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VER

사용자 링크

Q&A 영역

질문 출산휴가 후 실업급여
비공개 조회수 2,627 작성일2023.09.11
1. 5인 미만 사업장으로 출산휴가를 쓸려고 하는데 기간을 제가 최대로 90일로 할 수 있는건가요?

2. 출산휴가를 쓰고 바로 퇴직을 할 경우 실업급여를 출산휴가가 끝난 후 신청해야 하나요?

3. 육아휴직을 해준다고 할 경우 12월 출산이면 24년도 법 적용 받아서 1년 5개월?을 쓸 수 있나요?

4. 육아휴직을 못해준다고 할 경우는 제가 사업장에 실업급여를 요구할 수 있나요?

5. 사업주가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및 실업급여를 해줄 경우
사업주가 받는 불이익이 뭐가 있나요?
불이익이 생기면 안해줄까봐 불안하네요ㅠㅠ
프로필 사진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1개 답변
1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김정식
노무사 열심답변자 eXpert
센트럴노무컨설팅

안녕하세요. 한국공인노무사회-네이버 지식iN 상담 공인노무사 김정식 입니다.

1. 5인 미만 사업장으로 출산휴가를 쓸려고 하는데 기간을 제가 최대로 90일로 할 수 있는건가요?

2. 출산휴가를 쓰고 바로 퇴직을 할 경우 실업급여를 출산휴가가 끝난 후 신청해야 하나요?

자진퇴사면 안 됩니다.

3. 육아휴직을 해준다고 할 경우 12월 출산이면 24년도 법 적용 받아서 1년 5개월?을 쓸 수 있나요?

육아휴직 시작 시점의 법 기준입니다.

4. 육아휴직을 못해준다고 할 경우는 제가 사업장에 실업급여를 요구할 수 있나요?

없습니다. 육아휴직을 해달라고 요구해야 합니다. 그럼에도 거절한 것이 명백하면 실업급여 가능하고, 사용자는 육아휴직 거절로 형사처벌됩니다.

5. 사업주가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및 실업급여를 해줄 경우

사업주가 받는 불이익이 뭐가 있나요?

불이익이 생기면 안해줄까봐 불안하네요ㅠㅠ

퇴직금 조금 더 나오는 것 외에는 불이익 없습니다. 단, 실업급여는 사유가 되어야 하는거지 사업주가 해주고 안 해주고 할 일이 아닙니다. 안 돼는 것을 "실업급여 받게 해줄게"라고 하면 범죄로 처벌됩니다. 공모에 의한 부정수급 4배 토해내고 벌금 맞고 전과자 됩니다. 자진퇴사인데 실업급여 받게 해달라고 하면 큰일납니다. 육아휴직 거절이 명백하면 증거 확보하여 신고하면 됩니다.

2023.09.11.

  • 채택

    질문자가 채택한 답변입니다.

본 답변은 참고용이며, 답변을 제공한 개인 및 사업자의 법적 책임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