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VER

사용자 링크

Q&A 영역

질문 알바 부당해고 구제신청
brav**** 조회수 1,513 작성일2024.01.04
알바몬 알바 공개채용 내용을 보고 면접을 본 후 사장님한테 12월 27일에 합격 문자를 받았습니다. 사장님은 1월 5일 출근하면 된다고 답장 받았습니다. 그래서 보건증도 준비하고 있었는데 전날에 제가 몇 시에 출근하면 될지 여쭤보니 사람이 꽉차서 일하기 어려울 것 같다고 하네요. 이러한 경우에 알바 부당해고 구제신청이 가능한지 궁금하고 알바 부당해고 구제신청을 했을 때 어떤 이득이 제게 있고 그 영업장에 어떤 피해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프로필 사진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1개 답변
1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비활동 전문가 답변

안녕하세요. 로시컴-네이버 지식iN 상담 공인노무사 윤병상 입니다.

근로기준법 제23조에 따라 사용자는 근로자에게 '정당한 이유'없이 해고를 할 수 없고

해고는 '서면'으로 해야 효력이 있으며 질문자님의 경우는 채용내정 취소(입사취소)와 관련이 있습니다.

채용내정이란 회사가 정한 전형절차에 의해 합격이 결정되었으나

아직 정식으로 입사하기 전의 상태로 채용내정의 취소 또는 해지는 근로기준법상 해고로 판단되며

다만 근로기준법 제23조의 해고의 '정당한 이유'의 판단에 있어서는 정식근로자의 경우보다

그 정당성의 범위가 넓게 인정될 수 있습니다. (대법 1991.5.31, 90가합18673)

부당한 본 채용거부에 대해서는 부당해고 구제신청을 통해서 권리구제를 받으실 수 있으며,

정확한 사실관계에 대한 검토는 필요할 것 같으나 적어주신 내용에 따라 확정된 입사일자 등이

정해졌음에도 불구하고 채용취소가 되는 경우 부당해고 구제신청을 통해서 권리구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질문자님의 경우 부당해고 구제신청을 제기해서 인정을 받는다면 원직복직 및 임금상당액 청구가 가능하며,

만약 원직복직을 원치않는다면 부당해고 기간 동안의 임금상당액 청구만도 가능(금전보상)합니다.

(다만 부당해고 구제신청은 상시 근로자 5인 이상인 사업장에서 해고일로부터 3개월 이내에 가능합니다.)

그러나 구제신청을 한다고 해서 무조건 인정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인정가능성이 있는지 여부를 살펴보아야 하고 질문자님의 경우 ​

​우선 사업장 상시 근로자수가 5인 이상이 맞는지 여부를 확인해 보아야 합니다.

한편 전날에 출근시간을 물어보니 다음으로 사람이 꽉차서 일하기 어려울 것 같다고 답변받으셨는데,

질문자님은 어떤 반응을 하셨는지, 대화는 전화,문자,카톡 등 어떤 수단인지(입증가능한지) 등

제반사정을 살펴보아야 합니다.

노동위원회 사건의 경우​

1. 법적으로 권리구제 수단을 이용할 수 있는지,(사실관계, 근로계약서등 검토)

2. 해고로 인정될 수 있는지 (해고의 존부문제)

3. 해고로 인정된다면 부당해고로 인정될 수 있는지 (해고의 정당성, 부당성 여부)

4. 신청취지나 접수시기를 어떻게 할 것인지 등

여러가지 고려해야 할 부분이 많으므로 노무법인이나

노무사 사무실 등에 유선상 또는 방문등으로 상담을 받으시는 것도 방법일 것 같습니다.

더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지식인 엑스퍼트(아래 클릭) 등을 통해서 연락부탁드립니다.

(주말, 공휴일, 야간 등에도 상담이 가능합니다) 질문과 관련하여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

​윤병상 : 네이버 엑스퍼트 (naver.com)

2024.01.05.

  • 채택

    질문자가 채택한 답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