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영역
통장에 2억원 가량이 있고, 월 소득은 없는 상태이면서 국민연금 수령이 가능한 상태라면 노인기초연금도 같이 받을 수 있나요?
어떤 분이 임대 아파트 거주하면 노인기초연금을 못 받는다고 하더라고요.
그럼 차라리 2억원대 아파트를 구매해서 산다면 노인기초연금을 받을 수 있나요?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임대 아파트 거주하더라도 만 65세 이상이면 기초연금 받을 수 있습니다. 저희 어머님도 LH 임대 주택 거주중이며 신청 완료했습니다.
아래 글 참고하셔서 온라인으로 빠르게 신청해보시고 수령하시기 바랍니다.
2023.10.10.
네, 65세 이상, 자동차, 주식, 자가(집)이 없고, 월 소득이 없는 상태라면, 통장에 2억원이 있더라도 노인기초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노인기초연금은 소득과 재산을 기준으로 지급되는 제도입니다. 따라서, 소득과 재산이 적으면 노인기초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임대 아파트 거주 여부는 노인기초연금 수급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따라서, 임대 아파트에 거주하더라도 노인기초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2억원대 아파트를 구매하더라도 노인기초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재산이 증가하면 노인기초연금액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노인기초연금액은 소득과 재산을 합산한 소득인정액에 따라 산정됩니다. 소득인정액이 기준액 이하인 경우, 기준액의 60%를 노인기초연금으로 지급받게 됩니다.
따라서, 통장에 2억원이 있더라도, 월 소득이 없는 상태라면, 소득인정액이 기준액 이하로 산정되어 노인기초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2억원대 아파트를 구매하면, 재산이 증가하여 소득인정액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노인기초연금액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2억원대 아파트를 구매하더라도 노인기초연금을 받을 수 있지만, 재산이 증가하여 노인기초연금액이 줄어들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다음은 노인기초연금 수급 요건입니다.
* 만 65세 이상
* 소득과 재산이 일정 기준 이하
다음은 노인기초연금액 산정 기준입니다.
* 소득인정액 = 소득 - 부양가족 1인당 50만원 - 재산공제액
* 노인기초연금액 = 기준액 * 60%
* 기준액 = 362만 1000원(2023년 기준)
참고로, 노인기초연금은 매달 25일에 지급됩니다.
2023.10.10.
-
채택
질문자가 채택한 답변입니다.

질문 : 통장에 2억원 가량이 있고, 월 소득은 없는 상태이면서 국민연금 수령이 가능한 상태라면 노인기초연금도 같이 받을 수 있나요?
>> 답변 : 네, 같이 받을 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었다면, 답변 채택 부탁 드려요 :)
내가 받을 수 있는 기초연금 수령액 조회해보세요.
2023.1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