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영역
입원중에 경련이 와서 뇌 mri를 한번 찍어보는게 어떻겠냐고
전화가 왔더라구요
아빠가 실비 보험은 없으셔서.. 건강보험적용이 되나요?
안되면 보통 얼마절도 하나요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뇌, 뇌혈관, 경부 혈관 MRI 기준이 별도로 있습니다!
뇌질환이 있거나, 이를 의심할만한 신경학적 이상 증상이 있는 경우 건강보험적용 가능합니다.
신경학적 검사 등 타 검사 상 이상소견이 있는 경우에 해당됩니다. 뇌종양, 뇌혈관질환, 알츠하이머와 같은 퇴행성 중추신경계 질환, 중추신경계의 염증성 면역이상 질환, 기타 신경계의 선천기형, 치매(신경인지기능 검사 결과 1가지 이상 영역에서 1.5SD(표준편차) 이하 인지기능 저하이며 만 60세 이상인 경우 경도인지장애인 경우도 보험적용 가능합니다.) 뇌전증, 뇌성마비, 뇌성마비,두부손상(저산소성 뇌손상 포함), 수두증, 자간증 및 전자간증, 안면경련, 삼차신경통, 두개골 조기 유합증, 성장호르몬 결핍증(뇌하수체 기능 저하증), 중추성 조발 사춘기, 중추성 요붕증, 뇌질환과 감별진단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정신질환 이 해당됩니다. 추가로 신경학적 검사로 두통, 어지럼이극심한 경우도 보험적용 가능합니다. 발달지연인 경우 만 6세까지 연 1회씩 보험적용 가능하고 타 적응증 또한 추적검사까지 횟수 기준이 있습니다만 수술이 필요하지 않은 뇌졸중과 허 헐 성 발작인경우는 1년 최대 2회까지만 보험적용 가능합니다. 급여기준 횟수 초과되는 경우라도 본인부담률을 80%로 적용됩니다.
단순 열성경련 및 전형적인 소발작은 비급여대상입니다만, 뇌관련 신경학적이상증상으로 의심이 되는 경련인 경우 건강보험적용 가능합니다.
혹시 비급여 처리가 되었다면 퇴원 후 심사평가원의 '비급여진료비확인서비스' 로 접수하셔서 정확한 확인을 해보실수 있습니다. 비급여처리가 되었다면 병원에서 정한 금액으로 납부하셔야 하며 MRI 해상도나, 특수촬영등에 따라 금액 차이가 많습니다.
2022.1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