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VER

사용자 링크

Q&A 영역

질문 4대보험 EDI 어느 것이 나은가요?
hsha**** 조회수 37,045 작성일2007.02.22

법인체에 근무하는 사람입니다.

4대보험 신고를 EDI 로 하면 편하다고 하던데, 얼마 전 회사로 온 안내책자에 2가지로 분류가 되어 있더라구요. 4대사회보험 포털서비스(무료)와 국민연금,건강보험EDI(유료)로 분류되어 있는데, 어떤것이 더 사용하기 편리한지, 이용료는 어떻게 되는지, 만약 국민연금,건강보험EDI를 신청할 경우 고용보험은 기존의 방식대로 팩스전송하여 가입하면 되는지...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프로필 사진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2개 답변
1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cje7****
초수
먼저 결론부터 말씀 드리면,

4대 사회보험포털서비스 보다 국민연금 등 EDI 를 사용하시는 것이 훨씬 편리합니다.


4대 사회보험포털서비스는 인터넷에 접속하여 해당사이트로 이동하여야 하며, 접속시 마다 전자인증 절차를 거쳐야 하므로 다소 사용이 불편하지만

 

국민연금 EDI의 경우에는 가입 후 해당프로그램을 설치할 때 인증서를 받게 되면, 컴퓨터의 바탕화면에 아이콘이 생성되어 ID와 비밀번호로 즉시 접속이 됩니다.


또한, 해당기관과 직접연결이 되므로 4대보험의 자격취득, 상실신고 등 대부분의 신고, 신청업무를 처리할 수 있으며, 매월의 고지내역이 1주일 먼저 개인별로 상세하게 통지되는 등 각종 통지서도 우편과 함께 매월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그 외에도 사업장가입확인서, 가입자명부 등 각종 증명서의 발급도 가능합니다.


자주 사용하는 자격취득, 상실신고의 경우를 살펴보면 국민연금 EDI에서 신고를 할 때 건강보험이나 고용보험도 함께 신고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한 번의 신고로 사회보험업무를 모두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다만 EDI를 사용할 경우 매월 일정한 수수료가 전화요금에 합산되어 부과되는데 한국통신에서 유지보수에 필요한 비용을 받는 것이라고 합니다.


수수료의 경우에도 사업장의 가입자 수에 따라 다르게 적용하고 있으며, 국민연금의 경우에는 10인 미만 사업장은 무료이며, 10인~50인 미만은 월 2,500원, 100인 미만 3,700원, 300인 미만 3,800원.... 등으로 적용된다고 합니다.


그 외의 자세한 내용은 관할 국민연금공단에 문의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간단한 답변이지만 님의 선택에 도움이 되시기를 바랍니다.

2007.02.27.

  • 채택

    질문자⋅지식인이 채택한 답변입니다.

2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ys****
초수

KT EDI는 비추입니다.

유료이면서 노동부와는 연결이 잘 안되서 불편합니다.

30%정도는 연결이 안된다고 보시면 될것같습니다.

고용보험신고르 따로하실 생각이라면 이용하세요

하지만 완벽하게 믿고 사용했다가는 저처럼 피봅니다.

 

2008.06.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