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영역
제 나이가 딱 갱년기 올 나이이긴 한데
막상 비슷한 증상들을 겪으니 마음도 우울하네요
유독 감정 기복이 심한 것 같아요
아무것도 아닌 일에도 짜증이 나고 눈물나고 그러네요
갱년기 검사 받고 약같은걸 따로 먹으면 좋아질까요?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 송지영 원장 | [프로필 보기]
# [병원 위치]
——————————————-
안녕하세요, 닥톡-네이버 지식iN 상담의사 송지영입니다.
보통 40~50대 이후 난소 기능이 쇠퇴하며 폐경이 찾아오는 시기를 여성 갱년기 나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는 스트레스나 가족력, 고혈압, 불규칙한 생활습관, 만성질환, 흡연으로 인해 평균보다 시기가 앞당겨질 수도 있습니다.
증상이 많은 편이라면 산부인과에서 갱년기 검사를 통해 진단을 받아보고, 그에 따라 알맞은 치료를 받아보시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해당 문제는 호르몬 변화로 인해 다양한 신체적 및 심리적 변화를 맞이하게 됩니다.
- 초기
정신적인 스트레스와 우울감, 불면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중기
비뇨생식기가 위축되어 질건조증이 심해지고, 성교통, 염증, 출혈이 쉽게 발생하여 부부관계가 단절되는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 만성화
뼈 형성에 필요한 에스트로겐이 부족하게 되어 골다공증이 발병될 수 있습니다.
이 시기에는 마음에 안정을 취하고, 금연 및 건강한 식단, 규칙적인 생활습관을 유지하며 여성호르몬을 복용하게 되면 증상이 많이 나아질 수 있습니다. 조기 폐경의 경우에는 50세까지 호르몬 치료를 하게 되는데, 이때 이를 통해 생리를 유지하게 되지만 그럼에도 난소 기능이 회복되는 것은 아닙니다.
이는 심혈관계 질환과 골다공증을 예방하기 위함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호르몬 치료는 증상이 나타나면서 폐경이 임박했을 때 시작하는 것이 좋기 때문에 조기에 검사를 통해 진단을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산부인과에 내원하시면 여부를 진단하기 위해서 보통 호르몬 검사를 많이 시행합니다. 생리를 1년 이상 하지 않은 상태에서 FSH 수치(난포자극호르몬)가 40mlU/ml 이상일 때 진단할 수 있습니다. 호르몬 수치의 많은 변동이 있기 때문에 1회의 검사만으로 정확하게 확인하기 어렵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3~6개월 사이에 2회 연속 혈액검사를 통해 알 수 있습니다.
또한 호르몬 검사만으로 정확히 판단할 수 없기 때문에 환자가 주관적으로 느끼는 증상이 어느 정도인지 측정하기 위해 설문을 진행할 수도 있습니다. 그 밖에도 해당 시기에 나타나는 골다공증, 고지혈증 등과 같은 질환을 확인하기 위한 추가 검사를 진행할 수도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2023.10.04.
-
채택
질문자가 채택한 답변입니다.
-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