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영역
마르크스의 유물론적 역사관이라고 해서
조사하는 중인데
정확하게 마르크스 유물론적 역사관이
무엇을 말하는 것이고 동북공정과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
어느 책이나 논문에서 알아볼 수 있는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책과 논문의 내용을 간략하게 요약 해주셔도 좋아요.
뇌피셜이 아닌 정확한 정보 부탁드리겠습니다.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유물론적 역사관이란
간단히 말해
역사 유물론과 과학적 공산주의에 따르면 역사는 원시적 공산주의, 고대 노예제, 중세 봉건제, 근대 자본주의를 거쳐 궁극적으로 인간 사회가 공산주의에 이르게 된다고 주장 을 말합니다
동북공정이란
공산주의 사상이 가져서는 안되는 빈부 격차가 발생 하자
역사 주제를 인용 하여 저소득층 에대한 중국 공산당 단일화를위한 작업이지 유물사관과 전혀 다른 문제입니다
대표적으로
1. 진시황제 재평가 작업
관련자료 참조
그런데 현재 중국에서 진 시황제(秦 始皇帝) (진나라의 첫황제란 말)에대한 역사적 재평가를 하는것은
중국이 세계무대를 진출할려는데는( 특히 하계올림픽 개최등)어디까지나 내부적 통합과 민족문제에 대한 단합된 면모를 과시할려는 중국공산당의 정치적 상징 조작에 따른 일련의 프로그램 입니다
2. 공자철학 재평가작업
모택동이 공자가 죽어야 중국이 산다 라고 설파했지만
현재는 공자의 재인식이 한창가열되었습니다.
문화 대혁명당시 구호입니다
비림비공운동(批林批孔運動)은 반모(反毛) 쿠데타의 주동자 린퍄오를 공자에다 비겨 함께 비판·배격한 10전대회 이후의 정치운동이다.
공자 비판운동은 1919년 5·4운동 때부터 비롯되었는데 1960년대에 사학계에서 다시 일어났다가 1970년대에 와서는 류샤오치(劉少奇), 린퍄오(林彪)의 반당(反黨) 수정주의 비판운동으로 승화
1.공자와 맹자의 노예제도 찬양은 자본주의 부활 의도와 상통한다.
2.공·맹의 인의(仁義) 위주 사상은 혁명적 폭력 배격과 통한다.
3.공·맹의 중용사상은 임의 투쟁철학 반대와 같다.
4.공·맹의 정신노동 우선은 임의 하방운동 비판과 같다는 점
이렇게 공자를 비판 하다
2008년 베이징 하계 올림픽 당시 개막식때 공자를 추앙 하고 그 제자 3천명을 등장 시키는 퍼포먼서를 합니다
즉 공자의 인예 사상은 인간사회기본이므로 추앙하자는 것인데 바로 빈부 격차 나무라지 말고 인예로써 화합 하자는 공산당식 심리전에 불과 합니다
2008년 올림픽 당시 죽은 공자를 끄집어낸 정책이 실패로 돌아 가자 '
2023년 중국 전인대에 내건 주요 정책이 바로 공동부유론 입니다
시진핑(習近平) 주석이 2023년 8월 공동부유(共同富裕)를 제기한 후 공동부유는 중국 특색 사회주의 건설의 핵심 키워드이자 국정목표가 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시진핑이 공동부유를 제시한 배경 및 정책적 함의를 살펴보았다. 공동부유는 2035년까지 사회주의 현대화를 실현하기 위한 정책이며, 청년층의 집단저항을 체제 내로 흡수하여 사회통합 및 체제안정을 유지하려는 시진핑의 통치전략입니다
전혀 상관관계가 없는 두 정책입니다
유물 사관과 유사한것은 모택동의 생산관게론 뿐입니다
생산관계론은 유물사관 논리와같습니다
2023.03.17.

마르크스주의 역사관으로 모든 역사적 큰 흐름은 생산관계와 생산력의 관계,경제발전 그리고 계급투쟁에 원인이 있다고 보는 관점입니다.
이 부분은 엥겔스가 저술한 <사회에서 공상으로>나 스탈린이 저술한 <변증법적 유물론과 사적유물론>으로 알 수 있습니다.
유명한 역사발전단계 원시공산제-고대노예제-중세봉건제-근대자본제-미래공산제 도식이 있습니다.
(엄밀히 말해서 이것은 세계사적인 단계로 지역적으론 상이한 형태입니다)
근데 현대 중국의 동북공정을 유물론적 역사관과 매칭이 전혀 안되는 것 같습니다.
그보다는 현대 중국의 국수주의,민족주의와 연관이 있습니다.
다른 민족의 역사를 자국 역사로 편입하는 일 따위를
"만국의 노동자의 단결하라","노동자에겐 조국이 없다"고 한 마르크스한테 관심이 있었겠습니까?
2023.03.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