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영역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안녕하세요. 로시컴-네이버 지식iN 상담변호사 고병준 입니다.
⭐아동학대, 초기 대응 확실하게 해보고 싶다면?
아동학대고소로 법적으로 처벌할 수 있는지 여부는 그 선생님의 행위가 불법적 압력, 협박이나 강요에 해당하는지에 달려 있습니다.
단순한 부탁이 아니라 피해자에게 불리한 영향을 주었다면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만약 협박이나 강요가 있었다면 "강요죄"나 "협박죄"가 성립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형사 고소를 통해 처벌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처벌을 원하신다면, 경찰에 해당 사실을 신고하시고, 다양한 증거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즉시 저와 같은 변호사와 상담 후, 사건의 사실관계를 정확히 파악하고 법적 절차를 준비하시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형사~민사 절차 모든 과정 철저히 대리 | ||
➡️증거 수집/변론 구성/재판 사후관리까지 | ||
➡️의뢰인 사건 1:1 맞춤형 전략으로 권익 보호 |
2024.11.21.
안녕하세요. 서울지방변호사회 소속으로 지식iN 법률상담을 진행하고 있는 임동규 변호사입니다.
아동학대 관련 경찰고소 후 관련 질문에 대해 답변 드리겠습니다.
1. 선생님의 행위에 대한 법적 조치 가능성
1)민형상 손해배상책임
선생님의 행위가 불법행위로 구성될 수 있는지가 판단의 핵심입니다.
불법행위는 법령이나 계약에 위배되지 않더라도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여 손해를 발생시킨 행위를 말합니다.
선생님의 행위가 명백한 거짓말로 이루어졌고, 피해자에게 정신적 피해를 발생시켰다면 불법행위로 판단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2) 형사상 처벌 가능성
협박죄 성립 가능성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협박죄란 폭력이나 기타 범죄행위로 사람을 협박하여 재산 또는 이익을 취득하는 죄입니다. (형법 제305조)
선생님이 피해자에게 합의를 강요하기 위해 거짓말을 퍼뜨렸다면 협박죄가 성립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다만, 협박죄의 성립 여부는 선생님의 의도, 협박의 방법 및 강도, 피해자의 심리 상태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해야 합니다.
3) 명예훼손 가능성
선생님이 피해자에게 거짓말을 퍼뜨려 명예를 실추시켰다면 명예훼손죄가 성립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명예훼손죄는 공개적으로 허위의 사실을 유포하여 타인의 명예를 실추시키는 죄입니다.
하지만, 명예훼손죄의 성립 여부는 거짓말의 내용, 유포 방법, 피해의 정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해야 합니다.
4) 주의 사항
구체적인 사건 상황에 따라 판단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정확한 판단을 위해서는 법률 전문가와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2. 권리 보호를 위한 방법
1) 증거 확보
선생님이 지인에게 거짓말을 한 내용을 녹음 또는 캡처 등으로 확보합니다.
지인들이 선생님으로부터 들은 내용을 증언할 수 있도록 합니다.
2) 법률 전문가 상담
변호사와 상담하여 민사 및 형사상 소송을 진행할지, 다른 방법으로 피해를 배상받을 수 있는지 전문적인 조언을 받습니다.
3) 관련 기관 신고
교육청 또는 학교에 선생님의 부적절한 행위를 신고하여 학교 내부적인 조치를 유도할 수 있습니다.
경찰에 협박죄 또는 명예훼손죄로 고소하여 형사 처벌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법률 관련 문의는 언제든지 전화 주시면 성심성의껏 도와드리겠습니다.
"법무법인 아이엠 법률 상담 전화번호 1551-8388“
2024.07.17.
-
채택
질문자가 채택한 답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