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영역
높게 설정하면 부담이되서 매월 납입은 10만원정도
추가납입 목표인데요.
일단 은행권은 없어서 보험사의 연금저축보험 생각중이고
검색하다보니 irp 많이 하시던데
안전추구형이고 원금 손실을 보면 안된다고 한다면 IRP 예,적금 쪽으로 운용하면서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는것 같던데 맞는거죠?
이렇게 2개 나눠하면 괜찮을까요?
그럼 2가지해서 총 900만원까지
소득공제가능한거죠?
연금저축보험이 나은걸까요?
Irp가 나은걸까요?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안녕하세요?
소득세법상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는 상품은 연금저축계좌이고, 연금저축계좌는 개인형IRP와 연금저축으로 나뉩니다..
연금저축 : 세액공제 최대한도 600만원
개인형IRP : 세액공제 최대한도 900만원(연금저축과 합산), 안전자산(원리금 보장)에 30% 이상 투자 의무 존재
님과 같이 투자성향이 안전지향이시면 IRP로 가입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IRP를 통해 은행 또는 저축은행의 정기예금이율을 비교해서 투자할 수 있고, 안전한 채권 상품에도 투자할 수 있습니다.
IRP로 계좌를 개설하시어 안전자산과 안전한 채권에 투자를 시작하시고, 계속 운용하시다가
어느 정도 ETF를 이해하게 되시면 ETF 구매 및 연금계좌를 추가 개설 등을 고려하시는게 나아 보입니다.
감사합니다.
2024.03.26.
-
채택
질문자가 채택한 답변입니다.
IRP와 연금저축보험에 대한 질문이시군요. 아래는 간결하고 명료한 답변 요점입니다.
1. IRP와 연금저축보험은 각각 다른 상품이며, IRP는 적금과 세액공제 혜택을 동시에 받을 수 있는 상품입니다.
2. IRP의 안전추구형은 원금 손실을 보호해주는 형태이므로 안정적인 운용이 가능합니다.
3. IRP와 연금저축보험을 병행해서 가입하여 연간 최대 900만원까지 소득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4. IRP와 연금저축보험 중 어느 것이 나은지는 개인의 투자 성향과 재무 상태에 따라 다를 수 있으니,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이렇게 2가지 상품을 병행하여 연말정산 소득공제를 최대한 활용하시는 것이 좋을 수 있습니다.
✅관련된 아래 글 꼭 확인해보세요!!
2024.03.26.