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영역
질문
난방용 도시가스 Vs LPG 요금비교 부탁드립니다.(내공있음)
ms98****
조회수 46,460
작성일2005.01.28
안녕들하세요..
몰라서 질문드립니다.
제가살고있는곳은 300세대가 살고있는 아파트입니다.
인구가 많지않은 군(郡)단위 동네라서 도시가스가 안들어옵니다.
그래서 난방용 공급연료가 LPG입니다.
아파트 한쪽에 LPG충전 탱크시설이 있어 한달에 몇번씩 LPG연료를 실은 대형차가 들어와서 충전해놓고 각 세대별로 가스라인을 통해 공급합니다.
그런데 요금이 장난이 아니더군요. .
도시가스 사용하는분들 물어보면 대게 몇만원 나온다고 그러는데 보통 20만원정도 나옵니다.
저의집은 평수도 작은 23평인데다 안방은 잠궈놓고 안쓰거든요..
대충 계산해보니 도시가스요금의 3배반정도 비싼것 같은데.....
1. 왜 같은 가스인데 LPG가 그렇게 비싼지
2. 납부용지를 보면 1루베(m3)당 2,200원 이라고 써있던데 킬로그램이나 리터
환산하면 얼만큼의 양인지(차량용 LPG와 비교하기위해)
3. 도시가스는 LPG처럼 충전해놓고 각세대별로 공급할수는 없는건지.
알려주시면 대단히 감사하겠습니다.
몰라서 질문드립니다.
제가살고있는곳은 300세대가 살고있는 아파트입니다.
인구가 많지않은 군(郡)단위 동네라서 도시가스가 안들어옵니다.
그래서 난방용 공급연료가 LPG입니다.
아파트 한쪽에 LPG충전 탱크시설이 있어 한달에 몇번씩 LPG연료를 실은 대형차가 들어와서 충전해놓고 각 세대별로 가스라인을 통해 공급합니다.
그런데 요금이 장난이 아니더군요. .
도시가스 사용하는분들 물어보면 대게 몇만원 나온다고 그러는데 보통 20만원정도 나옵니다.
저의집은 평수도 작은 23평인데다 안방은 잠궈놓고 안쓰거든요..
대충 계산해보니 도시가스요금의 3배반정도 비싼것 같은데.....
1. 왜 같은 가스인데 LPG가 그렇게 비싼지
2. 납부용지를 보면 1루베(m3)당 2,200원 이라고 써있던데 킬로그램이나 리터
환산하면 얼만큼의 양인지(차량용 LPG와 비교하기위해)
3. 도시가스는 LPG처럼 충전해놓고 각세대별로 공급할수는 없는건지.
알려주시면 대단히 감사하겠습니다.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2번째 답변
행복하세요^^*
1. 비싼이유...윗분이 설명 잘해주셨구요..참고로 설명 덧붙이면요
예로 휘발유와 경유를 비교해볼께요..
휘발유가 경유보다 비싸죠...하지만 만드는 과정에서 소요경비(원가)를 따지면 휘발유가 싸요. 이유는 석유원액을 중동 기타지역에서 수송해오면 가열을 합답니다
가열을 하면 원액이 부글부글 끓어서 1차증기가 나옵니다..이게 휘발유죠
2차로 더 가열하고...등유..경유...찌꺼기는 아스팔트제품으로 사용되구요
(자세한 과정은 저도 잘몰라서 설명이 미약합니다..이해바람) 이처럼 처음가열해서 나오는게 휘발유고 결과적으로 적은돈을 들여서나오는게 휘발유죠..경유는 더많이 가열을하고 나오기때문에 제품생산원가는 더 비싸지죠..하지만 사용하는 빈도가 휘발유가 많기때문에 정부에서 이런저런 소비세등등의 세금이 부과되다보니 더 비싼거죠...엘엔지나 엘피지는 반대로 윗분설명처럼 제조과정의 원가를 그대로 반영한겁니다..그래서 엘피지가 비싼거죠
2.1루베당....환산하면요
1루베는 2킬로그램입니다..여기는 창원구석지역은 2300원 진해는 2200원 윗쪽지역어디는 1900원하는데도 있더군요...수송하는 과정에서 운반료가 틀리다고 보시는게 편하겠군요..그래서 지역마다 가격이 틀려요..
차량용은 가격이 틀릴거에요...가정용 부탄가스(난로용)은13킬로에 18000원하죠
13킬로니깐 나누기2 하면 6.5루베 ...18000/6.5 하면 2769...나가죠..더 비싸죠
3.요즘은 주택도 가스배관을 할때 집외부에서 안까지는 백관으로(쇠)시공을 하더라구요...후에 도시가스가 공급되면 바로 연결하기 위함이라네요...
예전에는 집집마다 엘피지통을 한두개씩 놓고 사용했잔아요...폭발의 위험성이 엄청 많았고 폭발사고도 있었죠...이후로 공동저장소를 설치했던걸로 아는데요
도시가스는 충전은 할수있지만 원가가 비싸지지않을까요?폭발의 위험성도 더클것이고...
현재 님의 집은 도시가스가 아닌 엘피지 입니다..엘피지 체적거래를 하고 계신거구요..난방을 할때 절약하는법이 최 우선이구요..4인가족기준 가스렌지만 사용했을경우(나의경우) 5~7 루베만 사용하더군요..님께서도 이정도외에는 난방으로 사용하셨다고 보면 될듯하네요...
