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영역
정부지원 산후도우미 신청예정입니다
산모 신생아 건강관리사 지원 ,
산모 신생아 건강관리 서비스 본인 부담금 지원
이렇게 책자에 나와있는데 어떤점이 다른건가요?
배교했을때 어떤게 더 혜택이 좋은지 장,단점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
알고계시다면 답변 부탁 드려요 ㅠㅠ!!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안녕하세요.
곧 출산을 축하드립니다.
정부에서 산후도우미 지원을 해주고 있어요.
정부 지원금을 받고 나머지 금액 본인부담금이 발생합니다.
(본인부담금은 경우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링크 내용 참고바랍니다.)
이 본인부담금을 또 각지자체에서 지원해주는 경우가 있어요.
그러면 본임부담금이 조금 더 줄어들게 되는거죠.
정부지원 산후도우미 지원금 비용 및 신청 방법 정보가 조금 더 필요하시면 링크남겨드릴게요.
참고하셔서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2024.08.16.
산후도우미지원은 중앙정부 지원제도이며
본인부담금 환급은 지자체
지원제도로 성격이 조금 다릅니다.
조건자체도 다르기도 하지만
지원대상이라면 정부지원해주는
금액만큼 혜택을 받으실 수 있스빈다.
자세한 산후도우미 정부지원
신청방법 조건 비용 등을 보시고
혜택받을 수 있는 부분 다 받으시기 바랍니다.
<출처>
2024.04.29.
정부지원 산후도우미(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사업) 신청 후 지원대상이되시면
정부지원금 이외의 본인부담금이 있습니다
정부지원금은 현금지급이 아니라 바우처(산후도우미이용권)를 산모님이 소지한 국민행복카드로 바우처(산후도우미이용권)를 지급하며, 산후도우미 이용 중 매일 산후도우미(산후관리사)가 소지한 단말기에 국민행복카드로 체크하시는 겁니다.
정부지원이외 지원대상자는 모두 본인부담금이 있습니다
본인부담금은 신청후 알게되시는 유형(유형의예: A-통합-①형 / A-라-➀형~~ 등)에 따라 본인부담금은 다릅니다.
본인부담금 지원이란 중앙정부가 지원하는 부분이 아니라 별도로 지자체에서 지원하는것으로 지자체별 다르거나 지원이없는 지자체도있고 다른형태의지원을 하는경우도 있습니다.
살고계신지역의 안내 책자를 보셨다면 정부지원은 지원대상자는 모두 지원받는것이고 본인부담금은 별도로 지자체에서 환급받으실 수 있는것으로 보입니다
산후도우미 이용 후 본인부담금 영수증을 첨부하여지자체에 본인부담금 환급신청을 하시면 선 지불하신 본인부담금 중 일부를 지원하는 지자체 지원제도일것으로 보입니다 . 본인부담금 환급을 시행하는 지자체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요약하면 ~~
산후도우미지원은 중앙정부 지원제도이며, 본인부담금 환급(지원)은 지자체 지원제도입니다
살고계신 지자체에서 본인부담금 환급을 해준다면 두가지 모두 지원혜택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정부지원산후도우미 신청방법
출산예정일 40일전부터~출산후 30일 이내에 신청가능합니다
신청은 살고계신 관할보건소 방문신청 또는 복지로(https://www.bokjiro.go.kr/)에서 온라인 신청가능합니다.
2024.02.02.
소득에 따라 차등지원되는 걸로 알고 있어요.
지원을 받아서 나중에 본인 부담금은 90%까지도 환급이 되구요.
관련 글 공유드리니 한번 참고해 보시기 바래요.
2024.02.06.
엑스퍼트 전문가를 모십니다! 지식 공유하고 수익도 창출할 수 있는 기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