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영역
지금 50대 초반인 직장인 입니다.
몇년후면 다니던 직장을 은퇴해야 할거고,
은퇴후에는 재취업이나 창업등이 만만치 않을거로 생각되어 집니다.
지금까지 저축한 돈은 아이들 교육비와 결혼자금 등으로 로 대부분 소진 될꺼로 예상됩니다.
그래서 은퇴후 나이에 관계없이 안정적(?)으로 생활을 할수있는 국가자격증(민간 또는 사설이 아닌)을
취득 하고자 하는데요....
1. 그런 자격증에는 어떤게 있는지
2. 수입은 어느정도인지
3. 근무처는 어디이며 취업 난이도는 어떤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읍니다.
꼭!!! 부딱드립니다.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의사나 변호사나 회계사 등 따기 어려운 몇몇 자격을 제외하고 은퇴후 나이에 관계없이 안정적(?)으로 생활을 할수있는 국가자격증은 없습니다.
있다면 벌써 많은 사람들이 땃기 때문에 취업 하기나 개업해서 성공하기가 하늘의 별 따기 일 겁니다.
또 월급쟁이를 하는 자격이라면 역시 60이면 은퇴해야 하고, 자영업을 하는 자격이라면 안정적인 생활은 못 할 겁니다.
그냥 퇴직 전의 경력과 관련 된 직장에서 임시직 또는 계약직으로라도 일 할 수 있다면 다행이 아닐까 싶군요...(그나마 재직 중에 인간관계가 좋아야...)
따라서 명퇴의 유혹에 넘어가지 말고 최대한 현 직장에 오래 있는 것이 최고 입니다.
2012.05.29.
-
채택
질문자가 채택한 답변입니다.

요즘은 평생자격증을 취득해야 되는 시대인거 같습니다.
30대 후반이나 40대가 되면 자연스럽게 이직보다는 창업처럼 자기 사업을 하려고 합니다.
나이에 상관없이 할 수 있고 프리랜서, 투잡, 소자본 창업이 가능하며
전문자격증 취득으로 공무원까지 응시할 수 있는 속기 자격증(한글속기) 추천합니다.
즉, 자격증은 국가 자격증인 한글속기 자격증인데요. 대한상공회의소에서 확인하실 수 있으시고요.
(사)한국디지털영상속기사는 최근영화 부러진 화살, 의뢰인, 도가니에 협찬되었는데요.
법정, 검찰, 경찰, 자막방송 등으로 기록이 필요한 곳이 늘어나고 실시간으로
현장에서 기록완성이 되다 보니 유망자격증으로 부상을 하고 있습니다.
국가시험이 자주 없기 때문에 전문인력 배출도 많지 않아 나이, 학력, 성별등의
스펙에 관계없이 자격증으로만 인정이 되다보니 30대 이상의 직장인, 가정주부,
평생 전문직을 준비하려는 분들에게 인기가 높습니다.
속기직렬 같은 경우 일반 다른 공무원들과 다르게 필기시험 없이
공무원 쪽으로는 국회, 의회, 법원, 검찰, 교육청, 헌법재판소, 공정거래위원회, 청와대,
총리실, 통일원, 국군기무사령부, 국방부 등에서 속기공무원으로 근무하실 수 있고
각 기관마다 채용시 급수도 다양하여 10급 공무원, 9급 공무원, 8급 공무원, 7급 공무원, 6급 공무원
등 다양한 급수로 채용이 되어 근무하실 수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일반기업체,
공기업, 속기교직원(초, 중, 고, 대), 자막방송속기사, 프리랜서속기사, 속기사무소
창업 등으로도 활동하실 수 있습니다.
일단 국회를 제외한 법원이나 의회, 검찰청 같은 경우에는 필기시험이 없기
때문에 영어와 법 과목에 대한 부담감도 없고
자격증도 마찬가지로 필기시험 없이 실기시험만으로 취득이 가능하기 때문에 님께서
키보드 치는 연습만 열심히 하신다면 자격증을 취득하여 충분히 공무원으로 진출하실 수 있을 거예요.
(사)한국디지털영상속기협회라는 곳에서 무료교육과 실습을 진행하니 자세한 정보는 이곳에 문의하시면
되세요. 꼭 직접 교육상담 받아 보시고 결정하시기 바래요.^^
2012.05.15.
엑스퍼트 전문가를 모십니다! 지식 공유하고 수익도 창출할 수 있는 기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