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영역
질문
비타민의 종류(A~Z)의 정식이름과 효능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dani****
조회수 17,430
작성일2005.12.12
인터넷에 A,B,C 에 대한 나돌아 다니는 거 말구요..
중간에 없는 종류는 안써주셔도 되요
(비타민 Z 같은거요..ㅋ)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1번째 답변
비타민의 종류
비타민은 크게 지용성(脂容’性)과 수용성(水溶性)으로 분류됩니다.
지용성 비타민은 지방이나 지방을 녹이는 유기용매에 녹는 비타민으로서 비타민 A, D, E, F, K가 여기에 속합니다.
이들은 수용성 비타민보다 열에 더 강하여 식품의 조리가공 중에 비교적 덜 손실되며, 장(腸) 속에서 지방과 함께 흡수되므로 지방의 흡수율이 떨어지면 이들의 흡수도 지장을 받게 됩니다.
또, 체내에 저장되고, 모두 탄소, 수소, 산소로만 구성되어 있습니다.
수용성 비타민은 물에 녹는 비타민으로서 비타민B 복합체, 비타민C, 비오틴, 엽산, 콜린, 이노시톨 등이 알려져 있습니다.
비타민A의 효능
1) 동물성식품에 함유되어 있으며 녹황색의 식물성식품에는 체내에서 비타민A의 전구체인 카로테노이드의 형태로 들어 있음.
2) 눈의 간상세포에서 물체를 볼 수 있게 해주는 색소(로돕신)를 합성하는데 비타민A가 필요.
3) 눈의 영양보급
비타민B1(Thiamin)
세포내에서 에너지를 만드는 기관이 미토콘드리아이고 여기서 에너지 물질인 ATP를 포도당으로부터 만드는 일련의 대사를 TCA사이클이라고 하는데,TCA사이클을 추진하는 것은 말할 것도 없이 효소이며, 이 때 Co-enzyme으로 되는 것이 비타민B1, B2, 니아신 등입니다.
비타민B1이 없으면 pyrubic acid는 TCA사이클을 떠나 젖산으로 됩니다.
이것들은 모두 피로물질로 알려진 것들입니다.
비타민B1(Thiamin)의 효능
1) 곡류(당질) 섭취량이 많을수록 비타민B1의 필요량이 증가
2) 에너지 대사에 관여(당질의 적절한 대사를 촉진시켜 음식으로부터 에너지를 만들도록 도움)
비타민B2(Riboflavin)
1)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등이 산화되어 에너지를 발생할 때 작용하는 효소의 작용을 도움
비타민B3(Niacin, Nicotinic Acid, Nicotinamide, Niacinamide)
1) 에너지대사에 간여, 산화환원작용
비타민B4(Carnitine)
지방산 대사에 필수적인 비타민으로, 근육의 정상적인 유지와 발달에 효과가 있습니다.
비타민B5(Pantothenic Acid)
1) coenzyme A와 acyl carrier protein(ACP)의 구성성분으로 체내에서 지방산의 합성과 대사 및 pyruvate과 α-ketoglutarate 산화등의 반응에 관여
비타민B6(Pyridoxine,Pyridoxal,Pyridoxamine)
1) 아미노산대사에 관여
2) 헤모글로빈의 구성성분인 헴 합성과정에 관여함
비타민B9(Folic Acid)
1) 세포, 특히 적혈구 형성에 필요한 장관의 기능 유지
비타민B12(Cyanocobalamin)
1) 핵산 합성과 조혈작용에 관여함
2) 적혈구 형성에 보조적인 역할을 함
비타민C (Ascorbic Acid)
1) 수용성비타민의 하나로 항산화작용을 하며 균형잡힌 식사를 통해 적절한 비타민C를 섭취하도록 권장하고 있음.
2) 항산화작용[세포손상을 유발시키기도 하는 자유기(유해산소)로부터 인체를 보호함].
비타민D(Cholecalciferol)
1) 뼈의 형성에 도움
2) 장관에서 칼슘의 흡수를 도움
3) 칼슘의 대사를 촉진시켜 칼슘이 체외로 배설되지 않도록 칼슘의 재흡수를 도움
비타민E
1) 항산화 작용(세포막의 구조성분인 불포화지방산이 파괴되는 것을 막아 세포의 손상을 예방함)
2) 비타민E첨가시 지방산들의 산화를 막음
비타민K
비타민K는 해조류,푸른잎 야채에 풍부하며 장내세균에 의해 합성되기 때문에 별로 결핍되지 않으나,장기간 항생제를 사용했을 경우 어린이들에게 결핍이 생길 수 있습니다.
비타민P(Bioflavonoids)
비타민P는 감귤류에서 추출되는 천연 제품으로, 생리적 기능 외에, 식품의 감미질을 개선하여 줍니다.
1) 비타민C와 협동작용을 하며 비타민C의 작용을 강화합니다.
2) 모세혈관을 강화하고 모세혈관의 투과성을 조절합니다.
3) 비타민C가 collagen을 합성하는데 도와줍니다.
