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VER

사용자 링크

Q&A 영역

질문 미국 금리인상과 보험
비공개 조회수 1,782 작성일2016.12.12
미국 금리인상일때 현보유 보험이 금리연동형이면 왜안좋은건가요?? 알기쉽게설명부탁드립니다 ㅠㅠ
프로필 사진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4개 답변
1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현덕
초인
저축성보험 14위, 보험, 의료, 상해 보험 분야에서 활동

안녕하세요~~~


미국의 금리인상과 변동금리보험과 연관성에대한 궁금점이신데요....


글쎄요....어느 분이 그러한 설명을 했는지는 모르겠습니다만....


미국의 금리인상이...우라나라에도 금리인상에 대한 압박을 주기는 할 것입니다. 이런 경우라면 보험상품의 이율도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고 봐야 하지 않을까요?


이제는 한 나라의 경제체제는..특히 미국과같은 기축통화를 가지고 있는 나라의 금리는 전 세계에 영향을 주고 있다는 점에서 본다면....더욱 그러하겠지요.


그리고 일본의 경우를 본다면..장기경기침체에서 찾아낸 해법이 '양적완화'를 통한 인플레이션의 조장이었고..지금 유렵도 최근 몇년간 시중에 돈을 풀어서 경기를 회복하려는 정책을 사용했으니까요...


시중에 돈을 푸는 여러 방법중에 대표적인 금리인하입니다.


미국도 서브프라임이후에 금리를 하락시키면서 돈의 유통을 늘렸지요.


그렇게되면...인플레이션이 강화되고..어느 순간에는 위험에 쳐해지게됩니다. 즉, 인플레이션에 따른 자산가치하락과 폭락의 위험을 가지게 된다는 것인데...이즈음에서 다시 금리를 인상하면서 조정해 나가는 것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다만 미국과 우리나라가 서로 경제를 살려 나가야한다는 경쟁체제로본다면...우리의 경우에는 금리의 인상폭과 기간이 그리 길지 않을 것 같습니다.


보험상품에 있어서 변동금리의 위험은 금리인상에 있는 것이 아니라...저금리기조에서 우리나라의 금리가 더 낮아질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문제인식을 가지는 거랍니다.


그럼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2016.12.12.

2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meri****
초인

미국 금리 인상은 일반적으로 경기가 회복되고 인플레이션 압력이 증가한다는 신호로 해석됩니다. 이는 보험과 같은 금융 상품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현보유 보험이 금리 연동형이라면, 금리가 인상됨에 따라 보험의 이익도 감소할 수 있습니다. 이는 주로 두 가지 이유로 설명됩니다.

첫째, 금리 인상으로 인해 보험사의 운용 수익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금리가 인상되면 보험사는 보험료를 투자하여 수익을 창출하는데 사용합니다. 그러나 금리가 인상되면 투자 수익이 감소하게 되어 보험사의 운용 수익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이는 보험사가 보험료를 인상하거나 보험 혜택을 축소해야 할 수도 있음을 의미합니다.

둘째, 금리 인상으로 인해 보험료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금리가 인상되면 보험사는 보험료를 인상할 수 있습니다. 이는 보험사가 보험상품을 판매할 때 고객에게 청구하는 비용으로, 금리 인상으로 인해 보험사의 위험 평가가 변화하게 됩니다. 따라서 보험료가 증가할 수 있으며, 이는 보험 가입자에게는 추가적인 비용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미국 금리 인상 시 현보유 보험이 금리 연동형이라면 보험사의 운용 수익 감소와 보험료 증가 등의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는 보험 가입자에게는 불리한 상황이 될 수 있으므로, 금리 인상에 따른 보험 상품의 영향을 주의깊게 살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2023.07.09.

3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diar****
지존

미국 금리 인상은 보통 경기가 회복되고 인플레이션 압력이 증가할 때 이루어집니다. 이는 기준금리를 올리는 것으로, 금리가 상승하면 예금이자율도 상승하게 됩니다.

현보유 보험이 금리 연동형이라면, 이는 보험료나 보험가입금의 일부가 보험사에 투자되어 수익을 창출하는 형태입니다. 일반적으로 금리가 상승하면 투자 수익이 증가하게 되지만, 금리 연동형 보험의 경우에는 금리 상승으로 인해 보험사의 투자 수익이 증가하더라도 보험료나 보험가입금의 이자율도 상승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보험료나 보험가입금의 이자율이 상승하면, 보험가입자가 지불해야 하는 보험료나 보험가입금도 증가하게 됩니다. 따라서 보험가입자는 금리 인상으로 인해 추가적인 비용을 부담해야 하게 되는 것입니다.

또한, 금리 인상으로 인해 경기가 둔화되고 경제 상황이 악화될 수도 있습니다. 이는 보험사의 투자 수익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보험사가 보험금을 지급하기 어려워지는 상황을 초래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미국 금리 인상 시에는 현보유 보험이 금리 연동형이라면 추가적인 비용 부담과 투자 수익의 감소 등의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금리 상승 시에는 금리 연동형 보험의 선택에 신중을 기울여야 합니다.

2023.07.10.

4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삭제된 답변
사용자 신고를 받고, 운영원칙에 따라 삭제된 답변입니다.
2023.08.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