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VER

사용자 링크

Q&A 영역

질문 연금저축 납입기간 설정 질문
비공개 조회수 2,080 작성일2024.04.06
연금저축가입 중에 납입기간이라는게 있는데 질문이 있습니다
5년 설정하면 이후에는 납입이 불가능한가요??
검색을 해보니까 자유 납입 가능하다는데
어짜피 만55살 때까지 돈 못 빼는 상황에서 자유납입까지 되는데 납입기간을 따로 설정하는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납입기간 내에 납입을 하면 혜택이 있나요??

그리고 51년도가 연금 수령이면 납입기간을 어떻게 설정하는게 좋을까요???
프로필 사진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2개 답변
1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home****
지존

연금저축의 납입기간 설정에 관한 궁금증에 답변 드리겠습니다.

연금저축 계좌는 최소 5년 이상 납입해야 하며, 연간 납입 한도는 1,800만 원입니다. 이 한도 내에서는 자유롭게 납입할 수 있으며, 5년이 지난 후에도 계속해서 납입을 할 수 있습니다. 연금저축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다는 점입니다. 2023년부터는 연령 제한 없이 최대 900만 원까지 확대되었으며, 총급여액이 5,500만 원 미만일 경우 세액공제율은 16.5%, 5,500만 원을 초과할 경우 13.2%의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납입기간을 설정하는 이유 중 하나는 이러한 세제 혜택을 최적화하기 위함입니다. 최소 납입 기간을 충족하고 세액공제를 받기 위한 전략적인 계획의 일환으로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연금 수령 시 세율이 낮은 연금소득으로 과세되므로, 절세 효과도 기대할 수 있습니다.

51년도가 연금 수령 목표라면, 현재 연령과 향후의 소득 수준, 세액공제 혜택 등을 고려하여 납입 기간을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연금저축의 유연성을 고려해, 자금 상황에 따라 납입 금액을 조절하면서 장기적인 노후 준비 계획에 맞춰 가입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이와 같은 세액공제 혜택과 납입기간 설정의 유연성이 연금저축 가입의 주된 이유로, 이는 노후를 대비한 재정 계획의 일환으로 큰 혜택을 제공합니다. 질문자님의 경우, 납입 가능한 기간과 예상되는 세제 혜택을 고려하여 납입기간을 설정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2024.04.06.

  • 채택

    질문자가 채택한 답변입니다.

2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삭제된 답변
작성자가 직접 삭제한 답변입니다.
2024.0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