4) Biofavonoid는 천연에서 비타민C와 함께 존재하므로 합성비타민C에는 들어있지 않으므로, 비타민C 단독보다 bioflavonoid를 함께 쓰면 더욱 효과적입니다.
비타민은 크게 지용성(脂容’性)과 수용성(水溶性)으로 분류됩니다.
지용성 비타민은 지방이나 지방을 녹이는 유기용매에 녹는 비타민으로서 비타민 A, D, E, F, K가 여기에 속합니다.
이들은 수용성 비타민보다 열에 더 강하여 식품의 조리가공 중에 비교적 덜 손실되며, 장(腸) 속에서 지방과 함께 흡수되므로 지방의 흡수율이 떨어지면 이들의 흡수도 지장을 받게 됩니다.
또, 체내에 저장되고, 모두 탄소, 수소, 산소로만 구성되어 있습니다.
수용성 비타민은 물에 녹는 비타민으로서 비타민B 복합체, 비타민C, 비오틴, 엽산, 콜린, 이노시톨 등이 알려져 있습니다.
비타민A의 효능
1) 동물성식품에 함유되어 있으며 녹황색의 식물성식품에는 체내에서 비타민A의 전구체인 카로테노이드의 형태로 들어 있음.
2) 눈의 간상세포에서 물체를 볼 수 있게 해주는 색소(로돕신)를 합성하는데 비타민A가 필요.
3) 눈의 영양보급
비타민B1(Thiamin)
세포내에서 에너지를 만드는 기관이 미토콘드리아이고 여기서 에너지 물질인 ATP를 포도당으로부터 만드는 일련의 대사를 TCA사이클이라고 하는데,TCA사이클을 추진하는 것은 말할 것도 없이 효소이며, 이 때 Co-enzyme으로 되는 것이 비타민B1, B2, 니아신 등입니다.
비타민B1이 없으면 pyrubic acid는 TCA사이클을 떠나 젖산으로 됩니다.
이것들은 모두 피로물질로 알려진 것들입니다.
비타민B1(Thiamin)의 효능
1) 곡류(당질) 섭취량이 많을수록 비타민B1의 필요량이 증가
2) 에너지 대사에 관여(당질의 적절한 대사를 촉진시켜 음식으로부터 에너지를 만들도록 도움)
비타민B2(Riboflavin)
1)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등이 산화되어 에너지를 발생할 때 작용하는 효소의 작용을 도움
비타민B3(Niacin, Nicotinic Acid, Nicotinamide, Niacinamide)
1) 에너지대사에 간여, 산화환원작용
비타민B4(Carnitine)
지방산 대사에 필수적인 비타민으로, 근육의 정상적인 유지와 발달에 효과가 있습니다.
비타민B5(Pantothenic Acid)
1) coenzyme A와 acyl carrier protein(ACP)의 구성성분으로 체내에서 지방산의 합성과 대사 및 pyruvate과 α-ketoglutarate 산화등의 반응에 관여
비타민B6(Pyridoxine,Pyridoxal,Pyridoxamine)
1) 아미노산대사에 관여
2) 헤모글로빈의 구성성분인 헴 합성과정에 관여함
비타민B9(Folic Acid)
1) 세포, 특히 적혈구 형성에 필요한 장관의 기능 유지
비타민B12(Cyanocobalamin)
1) 핵산 합성과 조혈작용에 관여함
2) 적혈구 형성에 보조적인 역할을 함
비타민C (Ascorbic Acid)
1) 수용성비타민의 하나로 항산화작용을 하며 균형잡힌 식사를 통해 적절한 비타민C를 섭취하도록 권장하고 있음.
2) 항산화작용[세포손상을 유발시키기도 하는 자유기(유해산소)로부터 인체를 보호함].
비타민D(Cholecalciferol)
1) 뼈의 형성에 도움
2) 장관에서 칼슘의 흡수를 도움
3) 칼슘의 대사를 촉진시켜 칼슘이 체외로 배설되지 않도록 칼슘의 재흡수를 도움
비타민E
1) 항산화 작용(세포막의 구조성분인 불포화지방산이 파괴되는 것을 막아 세포의 손상을 예방함)
2) 비타민E첨가시 지방산들의 산화를 막음
비타민K
비타민K는 해조류,푸른잎 야채에 풍부하며 장내세균에 의해 합성되기 때문에 별로 결핍되지 않으나,장기간 항생제를 사용했을 경우 어린이들에게 결핍이 생길 수 있습니다.
비타민P(Bioflavonoids)
비타민P는 감귤류에서 추출되는 천연 제품으로, 생리적 기능 외에, 식품의 감미질을 개선하여 줍니다.
1) 비타민C와 협동작용을 하며 비타민C의 작용을 강화합니다.
2) 모세혈관을 강화하고 모세혈관의 투과성을 조절합니다.
3) 비타민C가 collagen을 합성하는데 도와줍니다.
4) Biofavonoid는 천연에서 비타민C와 함께 존재하므로 합성비타민C에는 들어있지 않으므로, 비타민C 단독보다 bioflavonoid를 함께 쓰면 더욱 효과적입니다.
2005.12.12.
-
채택
질문자가 채택한 답변입니다.
내 소식이 없습니다.
최근 공지사항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