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영역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식물 저면관수 원리가 토분표면에서 물을 먹는건가요 아님 배수 구멍으로 물이 들어가는 건가요?
토분이라면 표면에서도 물을 흡수하기도 하지만 대부분으로 배수구멍으로 물이 들어갑니다..
그리고 저면관수를 할때 배수 구멍이 없다면 저면관수가 안되나요?
배수구멍이 없고 토분이 아니라면 화분을 잠기게하여 저면(??)관수를 해야합니다만 배수구멍이
없다면 물빠짐이 없어서 화분 속의 흙이 너무 오래 젖어있기때문에 뿌리가 썩습니다..
하여 배수구멍이 없는 것은 화분이 아닙니다..
식물이 사는데 힘이드는 그릇(?)입니다..
그리고 저면관수가 되는 화분이 있고 안되는 화분이 있나요?
배수구멍이 있다면 안 되는 화분은 없습니다..
저면관수는 물을 너무 오래 주지않아 많이 메말랐거나 했을때는 좋습니다만
일반적으로는 위에서 뿌려 주는 것이 좋습니다..
화분에 물을 주는 이유는 영양의 공급도 있습니다만
화분 속에 신선한 산소를 넣어주고 식물이 내놓은 노폐물을 밖으로 빼내는 역활도
있기 때문입니다...
하여 물이 물구멍으로 흘러 나오도록 물을 주어야 산소공급과 노폐물의 배출이
원활해집니다..
위에서 물을 줄때는 물이 물구멍으로 나오는 것을 서너차례 반복하여 흠뻑 주어야
좋습니다..
뿌리가 물을 흡수하는데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흙에 일정 기간은 수분이 있어야 하는데
물을 충분히 흠뻑 주어야 흙이 물을 품고 있고 그래야 뿌리가 물을 흡수하는 시간을 벌수 있기
때문입니다..
2022.06.12.
-
채택
질문자가 채택한 답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