주절주절 말이 많았네요^^* 도움이 되시길..
행복하세요^^*
1. 비싼이유...윗분이 설명 잘해주셨구요..참고로 설명 덧붙이면요
예로 휘발유와 경유를 비교해볼께요..
휘발유가 경유보다 비싸죠...하지만 만드는 과정에서 소요경비(원가)를 따지면 휘발유가 싸요. 이유는 석유원액을 중동 기타지역에서 수송해오면 가열을 합답니다
가열을 하면 원액이 부글부글 끓어서 1차증기가 나옵니다..이게 휘발유죠
2차로 더 가열하고...등유..경유...찌꺼기는 아스팔트제품으로 사용되구요
(자세한 과정은 저도 잘몰라서 설명이 미약합니다..이해바람) 이처럼 처음가열해서 나오는게 휘발유고 결과적으로 적은돈을 들여서나오는게 휘발유죠..경유는 더많이 가열을하고 나오기때문에 제품생산원가는 더 비싸지죠..하지만 사용하는 빈도가 휘발유가 많기때문에 정부에서 이런저런 소비세등등의 세금이 부과되다보니 더 비싼거죠...엘엔지나 엘피지는 반대로 윗분설명처럼 제조과정의 원가를 그대로 반영한겁니다..그래서 엘피지가 비싼거죠
2.1루베당....환산하면요
1루베는 2킬로그램입니다..여기는 창원구석지역은 2300원 진해는 2200원 윗쪽지역어디는 1900원하는데도 있더군요...수송하는 과정에서 운반료가 틀리다고 보시는게 편하겠군요..그래서 지역마다 가격이 틀려요..
차량용은 가격이 틀릴거에요...가정용 부탄가스(난로용)은13킬로에 18000원하죠
13킬로니깐 나누기2 하면 6.5루베 ...18000/6.5 하면 2769...나가죠..더 비싸죠
3.요즘은 주택도 가스배관을 할때 집외부에서 안까지는 백관으로(쇠)시공을 하더라구요...후에 도시가스가 공급되면 바로 연결하기 위함이라네요...
예전에는 집집마다 엘피지통을 한두개씩 놓고 사용했잔아요...폭발의 위험성이 엄청 많았고 폭발사고도 있었죠...이후로 공동저장소를 설치했던걸로 아는데요
도시가스는 충전은 할수있지만 원가가 비싸지지않을까요?폭발의 위험성도 더클것이고...
현재 님의 집은 도시가스가 아닌 엘피지 입니다..엘피지 체적거래를 하고 계신거구요..난방을 할때 절약하는법이 최 우선이구요..4인가족기준 가스렌지만 사용했을경우(나의경우) 5~7 루베만 사용하더군요..님께서도 이정도외에는 난방으로 사용하셨다고 보면 될듯하네요...
주절주절 말이 많았네요^^* 도움이 되시길..
행복하세요^^*
2005.01.29.
-
채택
질문자가 채택한 답변입니다.
1번째 답변
간단히 말씀 드리겠습니다.
도시가스는 LNG(액화천연가스)입니다.
이것은 어디다가 저장해놓고 쓸수있는것이 아니고 원유선에서 직접받아서 저장탱크에서 직접 공급받는 것입니다. 말그대로 천연가스 입니다. 천연가스는 화력은 약하지만 깨긋하기 때문에 불꽃이 맑습니다. 이천연가스에서 남은 찌꺼기를 압축시켜 나온것이 LPG(액화석유가스)입니다. 그만큼 찌꺼기이기 때문에 화력은 좋지만 가스값이 많이 나오지여. 그래서 도시가스는 천연이기 때문에 일반 압축을 할수가 없습니다. 엘피지에서 나온 찌꺼기가 뭔지아세여?
그건 바로 부탄입니다.(슈퍼엣서 팔지여) 부탄에서 나온 찌꺼기는 바로 남자들이 사용하는 라이터입니다. 라이터는 제일 않좋은 가스지여.
그래서 싸구여...^^
제말이 이해가 가셨는지 모르겠군여.
도시가스는 LNG(액화천연가스)입니다.
이것은 어디다가 저장해놓고 쓸수있는것이 아니고 원유선에서 직접받아서 저장탱크에서 직접 공급받는 것입니다. 말그대로 천연가스 입니다. 천연가스는 화력은 약하지만 깨긋하기 때문에 불꽃이 맑습니다. 이천연가스에서 남은 찌꺼기를 압축시켜 나온것이 LPG(액화석유가스)입니다. 그만큼 찌꺼기이기 때문에 화력은 좋지만 가스값이 많이 나오지여. 그래서 도시가스는 천연이기 때문에 일반 압축을 할수가 없습니다. 엘피지에서 나온 찌꺼기가 뭔지아세여?
그건 바로 부탄입니다.(슈퍼엣서 팔지여) 부탄에서 나온 찌꺼기는 바로 남자들이 사용하는 라이터입니다. 라이터는 제일 않좋은 가스지여.
그래서 싸구여...^^
제말이 이해가 가셨는지 모르겠군여.
2005.01.28.
내 소식이 없습니다.
최근 공지사항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