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영역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그딴데서 인생낭비말고
취업이나 하지못해 알바시간제라도 구하세요
일당제라도 나가시던...
2024.06.17.
(생계급여 수급자 중 18세 이상 64세 이하이면 특별한 사정이 없는 이상 자활사업에 참여해야 합니다.
자활사업 참여를 조건으로만 생계급여를 받을 수 있으므로 조건부 수급자라 합니다.
자활근로 종류
조건부 수급자 일자리는 지역별로 달라지지만 자활근로 종류에는 공통적으로는 5대 표준
사업(간병, 집 수리, 청소, 폐자원재활용, 음식물 재활용 사업)이 있으며,
지역 실정에 따라 도시락, 세차, 환경 정비, 영농 등이 특화되기도 합니다.
시장 진입형
자활기업 창업을 통해 시장 진입 지향하는 사업으로 수익이 발생해야 함
청소, 신용카드 배송, 거점 택배, 음식점, 도시락, 자전거 수리 등
인턴·도우미형
일반 기업체(인턴), 복지관(복지도우미), 주민센터(사회복지업무 보조)
사회서비스형
사회적으로 유용한 일자리 제공으로 시장 진입 준비하는 사업
장애 아동 도우미, 간병도우미, 청소, 재활용 등
근로유지형
노동 강도가 낮은 사업
주민센터 환경 정비, 임대 아파트 환경 정비
시간에 자활근로
돌봄·간병·건강 등의 사유로 종일 일자리 참여가 어려운 저소득층을 위한 시간제 자활근로 사업 (해당 사업단 유형 급여 단가의 50% 적용)
청년자립도 전 사업단
자활사업체 참여하는 청년(만 18세~만 39세)들이, ‘맞춤형 자립지원’을 통해 스스로 개인의 변화와 성장을 이끌어내고 공동체성을 회복하는 것에 중점을 맞춘 사업단
자활근로는 자활근로 참여 신청서에 자활급여, 근로시간, 근로 장소, 업무 내용, 휴게시간, 실비 등에 관한 사항을 명시하여 고지해 줍니다. 자활근로 참여 신청서는 아래의 링크에서 다운로드해 보실 수 있습니다.
자활근로시간
자활근로 시간은 주 5일, 1일 8시간(09시~18시)이 원칙입니다.
다만, 근로유지형은 1일 5시간(09시~15시)입니다.
그리고, 자활근로에도 아래와 같이 3가지 초과근무가 있는데, 자활급여 중 초과근무 수당
계산 시 급여 단가에 1.5배를 곱해줍니다.
연장근무 : 평일 8시간 이외의 근무
야간근무 : 밤 10시부터 다음날 06시까지의 근무
휴일근무 : 지정된 근무일 이외의 날 근무
자활급여 인상
2023년 자활급여 단가는 2022년에 비해 약 3.3% 정도 인상되었고, 자활근로 급여단가는
시장진입형이 가장 높고, 근로유지형이 가장 낮습니다.
자활근로 급여 계산 방법
자활근로 급여 계산은 자활근로 종류에 따른 자활근로 급여단가를 8시간으로 나눈 뒤 실제 근무시간을 곱하게 되는데, 8시간으로 나누는 이유는 급여단가가 하루 일당에 해당되기 때문입니다. 근로유지형은 급여단가를 5시간으로 나눕니다.
시장진입형 자활급여
= 2023년 급여단가(60,420원) X (1/8) X 실근무시간 + 실비(4천원)
사회서비스형 자활급여
= 2023년 급여단가(52,890원) X (1/8) X 실근무시간 + 실비(4천원)
근로유지형 자활급여
= 2023년 급여단가(31,020원) X (1/5) X 실근무시간 + 실비(4천원)
복지자활도우미인턴형은 시장진입형 급여 단가를 적용하고, 사회복지시설도우미는 사회서비스형 급여 단가를 적용합니다.
또한, 해당 자활사업단 관련 자격증이 있으면 기술자격자 1일 4000원의 추가 급여가 지급됩니다.
2024.06.17.
-
채택
질문자가 채택한 답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