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영역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1. 와이프가 취업을 하고 출산 vs 무직 상태로 출산**
와이프가 취업을 하고 출산하는 경우와 무직 상태로 출산하는 경우의 금전적인 차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 **취업 후 출산**
* 출산휴가: 출산일로부터 90일간 유급 휴가
* 육아휴직: 출산일로부터 1년간 무급 휴직
* 육아휴직 급여: 월 통상임금의 80% (상한 150만원, 하한 70만원)
* 정부 지원금: 출산장려금 (출산일로부터 6개월 이내 신청), 육아휴직 급여 지원 (육아휴직 개시일로부터 12개월 이내 신청)
* **무직 상태로 출산**
* 출산휴가: 출산일로부터 90일간 무급 휴가
* 육아휴직: 출산일로부터 1년간 무급 휴가
* 정부 지원금: 출산장려금 (출산일로부터 6개월 이내 신청)
와이프가 세전 4000-5000만원의 소득을 벌 수 있을 것으로 가정하고,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급여를 고려하면, 취업 후 출산하는 경우의 총 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 **출산휴가**
* 90일간 무급 휴가 (약 200-300만원)
* **육아휴직**
* 12개월간 월 150만원의 육아휴직 급여 (약 1,800만원)
* **정부 지원금**
* 출산장려금 (약 200-300만원)
총 금액: 약 2,200-3,300만원
무직 상태로 출산하는 경우의 총 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 **출산휴가**
* 90일간 무급 휴가 (약 200-300만원)
* **정부 지원금**
* 출산장려금 (약 200-300만원)
총 금액: 약 400-500만원
따라서, 와이프가 취업을 하고 출산하는 경우와 무직 상태로 출산하는 경우의 금전적인 차이는 약 1,800-2,800만원입니다.
**2. 출산휴가, 육아휴직 최소 근속 기간**
출산휴가, 육아휴직을 가기 위한 최소 근속 기간은 없습니다. 정규직, 계약직 모두 동일합니다. 다만, 계약직의 경우, 육아휴직 기간 동안 고용보험이 유지되어야 합니다.
**3. 정부 지원금과 육아휴직 급여의 상관관계**
정부 지원금은 육아휴직 급여와 별개로 지급됩니다. 따라서, 정부 지원금을 받게 되어도 육아휴직 급여가 줄어들거나 하는 영향은 없습니다.
**결론**
와이프가 취업을 하고 출산하는 경우와 무직 상태로 출산하는 경우의 금전적인 차이는 약 1,800-2,800만원입니다. 이 차이는 와이프의 출산휴가, 육아휴직 기간, 정부 지원금 수령 여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와이프의 구체적인 상황을 고려하여, 가장 경제적으로 유리한 선택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구체적인 상황을 고려하여 고려할 수 있는 사항**
* 와이프의 출산 예정일
* 와이프의 출산휴가, 육아휴직 기간
* 와이프의 소득 수준
* 부부의 총 소득 수준
* 부부의 경제적 여유 정도
위의 사항을 고려하여, 와이프와 함께 가장 경제적으로 유리한 선택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추가 지원금 확인하기
답변 채택으로 받은 해피빈과 질문자님의 감사 포인트 [N 포인트로 감사]로, 소년소녀 가장을 돕고자 합니다. 여러분의 동참을 기다립니다.
2024.01.02.
-
채택
질문자가 채택한 답변입니다.
안녕하세요 .
2024년 출잔지원금 /영유아 보육료 대해
상세한 답변 해드리겠습니다.
아래 내용을 꼼꼼히 참고해보시고 지원금 받아가시길 바랍니다
새해 복많이 받으시고 항상 건강하세요.
2024.0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