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영역
불안장애로 어떤 특정한 행동이나 사건(자해 등)이 일어나진 않지만 심리적으로 영향을 많이 받는 편이에요(수면장애, 불안 등)
약 5달 전 불안이 심했을 때 의사선생님께서 더 심해지거나 못버티겠으면 응급실로 와서 입원하는 것도 괜찮다 라고 하셨는데 만약 입원하게 되면 어떤 방식으로 진행되나요? (병실 배치, 치료(?) 등)
참고로 어린이병원에서 진료를 받고 있는데 그럼 소아병동 쪽으로 입원이 되나요?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안녕하세요.
세브란스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이준협 입니다.
질문자께서 불안와 불면 증상을 겪고 계시고 불안이 심해지면 입원을 고려하고 계신 것 같습니다. 아마도 정신건강의학과에 입원한 경험이 없으신 것 같아 전반적인 진행을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정신건강의학과 입원 절차는 전반적으로 내과, 정형외과 등 다른 과와 크게 다르지는 않습니다. 의사와 진료 후 입원이 필요하다고 판단되고 환자가 동의가 되면 의사가 입원 처방을 내고, 원무과에서 수속 절차를 한 뒤 병동으로 가면 해당 병동 간호사가 병실을 안내해주고 치료를 받게 됩니다. 최근에는 이러한 공통적인 과정 중 하나로 코로나 검사가 추가 되었습니다.
정신건강의학과 입원에서 다른 과와 다른 점은 환자의 진단, 상태에 따라 개방 병동, 보호 병동으로 나뉘게 된다는 점입니다. 개방 병동이 일반적인 병동이라고 생각하시면 되며, 보호 병동은 자해 혹은 타해 등 자신을 해할 위험성이 높거나 환청, 망상 등 정신적인 증상으로 현실 판단 능력이 떨어진 분들을 안전한게 보호하면서 치료에 집중하고자 만들어진 병동입니다. 병동 모습은 똑같고 간호사가 같이 상주하고 있으며, 안전 요원이 배치되어 있고 병동 입구가 안전문이 설치되어 자유롭게 면회, 외출, 산책이 제한되는 점 그리고 위험 행동을 방지하기 위해 칼, 연필, 끈 과 같은 물건을 수거한다는 점이 일반 병동과는 다릅니다.
정신건강의학과 입원의 치료 목적은 주로 단기간의 집중적인 진단과 치료입니다. 통원 치료은 수 주마다 혹은 수 개월마다 만나기에 증상이 심한 경우 약을 빠르게 단계적으로 조절하기 어렵고 상담, 인지행동치료 등의 정신과 치료도 간격이 넓기 마련입니다. 그래서 만약 증상이 심하여 빠른 조절이 필요하다면 입원 치료를 통해 짧은 간격으로 약물을 조절하고 부작용을 관리하며 상담 등의 치료를 집중적으로 시행하게 됩니다.
추가적으로, 병원에 따라 소아청소년 병동이 따로 마련된 병원이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 성인과 소아청소년 구분 없이 같은 정신건강의학과 병동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이는 치료받으시는 병원 주치의에게 물어보시면 확인이 가능합니다.
감사합니다.
2022.12.10.
-
채택
질문자가 채택한 답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