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영역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안녕하세요 채택률이 낮으면 답변이 안달리는 점 유의 바랍니다 ^^
# 주택임대사업자 분리과세 신고
주택임대사업자 분리과세 신고는 임대중인 부동산의 분리과세를 위한 신고서입니다. 이를 통해 임대 중인 부동산에 대한 필요경비와 기본공제액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 등록과 미등록의 차이
등록된 주택임대사업자는 60%의 필요경비와 4백만원의 기본공제액을 받을 수 있습니다. 반면, 미등록 사업자는 50%의 필요경비와 2백만원의 기본공제액을 받을 수 있습니다.
예시에서 1호는 등록되어 있으며 연수입이 720만원, 2호는 미등록되어 있으며 연수입이 660만원 입니다.
## 분리과세 신고 방법
홈택스 신고화면에서는 분리가 되지 않고 합계금액으로 입력해야 합니다. 이 경우, 다음과 같이 신고를 진행합니다.
1. 1호와 2호의 연 수입을 합산하여 총 연 수입을 구합니다. (720 + 660 = 1380)
2. 등록된 1호의 필요경비와 기본공제액을 계산합니다. (720 * 60% + 4백만원 = 848만원)
3. 미등록인 2호의 필요경비와 기본공제액을 계산합니다. (660 * 50% + 2백만원 = 542만원)
4. 총 연 수입에서 각각의 필요경비와 기본공제액을 차감합니다. (1380 - 848 - 542 = 0)
5. 결과적으로, 부동산 소득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어 세금을 납부하지 않아도 됩니다.
## 결론
주택임대사업자 분리과세 신고는 등록 여부와 연 수입에 따라 필요경비와 기본공제액이 달라집니다. 홈택스 신고화면에서는 분리가 되지 않기 때문에 합산하여 신고를 진행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임대중인 부동산에 대한 세금을 적절하게 납부할 수 있습니다.
채택률이 낮으면 답변이 안달립니다! 채택 부탁드립니다^^
2023.05.18.
-
채택
질문자가 채택한 답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