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영역
제동생이 아버지 명의로 LPG차량을 중고차 시장에서 구입했는데 오른쪽 앞좌석 뒷
자석 문여는 손잡이에 점자 표시가 되어 있더 라구요 운전석 문짝하고 그 뒷자
석 문짝에는 그 표시가 없고요
중고시장에서 살때 오른쪽 앞좌석 뒷자석 문짝을 교체 했다고 했는데 그래서 궁금
해서 질문 드립니다 혹시나 교체할때 장애인 전용이 아닌 차인데 문짝 교체 할때
만 장애인용 문짝으로 교체 했는지 의심도 가구요
잘아시는 분들 답변좀 해주세요 부탁드립니다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재생문짝을..하신것같습니다...
신품을..장착하는데...것두~장애인차가~더더욱아니라면..장애인전용문짝을..
할이유가전혀없지요...
중고차사구입하는데...이런것까지...보기란...참힘들죠...
재생문짝이라서...문제될건없지만..알았으니..쫌 그러네요~
2005.04.06.
-
채택
질문자가 채택한 답변입니다.
차종에 따라 장애인 점자표시가 된차량가 없는 차량이 있습니다
소나타의 경우 장애인전용차의 대부분이 장애인 점자표시가 문손잡이에 있습니다
이는 문손잡이 전체에 다 있구 어느 부분에 있고 어느 부분에 없는건 아닙니다
다시 말해 전체 문손잡이에 장애인 표시가 부착되어 있다는 것이죠
현재 님이 보신 차량의 경우 차량문짝 교체가 이루어졌거나 아님 문손잡이 부분을 교체했을 가능성이 높네요
그런데 문제는 차량 사고시나 문짝 교체시 장애인전용차량에 맞는 문짝이 나오지 않습니다
다만 최초 출고시 장애인전용차량에 점자표시를 장착해 주는 것이지 그다음 부품의 경우 장애인 차량이나 일반 차량이 동일한 재질의 재품을 사용하기에 문짝의 경우 교체시 일반 차량과 동일한 재품을 단다고 보시면 됩니다
장애인 차량을 위해 그 차량에 맞는 문짝을 따로 만들어 판매하는것이 아니란 것이죠
장애인차량과 일반차량의 외관상 차이는 없기에 부품 역시 일반 차량 부품을 그대로 장착합니다
그러니 교체가 발생하면 특히 문짝의 경우 점자표시가 된 문짝을 다시 달수는 없겠죠
님이 만약 운행하시다가 사고로 문짝을 갈게 된다면 그 문짝에도 점자표시된 새로운 문짝을 달지 못합니다
다만 교체한 문짝에서 점자표시를 띄어 바꿔달면 되겠지만요
어짜피 교체된 문짝이란걸 알고 계신 상황이라면 너무 신경쓰지 마세요
교체되면 장애인 차량에 부과적으로 들어있는 부분이 없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대표적인것이 문짝의 점자표시겠죠
그럼....
2005.04.12.
-
채택
질문자가 채택한 답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