준 최저/최고 지급 한도가 적용되기 때문에, 계산된 금액이 최저보장액(1일 8만 원) 미만이면 최저보장액이 적용되고, 최고 상한선(1일 66,000원)을 초과하면 상한액으로 제한됩니다.
모의계산에서 1일 실업급여 수급액이 39,440원으로 나왔다면, 이는 위 공식을 적용한 정상적인 결과일 가능성이 큽니다. 또한 예상 지급일 120일도 근속기간 및 연령에 따른 지급일 수 기준과 일치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결론적으로, 고용보험 모바일 앱의 모의계산 결과는 실제 지급액과 거의 같을 확률이 높으며, 특별한 오류가 없다면 동일한 금액이 나올 것입니다. 다만, 이직확인서 처리 과정에서 고용센터에서 재검토할 수도 있으므로, 이직확인서 처리 상태를 확인한 후 최종 결정된 금액을 다시 한번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실업급여 확정 금액 및 신청 절차가 궁금하시다면 아래 사이트에서 확인해 보세요.
2025.03.19.
안녕하세요. 로시컴-네이버 지식iN 상담 공인노무사 최창국 입니다.
1. 실업급여는 1일 소정근로시간이 액수 책정에 중요 요소가 됩니다.
2. 1일 평균임금이 10만원 이하는 모두 최저일액이 적용되는데
3. 현재 최저일액은 1일 8시간 + 주 5일 근로하는 근로자 기준 63,104원으로 책정되어 있습니다.
4. 이직확인서에 1일 소정근로시간이 5시간으로 기재되어 있다면 63,104원 * 5/8 = 39,440원으로 책정됩니다.
5. 질문자가 1일 5시간 + 주 5일 근로한 것이 맞다면 위 금액으로 책정됩니다.
※ 실업급여 액수 책정 문제에 대한 추가적인 궁금증 또는 심층상담을 원하시면
▶ 최창국 노무사 네이버 엑스퍼트 상담 받기 아래 프로필 클릭
https://m.expert.naver.com/expert/profile/home?storeId=100016619
▶ 최창국 노무사 유료/직통/실시간 상담 : 060 - 900 - 0427
2024.07.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