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영역
3-4 년 정도 건물이 비어있으면서 기본료 적게 내려고 가정용으로 바꿔둔듯합니다.
한전에 문의하니 3 년이 지나 전화상으로 승압은 어렵고 (3년 이내면 전화만으로도 21kw 까지 승압이된다고 하시더군요.ㅠ.ㅠ) 전기업체 통해서 승압신청을 해야한다고 합니다.
한전 불입금 kw 당 75000 원과 전기업체측에 줘야하는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고 설명들었습니다.
전화상으로 5kw 까지는 승압가능하다기에 5 kw까지 승압해두었습니다.
현재 개업준비중으로 전기공사를 포함한 전체 인테리어 공사 견적을 받아 공사중에있습니다.
처음에는 승압할 생각이 없었음으로 견적에 승압비용은 포함되어있지 않았으나 승압에 필요성이 생겨 추가로 5kw 에서 15kw 로 10 kw 승압 비용을 문의했더니 한전불입금 75 만원과 추가로 55 만원이 더 든다고 합니다.
질문사항입니다.
1. 원래 21 kw 를 사용하던 곳이라면 인입선이나 전선, 기타 설비등이 그 용량에 맞춰져있어 따로 손봐야할 부분이 없을듯 보입니다.
전기업자분도 55 만원에대해 안전검사비용이라고만 하시고, 설비를 손대야한다는 말씀은 전혀 없으셨습니다.
에어컨 설치차 왔던 전기기사분도 선이 충분히 굵은게 들어와서 따로 손대지 않고 승압할 수 있을꺼라고 하셨고..
또 분전비는 이미 인테리어 견적에 포함되어있는데 55만원의 추가비용이 어디서 발생하는 건지 궁금합니다.
정말 검사비용으로 55 만원정도가 드는건지요?? 제 짧은 생각으로는 안전검사비용이라는 것이 전기기사 자격증(?) 같은 자격증 있는분의 확인 도장 받는 비용 정도로 여겨지는데.. 그렇다고 치기엔 좀 과하지 않나싶은 생각이 들어서요..
2. 지금 승압을 하지 않고 분전만 잘해서 사용하다가 한전측에서 용량높이라고 연락오면 그때 승압을 할까 싶은 생각도 있습니다만.. 그렇게되면 그때되서 전기업체 불러서 승압해달라고하면 비용이 더 들런지도 궁금합니다.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답변합니다.
전기적인 배전함상태에서 전력초과이며 10만원선으로보시며
전기적인 업체의뢰시에는 승압비용사항이 전반줄여지게되며
전기적인 과도한전기남용은 불법이므로 일부만사용해주시며
전기적인 전기남용상태에서 전력손실점을 전반파악해주시며
전기적인 전기발전에서 원자력발전의 에너지부분을 파악하며
전기적인 삼상사선식은 전동기의 과출력억제시에 쓰이게되며
전기적인 직류모터사항에 내부자석상태의 회전력때문이되며
전기적인 전기기자력에 전기자기장내부의 전속코일때문이며
판단되는 단절권,분포권,전절권등의 형식으로 파악되어지며
판단되는 전기코일을 감아주는 상태로써도 전동기동작되며
판단되는 승압트랜스의 3상4선식으로 220V구동하면됩니다.
2012.06.25.
전기관련은 전문 면허가 있는분에게 해야 뒷탈이안생깁니다.
저도 예전에 문제생겨 고생을 좀 했었는데ㅠㅠㅠ
도와줘요라는 곳을 알게되서 잘 해결했어요 !
도와줘요는 각 지역별 전문가를 불러줘요
어플도 있어서 편리하구요.
가격도 원래 업체들 부르는 것과 똑같아요
이런 일로 사람부를 때 제일 신경쓰이는 것이 비용을 덤탱이 쓰지 않을까 이고
두번째로 제대로 된 믿을만한 업체가 올까인데
이런 걱정을 안해도 되서 안심이에요.
한번 문의해보세요 ~!!!
2020.05.30.
엑스퍼트 전문가를 모십니다! 지식 공유하고 수익도 창출할 수 있는 기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