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영역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대부분의 시도에서는 특성화고간 전학을 허용하지 않습니다.
특성화고는 학교 특성에 맞는 별도의 전형을 마련해 신입생을 모집하고 있습니다. 중학교 졸업생의 경우에도 자신의 학교생활과 내신성적, 지역 상황 등을 고려해 특성화고를 선택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전학이 쉽게 이뤄진다면 이런 절차가 의미가 없겠죠. 또한 특성화교 간의 교육과정이나 이수과목이 다르기 때문에 진급이나 졸업, 취업과 진학 시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대부분의 시도에서는 같은 지역간의 특성화고가 전학을 허용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타 시도로 이사를 하는 등 정상적인 통학이 불가능한 경우나, 기타 학교장이 인정된다고 허락한 경우에 한해서 전학이 가능합니다.
이 경우에는 전학 가고자 하는 학교를 직접 찾아본 후 학교에 문의해야 합니다. 결원이 있어 전학을 받아줄 수 있는지, 교육과정 상의 문제는 없는지 확인 후 해당 학교의 교장 선생님께 허락을 받습니다.
그 후 현재 학교의 교장선생님께서 허락 후 전학 절차를 진행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담임선생님과 상의하세요.
* 타 시도로의 이사가 아닌 경우, 학교를 옮겨야하는 이유를 꼼꼼히 확인해보세요.
진로나 수업 등 학교에 관한 문제인지 친구나 주변환경 때문인지 살펴본 후 부모님이나 담임선생님과 상담 후 결정하세요. 학교가 바뀐다고해서 모든 문제가 해결되는 것은 아니니까요.
2023.09.21.
-
채택
질문자가 채택한 답변입니다.
엑스퍼트 전문가를 모십니다! 지식 공유하고 수익도 창출할 수 있는 기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