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VER

사용자 링크

Q&A 영역

질문 2024년 부동산 경기 전망
95du**** 조회수 2,318 작성일2024.02.01
2023년부터 현재까지 건설사들 불황으로 줄폐업하거나

각종 건축비용 상승으로 힘든 시기를 보내고 있는데

상황이 개선될 여지가 있을까요?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국내적 요인보다도

우러전쟁의 종식

미국의 금리인하

이 두 가지가 선행되어야 할 것 같은데

혹시 부동산 관련 정책이나 경제학 잘 아시는 분 설명부탁드립니다.

그리고 각종 원자재가격 상승 등 고물가로 건설사 각종 비용이 증가 수익성 악화로 어려운 시기 보내고 있는데

이게 어떤 부분이 선행되어야 비용이 낮아지고 수익성 회복이 될 수 있을까요?

건설경기가 언제 쯤 나아질 수 있을까요?

요즘 부동산 거래가 거의 말라가고 있다고 하는데

서울 강남도 부동산 거래가 침제됐나요?




프로필 사진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4개 답변
2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jwst****
우주신 eXpert
30대 남성 공무원 #강아지집사 #N잡러 전세 50위, 매매 60위, 택배 분야에서 활동

2024년 부동산 경기 전망

2024년 부동산 경기는 2023년과 마찬가지로 하락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국내적 요인

국내적 요인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고금리 기조

한국은행은 2023년 8월부터 기준금리를 0.25%p씩 5차례 인상하여, 현재 2.25%까지 올렸습니다. 한국은행은 앞으로도 물가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 기준금리를 추가 인상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고금리 기조는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상승시켜, 주택 구매 수요를 위축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대출 규제

정부는 2022년부터 주택담보대출비율(LTV)과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을 강화하는 등 대출 규제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대출 규제는 주택 구매자의 자금 조달 능력을 제한하여, 주택 거래를 위축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청년층 주택 수요 감소

최근 들어 청년층의 결혼 연령이 높아지고, 1인 가구가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청년층의 주택 수요 감소는 주택 시장의 침체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국제적 요인

국제적 요인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은 글로벌 공급망을 교란시켜,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원자재 가격 상승은 건설비용 상승으로 이어져, 건설사 수익성 악화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미국의 금리 인상

미국 연방준비제도는 2023년 3월부터 기준금리를 0.25%p씩 7차례 인상하여, 현재 1.75%까지 올렸습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는 앞으로도 물가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 기준금리를 추가 인상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미국의 금리 인상은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를 키워, 국내외 부동산 시장의 침체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건설사 경영 상황 개선 여지

건설사 경영 상황 개선 여부는 다음과 같은 요인에 달려 있습니다.

경기 회복

경기 회복으로 인해 주택 수요가 증가하면, 건설사 경영 상황이 개선될 수 있습니다.

원자재 가격 하락

원자재 가격 하락으로 건설비용이 낮아지면, 건설사 수익성이 개선될 수 있습니다.

정부의 정책 지원

정부가 건설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을 시행하면, 건설사 경영 상황이 개선될 수 있습니다.

건설 경기 회복 시점

건설 경기 회복 시점은 다음과 같은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종식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종식되면, 원자재 가격 안정으로 건설비용이 낮아져, 건설 경기 회복이 앞당겨질 수 있습니다.

미국의 금리 인상 종료

미국의 금리 인상 종료로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가 완화되면, 건설 경기 회복이 앞당겨질 수 있습니다.

정부의 정책 지원

정부가 건설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을 조기에 시행하면, 건설 경기 회복이 앞당겨질 수 있습니다.

서울 강남 부동산 거래 침체

서울 강남 지역의 부동산 거래도 침체되고 있습니다. 2023년 12월 기준, 서울 강남구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1,400건으로, 전년 동월 대비 60% 감소했습니다. 강남 지역은 주택 수요가 풍부하고, 가격 상승 기대감이 높아, 경기 침체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양호한 거래량을 유지해 왔습니다. 하지만, 최근 들어 경기 침체 우려와 금리 상승으로 인해 강남 지역 부동산 거래도 침체되고 있습니다.

추가로 무직자 대출 가능한 상품들을 소개해드리니 아래 링크 확인해보세요

https://naver.me/Fzm4rJPU

2024.02.01.

  • 채택

    질문자가 채택한 답변입니다.

1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광교곰
절대신 열심답변자
2022 경제 분야 지식인 서비스업 #공인중개사 #투자자산운용사 분양, 청약 3위, 주식, 증권 7위, 매매 4위 분야에서 활동

아래 참고하세요

https://youtu.be/HDZmQ5Cnj4A?si=1Z_qzP9KItMOR__J

2024.02.01.

3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free****
중수

2024년의 부동산 시장 전망은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현재 건설업체들이 어려운 시기를 겪고 있고 부동산 시장이 침체된 상황에서는 상당히 미래가 불투명해 보입니다. 그러나 선행요인들이 개선된다면 부동산 시장의 상황이 좋아질 수 있습니다.

국내적 요인 외에도 국제적 요인이 부동산 시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우크라이나 전쟁의 종식으로 인한 국제 정치적 안정화와 미국의 금리 인하는 세계 경제에 영향을 주게 될 것이며, 이는 국내 부동산 시장에도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각종 건설비용의 상승으로 인한 수익성 악화 문제는 원자재 가격 상승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원자재 공급 안정화, 건설비용 감축을 위한 정책, 세제 혜택 제공 등의 방안을 통해 건설업체들이 비용을 절감하고 수익성을 회복할 수 있을 것입니다.

건설경기의 회복은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다르겠지만, 일반적으로 경제 여건이 개선되고 정부의 건설 관련 정책이 효과를 발휘할 때 나아질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건설업체들은 경기 회복 시기에 따라 수익성이 회복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마지막으로, 서울 강남 지역을 중심으로 한 부동산 시장이 거의 말라가고 있다는 상황은 실제로 거래량이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강남 지역의 부동산 거래가 완전히 침체되었다고 말하기는 어렵지만, 현재 경기 둔화와 정부의 부동산 관련 정책 등 여러 요인으로 인해 거래가 어려운 상황이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2024.02.23.

4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cjs8****
초수

안녕하세요 지역부동산 활성화 방안에 대한 영상 만들어 보았습니다

2024.06.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